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970A - 현수막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970A
KR20130053970A KR1020110119715A KR20110119715A KR20130053970A KR 20130053970 A KR20130053970 A KR 20130053970A KR 1020110119715 A KR1020110119715 A KR 1020110119715A KR 20110119715 A KR20110119715 A KR 20110119715A KR 20130053970 A KR20130053970 A KR 2013005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nner
pillar
coupled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섭
Original Assignee
장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섭 filed Critical 장진섭
Priority to KR102011011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970A/ko
Publication of KR2013005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받침대, 받침대 위에 세워지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둥,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기둥에 결합되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 지지체,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 지지체의 아래 쪽에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체와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를 지지하는 기둥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거치장치{Hanging device for banner}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은 직물에 각종 광고문구를 인쇄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광고수단으로, 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공공장소에 설치된다.
현수막은 주로 행사나 콘서트, 전시회 등의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며, 사람들의 눈에 잘 뜨이도록 건물의 벽면이나 가로등 등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최근에는 특정한 지역단체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일반 개인들도 회사, 가게, 영업장, 공연 등의 홍보를 위해 현수막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물의 외벽이나 육교 등 대형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하고, 대형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가 힘들어 중소형의 현수막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더불어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수막 거치장치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이를 이용하면 실외나 실내를 가리지 않고 현수막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일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581692호(2006. 5. 12.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현수막 거치대)는 받침대, 받침대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대, 탄성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바, 수평바와 받침대를 연결하여 현수막을 걸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수평바와 받침대의 걸림고리를 연결하고, 그 길이에 따라 탄성지지대의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고정부재에는 중간부에는 복수의 현수막 설치부재가 결합된다. 현수막 설치부재에 마련된 홈에는 현수막에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이 삽입 결합된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현수막 거치장치는 이에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의 최대 길이가 탄성지지대의 최대 높이로 제한되고, 수평바의 길이가 제한되어 다양한 폭의 현수막을 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프레임이 결합된 현수막만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수막과 별도로 프레임을 제조해야 하므로, 현수막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현수막의 사용 후 현수막과 함께 프레임도 폐기해야 하므로 폐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수막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 등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현수막을 원활하게 펼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세워지고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봉을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둥,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부 지지체, 상기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체의 아래 쪽에 상기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하부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체는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지지바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지지바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기 상부 지지체를 상기 기둥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체와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이 좋다.
상기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매달릴 수 있도록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기 와이어 형태의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돌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기 하부 지지체를 상기 받침대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 지지대의 일단은 상기 받침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둥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기둥의 외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기 하부 지지체를 상기 기둥 지지대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이 좋다.