KR200336495Y1 - 현수막 게첨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495Y1
KR200336495Y1 KR20-2003-0030921U KR20030030921U KR200336495Y1 KR 200336495 Y1 KR200336495 Y1 KR 200336495Y1 KR 20030030921 U KR20030030921 U KR 20030030921U KR 200336495 Y1 KR200336495 Y1 KR 20033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rope
cradle
control devi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우
Original Assignee
송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우 filed Critical 송수우
Priority to KR20-2003-0030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막이 항상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 채 장기간 게첨될 수 있는 현수막 게첨대에 관한 것으로, 현수막 게첨대의 지주대에 로프의 한 끝단이 결속되는 고정부와 신축이완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장력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장치를 로프에 걸어 로프를 끌어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지주대는 승강용 사다리가 설치되는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면이 별도의 커버로 감싸지고, 지주대의 안쪽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상, 하로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를 통해 게첨하고자 하는 현수막의 양단부가 입, 출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현수막 게첨대에 현수막이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 채 게첨될 수 있게 하고, 로프 등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말끔하게 마감 처리로써 외관이 미려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첨대{Placard}
본 고안은 현수막 게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선전, 광고문구 등이 인쇄된 현수막 개첨후에도 초기 상태처럼 팽팽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수 있도록 개선된 현수막 게첨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수막(懸垂幕, Placard)은 포지 등의 직물로 이루어져 제작과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을 들어 상업광고, 공익광고, 지역정보 등은 물론 자치단체나 기관 등의 홍보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현수막은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히 설치되는 지주 또는 현수막 게첨대에 현수막을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양쪽 끝단을 철사 또는 로프 등으로 고정되게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게첨되게 된다.
종래의 현수막 게첨대(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 철재로 된 지주대(110,120)를 양쪽에 나란히 설치하여 여기에 로프(130) 등을 이용하여 현수막(140)의 양단부가 고정되게 현수하고, 레칫 기구 등을 사용하여 현수막(140)에 고정된 로프(130)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인 바, 이러한 종래의 현수막 게첨대(100)는 단순히 현수막(140)을 게시하는 것만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현수막 게첨대(100)의 규격이나 현수막(140)을 고정하는 로프(130)의 고정위치 등이 일정치 않고 그 마감상태 등도 깔끔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지주대(110,120)에 부설되는 승강용 사다리(112,122)는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현수막(14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현수되는 관계로 초기에 작업자가 현수막(140)을 팽팽하게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현수막천 또는 이들을 결속시키는 철사나 로프(130)의 신축작용 등으로 인해 현수막(140)이처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때마다 늘어진 현수막(140)의 긴장상태를 다시 조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막 게첨대에 게시되는 현수막이 항상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 채 게첨될 수 있게 하여 종래처럼 현수막의 긴장상태를 조정하는 번거러움 등을 줄일 수 있는 현수막 게첨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현수막 게첨시 작업자의 안정성과 편의를 도모하고, 현수막 고정위치가 일정하고, 현수막을 결속시키는 로프 등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말끔하게 마감 처리로써 외관이 미려하여 사람들로부터 보다 많은 관심과 시선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지간으로 연결된 채 일정 거리간격을 두고 지면에 자립되게 세워지는 양쪽 지주대에 현수막을 게시하는 현수막 게첨대에 있어서, 상기 상면이 지지간으로 연결되는 지주대에 로프의 한 끝단이 결속되는 고정부 및 일측단은 지주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단에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신축이완이 가능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장력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걸고리를 고정부에 결속되는 로프에 걸어 상기 장력조절장치가 로프를 끌어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수막 게첨대의 지주대는 승강용 사다리가 설치되는 배면부를제외한 나머지면이 별도의 커버로 감싸지고,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커버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상, 하부 즉, 지주대와 동일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게첨되는 현수막의 양단부가 입, 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첨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현수막 게첨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히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현수막 게첨대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현수막 게첨대의 요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현수막 게첨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현수막 게첨대 11,12,110,120: 지주대
13: 지지간 11a,12a: 승강용 사다리
14: 커버 15: 절개부
16: 고정부 20,140: 현수막
22,130: 로프 30: 장력조절장치
32: 걸고리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현수막 게첨대에 현수막이 게첨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를 발췌한 상세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자립되게 세워지는 지주대(11,12)의 상면을 지지간(13)으로 고정되게 연결하고, 양쪽 지주대(11,12)의 하부측은 일부가 지면에 매립시켜 양쪽 지주대(11,12)가 자립되게 세워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주대(11,12)는 승강용 사다리(11a,12a)가 설치되는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면 모두에 커버(14)로 감싸주어 지지대의 배면부가 아닌 다른 곳에서는 지주대(1,12)를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지주대(11,12)와 동일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15)를 설치하여 상기 절개부(15)를 통해 게첨되는 현수막(20)의 양단부가 입,출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주대(11,12)에는 고정부(16)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6)는 