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받침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지체는 복수가 상기 각각의 하부 지지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기둥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지지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체와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를 지지하는 기둥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의 길이가 가변할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역사다리꼴 등 다양한 모양의 현수막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부 지지체가 신축성을 갖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에 지지되고, 하부 지지체가 신축성을 갖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에 지지되므로, 기둥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현수막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을 원활하게 펼쳐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상부 지지체 및 하부 지지체가 신축성을 갖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 및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에 지지되어 있어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현수막을 거치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 경우 현수막이 움직일 수 있어 바람에 의해 쓰러지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현수막을 펼치기 위한 프레임 등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현수막을 원활하게 펼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받침대 및 기둥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기둥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기둥과 기둥 지지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받침대와 기둥 지지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상부 지지체와 기둥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가 현수막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는 받침대(11), 받침대(11) 위에 세워지는 기둥(20), 기둥(20)을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 지지대(32), 현수막(1)(1')(도 7참조)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기둥(20)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48) 및 현수막(1)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 지지체(48) 아래 쪽에 배치되는 하부 지지체(5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는 상부 지지체(48)가 현수막(1)(1')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하부 지지체(56)가 현수막(1)(1')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현수막(1)(1')을 펼쳐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대(11)는 물 등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12)와 기둥(20)이 삽입 결합되는 기둥 결합홈(13)을 갖는다. 받침대(11)의 챔버(12)에 액체를 채워 넣으면 받침대(11)가 무거워져 기둥(20)을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고, 챔버(12)에서 액체를 배출하면 받침대(11)의 무게가 가벼워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진다. 받침대(11)의 상부 일측에는 액체를 챔버(12)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4)가 마련되고, 받침대(11)의 하부 일측에는 챔버(12) 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가 구비된다. 주입구(14)는 받침대(1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 뚜껑(16)에 의해 개폐되고, 배출구(15)는 마개(17)에 의해 개폐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둥(20)은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차례로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봉(21)(22)(23)(24)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1 세로봉(21), 제 2 세로봉(22) 및 제 3 세로봉(23)은 속이 빈 중공관 형태를 갖는다. 제 1 세로봉(21) 내부에 제 2 세로봉(2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 2 세로봉(22) 내부에 제 3 세로봉(2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3 세로봉(23) 내부에 제 4 세로봉(24)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각각의 세로봉(21)(22)(23)(24)에는 관통구멍(21a)(22a)(23a)(24a)이 마련된다. 제 1 내지 제 3 세로봉(21)(22)(23)의 각 관통구멍(21a)(22a)(23a)은 복수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 1 세로봉(21)의 관통구멍(21a)에는 제 1 고정핀(25)이 삽입된다. 제 1 고정핀(25)은 제 2 세로봉(22)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끝단이 제 2 세로봉(22)의 관통구멍(22a)을 통해 제 2 세로봉(22)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1 세로봉(21)의 관통구멍(21a)에 삽입된다. 제 1 고정핀(25)은 제 2 세로봉(22) 내부에 배치된 제 1 탄성 가압부재(26)에 의해 제 2 세로봉(22)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사용자는 제 1 고정핀(25)을 제 2 세로봉(22)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 제 1 세로봉(21)의 관통구멍(21a)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제 2 세로봉(22)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세로봉(21) 내에서 제 2 세로봉(22)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3 세로봉(23)의 내부에는 제 2 고정핀(27) 및 제 2 탄성 가압부재(28)가 배치되고, 제 4 세로봉(24)의 내부에는 제 3 고정핀(29) 및 제 3 탄성 가압부재(30)가 배치된다. 사용자는 제 1 세로봉(21) 내에서 제 2 세로봉(22)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 2 고정핀(27)과 제 3 고정핀(29)을 이용함으로써, 제 2 세로봉(22) 내에서 제 3 세로봉(23)의 삽입 깊이와 제 3 세로봉(23) 내에서 제 4 세로봉(24)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기둥(20)은 복수의 기둥 지지대(32)에 의해 받침대(11)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둥 지지대(32)의 상단부는 기둥(20)에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재(37)에 고정되고, 기둥 지지대(32)의 하단부는 받침대(11)에 고정된다. 지지대 결합부재(37)는 기둥(20)의 제 1 세로봉(21)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기둥 결합부(38)와 기둥 결합부(38)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결합부(39)를 갖는다. 지지대 결합부(39)에는 결합구멍(40)이 마련된다.
기둥 지지대(32)의 상단부에는 지지대 결합부(39)가 삽입되는 삽입홈(33)과 지지대 결합부(39)의 결합구멍(40)에 대응하는 삽입구멍(34)이 구비된다. 기둥 지지대(32)의 삽입홈(33)에 지지대 결합부(39)를 삽입하고, 삽입구멍(34)을 통해 고정부재(41)를 결합구멍(39)에 끼워넣으면 기둥 지지대(32)의 상단부를 지지대 결합부재(37)에 고정할 수 있다.
기둥 지지대(32)의 하단부는 받침대(11)의 지지대 고정판(18)에 마련된 고정구멍(19)에 끼움 결합된다. 기둥 지지대(32)의 하단부에는 고정구멍(19)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5)가 구비되고, 삽입돌기(35)의 중간에는 폭이 축소된 축소부(35a)가 마련된다. 삽입돌기(35)를 고정구멍(19)에 삽입하면 삽입돌기(35)의 축소부(35a)는 고정판(18) 아래쪽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결합홈(44)을 갖는 스토퍼(43)를 고정판(18) 아래 쪽에서 삽입돌기(35)의 축소부(35a)에 결합하면 기둥 지지대(32)의 하단부를 지지대 고정판(18)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결합홈(44)을 갖는 고정부(45)와 고정부(45)의 가장자리에 고정부(45)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노브(46)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지지체(48)는 현수막(1)(1')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기둥(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체(48)는 제 1 상부 지지바(49)와 제 1 상부 지지바(49)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상부 지지바(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2 상부 지지바(50)는 제 1 상부 지지바(49)의 일단 및 타단을 통해 제 1 상부 지지바(49)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상부 지지바(50)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부 지지체(48)의 전체 길이가 변하게 된다. 제 2 상부 지지바(50)의 끝단에는 현수막(1)(1')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재(51)가 구비된다. 홀딩부재(51)는 도시된 것과 같은 후크 형태 이외에 현수막(1)(1')의 상단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홀딩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부 지지체(48)는 와이어 형태의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에 의해 기둥(20)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일단은 제 1 상부 지지바(49)의 고리(52)에 결합되고,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타단은 기둥(20)의 상부 끝단에 구비된 고정돌기(31)에 결합된다. 고정돌기(31)의 중간에는 폭이 축소된 축소부(31a)가 마련된다.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상부 고리부(53a)를 고정돌기(31)에 걸고, 상술한 것과 같은 스토퍼(43)를 고정돌기(31)의 축소부(31a)에 결합하면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가 고정돌기(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중간에는 길이조절기구(54)가 결합된다. 길이조절기구(54)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일부분은 길이조절기구(54)의 내부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끝단이 당겨지면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길이조절기구(54) 내부에 감겨 있던 부분이 풀려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길이조절기구(54) 내부의 권취부가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를 다시 감아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길이가 다시 짧아진다. 길이조절기구(54)는 다양한 형태의 와이어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지지체(48)를 기둥(20)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조절기구(54)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 이외에 코일 스프링이나 탄성 와이어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지지체(56)는 현수막(1)(1')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 지지체(48)의 아래 쪽에 배치된다. 하부 지지체(56)는 제 1 하부 지지바(57)와 제 1 하부 지지바(49)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하부 지지바(58) 및 각각의 제 2 하부 지지바(58)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 3 하부 지지바(59)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2 하부 지지바(58)는 제 1 하부 지지바(57)의 일단 및 타단을 통해 제 1 하부 지지바(57)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제 3 하부 지지바(59)는 각각의 제 2 하부 지지바(58)의 끝단을 통해 제 2 하부 지지바(58)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하부 지지바(58)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 3 하부 지지바(59)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하부 지지체(56)의 전체 길이가 변하게 된다.
제 3 하부 지지바(59)의 끝단에는 현수막(1)(1')을 걸기 위한 홀딩부재(60)가 구비된다. 홀딩부재(60)는 도시된 것과 같은 후크 형태 이외에 현수막(1)(1')의 하단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홀딩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제 1 하부 지지바(57)는 한 쌍의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에 의해 두 개의 기둥 지지대(32)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그 일단은 제 1 하부 지지바(57)에 마련된 고리(61)에 결합되고 타단은 기둥 지지대(32)의 하단부에 구비된 브라켓(36)에 결합된다. 브라켓(36)에는 결합구멍(36a)이 마련되어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의 타단은 기둥 지지대(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는 코일 스프링 이외에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다른 구조의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는 기둥 지지대(32)가 아닌 받침대(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현수막 거치장치(10)가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1)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현수막(1)의 길이에 맞춰 기둥(20)의 길이를 조절하고, 현수막(1)의 폭에 맞춰 상부 지지체(48) 및 하부 지지체(56)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부 지지체(48)의 홀딩부재(51)를 현수막(1)의 상단부에 마련된 결합구멍(2)에 삽입하고 하부 지지체(56)의 홀딩부재(60)를 현수막(1)의 하단부에 마련된 결합구멍(2)에 삽입함으로써, 현수막(1)을 팽팽하게 펼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도 8은 현수막 거치장치(10)가 다른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1')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현수막(1')의 길이에 맞춰 기둥(20)의 길이를 조절하고, 현수막(1')의 폭에 맞춰 상부 지지체(48) 및 하부 지지체(5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현수막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는 기둥(2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고, 상부 지지체(48)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 및 하부 지지체(56)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의 길이도 변할 수 있으므로, 기둥(20)의 조절 없이 상부 지지체(48)와 하부 지지체(56)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을 원활하게 펼쳐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는 상부 지지체(48) 및 하부 지지체(56)가 신축성을 갖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53) 및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62)에 지지되어 있어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현수막을 거치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 경우 현수막이 움직일 수 있어 바람에 의해 쓰러지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장치(70)는 최대 네 개의 현수막을 사방으로 펼쳐 보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와 같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7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70)는 받침대(11), 받침대(11) 위에 세워지는 기둥(20), 기둥(20)을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 지지대(20),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네 개의 상부 지지체(48) 및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네 개의 하부 지지체(56)를 포함한다. 