상,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현수막(20)에 고정되는 로프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부(16)에 걸어 고정 결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와 직교되는 위치에는 신축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된 장력조절장치(30)가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30)는 일측단(31)이 지주대(11)(1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로프(22)를 걸 수 있도록 걸고리(32)가 조립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30)의 걸고리(32)는 현수막의 한끝단에 고정된 채 다른 쪽이 고정부(16)에 결속되기 위해 종단하게 되는 로프(22)에 걸어 상기 장력조절장치(30)가 로프(22)를 잡아당기려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현수막 게첨대(10)에 현수막(20)을 게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는 현수막 게첨대(10)의 한쪽 지주대(11 또는 12)의 배면부에 형성된 승강 사다리(11a 또는 12a)를 이용하여 현수막(20)을 게시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올라간 후 지주대의 절개부(15)를 통해 로프(22)가 고정된 현수막(20)의 일측단(20a)을 밀어 넣은 후 로프(22)의 끝단을 지주대(11 또는 12)에 형성된 고정부(16)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처럼 현수막(20)의 한쪽 면이 지주대(11 또는 12)에 고정되었으면 현수막(20)의 타측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주하는 상대쪽 지주대(12 또는 11)로 작업자가 승강하여 현수막(20)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그 상대쪽 로프(22)를 고정부(16)에 마저 고정시킨다. 이때 현수막(2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현수막(20)을 고정하는 로프(22)의 길이 조정을 통해서 현수막(20)이 현수막 게첨대(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현수막(20)을 게첨한 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대(11,12)에 부설된 장력조절장치(30)를 잡아당겨 상기 장력조절장치(30)의 선단에 고정된 걸고리(32)를 로프(22)에 걸어 상기 장력조절장치(30)가 로프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조립하면 현수막 설치작업은 모두 끝마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현수막 게첨대에 게첨되는 현수막의 로프에 장력조절장치의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있어 현수막 게첨후 현수막천 또는 로프의 늘어날 때 장력조절장치가 로프를 잡아당기게 되어 현수막은 항상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현수막 게첨대(10)에 의하면, 지주대에 게첨되는 현수막(20)을 고정하는 로프(22)를 잡아당기는 장력조절장치(30)에 의해서 현수막을 장기간 동안 게첨하더라도 처음처럼 팽팽한 게시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수막 게첨대 지주대(11,12)는 그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면 모두를 별도의 커버(14)로 감싸주므로써 현수막 게첨대(10)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개선함으로써 도시의 가로환경을 저해하지 않고 원하는 실사 현수막이나 각종 광고 및 안내 게시물 등을 효율적으로 게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지지간으로 연결된 채 일정 거리간격을 두고 지면에 자립되게 세워지는 양쪽 지주대에 현수막을 게시하는 현수막 게첨대(10)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1,12)에는 로프(22)의 한끝단이 결속되는 고정부(16)와, 신축이완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일측단은 지주대(11,1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걸고리(32)가 구비된 장력조절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장치(30)의 걸고리(32)를 고정부(16)에 결속되는 로프(22)에 걸어 장력조절장치(30)가 로프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1,12)는 승강용 사다리(11a,12a)가 설치되는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면이 별도의 커버(14)로 감싸여지고,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중앙부에는 지주대(11,12)와 동일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15)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5)를 통해 게첨하고자 하는 현수막(20)의 양단부가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첨대.
KR20-2003-0030921U 2003-10-01 2003-10-01 현수막 게첨대 KR20033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21U KR200336495Y1 (ko) 2003-10-01 2003-10-01 현수막 게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21U KR200336495Y1 (ko) 2003-10-01 2003-10-01 현수막 게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495Y1 true KR200336495Y1 (ko) 2003-12-18

Family

ID=4934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21U KR200336495Y1 (ko) 2003-10-01 2003-10-01 현수막 게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4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12B1 (ko) 2007-11-15 2008-10-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34638B1 (ko) 2008-05-26 2010-01-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12B1 (ko) 2007-11-15 2008-10-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34638B1 (ko) 2008-05-26 2010-01-08 박진우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973B2 (en) Banner holder
ES2273440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e una pancarta o panel flexible similar.
KR200336495Y1 (ko) 현수막 게첨대
ES2686628T3 (es) Método y aparato para desplegar y soportar un objeto flexible
KR20041084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477734Y1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101383154B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102207090B1 (ko)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KR200382057Y1 (ko) 현수막게시장치
KR200443240Y1 (ko) 현수막 거치대
JP3885129B2 (ja) 帯状布張設装置及び引張具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130053970A (ko) 현수막 거치장치
FR2547441A1 (fr) Suspension a enrouleur telescopique pour affiches et objets
KR200202243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91706B1 (ko) 현수막 설치대
JP2012022029A (ja) スクリーン
KR100824276B1 (ko) 현수막 설치 장치
CA2675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ocating and supporting an object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375447Y1 (ko) 광고지 고정장치
KR0137813Y1 (ko) 광고간판의 아크릴광고판 고정장치
KR200202244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205429Y1 (ko) 현수막 게양용의 프레임어셈블리
KR200200247Y1 (ko) 가아드레일 장착용 현수막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