네 개의 하부 지지체(56)는 받침대(1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네 개의 상부 지지체(48)는 각각의 하부 지지체(5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네 개의 상부 지지체(48)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71)에 의해 기둥(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72)에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72)은 네 개의 상부 지지체(48)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도면에는 지지 프레임(72)이 십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 프레임(72)은 네 개의 상부 지지체(48)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체(48)와 하부 지지체(56)의 개수나 배치 형태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70 : 현수막 거치장치 11 : 받침대
20 : 기둥 21, 22, 23, 24 : 제 1, 2, 3, 4 세로봉
25, 27, 29 : 제 1, 2, 3 고정핀
26, 28, 30 : 제 1, 2, 3 탄성 가압부재
31 : 고정돌기 32 : 기둥 지지대
35 : 삽입돌기 36 : 브라켓
37 : 지지대 결합부재 38 : 기둥 결합부
39 : 지지대 결합부 41 : 고정부재
43 : 스토퍼 48 : 상부 지지체
49, 50 : 제 1, 2 상부 지지바 51, 60 : 홀딩부재
53 :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 54 : 길이조절기구
56 : 하부 지지체 57, 58, 59 : 제 1, 2, 3 하부 지지바
62 :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 72 : 지지 프레임

Claims (11)

  1.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세워지고,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봉을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둥;
    현수막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부재를 구비하며,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지지바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 지지체; 및
    상기 현수막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체의 아래 쪽에 상기 받침대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홀딩하기 위한 복수의 홀딩부재를 구비하며,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지지바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체를 상기 기둥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체와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매달릴 수 있도록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형태의 상부 지지체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돌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를 상기 받침대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대의 일단은 상기 받침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둥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기둥의 외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를 상기 기둥 지지대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전체 길이가 변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 결합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받침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지체는 복수가 상기 각각의 하부 지지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기둥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지지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KR1020110119715A 2011-11-16 2011-11-16 현수막 거치장치 KR20130053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15A KR20130053970A (ko) 2011-11-16 2011-11-16 현수막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15A KR20130053970A (ko) 2011-11-16 2011-11-16 현수막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70A true KR20130053970A (ko) 2013-05-24

Family

ID=4866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715A KR20130053970A (ko) 2011-11-16 2011-11-16 현수막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9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54A (ko) * 2020-04-23 2021-11-02 김재현 입체형 애드벌룬 및 그 입체형 애드벌룬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2361771B1 (ko) * 2020-09-03 2022-02-14 (주)하우사인 배너 거치장치
KR20220133344A (ko) * 2021-03-24 2022-10-05 (주)하우사인 배너 거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54A (ko) * 2020-04-23 2021-11-02 김재현 입체형 애드벌룬 및 그 입체형 애드벌룬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2361771B1 (ko) * 2020-09-03 2022-02-14 (주)하우사인 배너 거치장치
KR20220133344A (ko) * 2021-03-24 2022-10-05 (주)하우사인 배너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154B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20130005650U (ko) 가변형 파티션 및 이를 사용한 테이블
KR20130053970A (ko) 현수막 거치장치
CN101620369B (zh) 投影机升降机构
WO2022141657A1 (zh) 便携式的显示装置
KR200410843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1967447B1 (ko) 현수막 걸이 어셈블리
CN202281016U (zh) 一种电视机安装支架
CN213093672U (zh) 一种基于NB-loT物联网技术的无线远程操控电子箱
CN210573160U (zh) 一种室外实验课程投影装置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US11047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all partition apparatus
KR101576976B1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KR20140001549U (ko) 현수막 걸이장치
KR101414279B1 (ko) 배너 스탠드
KR10083367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입간판
JP2021157019A (ja) 表示装置
KR200469911Y1 (ko) 광고표시판 고정장치용 지주
KR200303631Y1 (ko) 책상부착용 칸막이
KR20160042558A (ko) 현수막 걸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수막 걸이 시스템
KR200463119Y1 (ko) 이젤 거치대
KR101232040B1 (ko) 광고지 수납함
KR102361771B1 (ko) 배너 거치장치
KR200359718Y1 (ko) 천장 걸이형 모기장
KR20080005563U (ko) 배너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