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262B1 -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 Google Patents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262B1
KR101078262B1 KR1020100005601A KR20100005601A KR101078262B1 KR 101078262 B1 KR101078262 B1 KR 101078262B1 KR 1020100005601 A KR1020100005601 A KR 1020100005601A KR 20100005601 A KR20100005601 A KR 20100005601A KR 101078262 B1 KR101078262 B1 KR 10107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lower horizontal
flat plate
central vertical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686A (ko
Inventor
윤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0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2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에 다리(11a)가 마련된 하단수평대(11)와, 이 하단수평대(11)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직립되는 중앙수직대(12) 및 이 중앙수직대(1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수평대(11)와 수평을 이루는 상단수평대(13)로 이루어진 스탠드본체(10); 상기 스탠드본체(10)의 상, 하단수평대(13,11)에 그 상, 하단부가 연결되고 소정 부위에 평판화상기(20)가 설치되는 캔버스(30); 및 상기 평판화상기(20)를 스탠드본체(10)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하단수평대와 중앙수직대 및 상단수평대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한 스탠드본체와, 이 스탠드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평판화상기를 취부하는 캔버스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평판화상기를 원하는 장소로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평판화상기의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 용이하게 되며, 이에 더해, 상기 캔버스의 표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가미하여 시청자에게 심미감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Movable stand for plate displayer}
본 발명은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수평대와 중앙수직대 및 상단수평대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한 스탠드본체와, 이 스탠드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평판화상기를 취부하는 캔버스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평판화상기를 원하는 장소로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평판화상기의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 용이하게 되며, 이에 더해, 상기 캔버스의 표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가미하여 시청자에게 심미감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씨디(LCD), 피디피(PDP), 오엘이디(OLED) 등을 이용한 티브이(TV)나 모니터 등의 평판화상기(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씨알티(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화질이 선명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두께가 얇아 비좁은 공간에도 높은 공간적 활용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벽걸이용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간단한 고정 수단을 통해 손쉽게 벽에 부착시킬 수 있어 TV 등을 시청함에 있어서 그 시청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벽걸이용 평판화상기의 벽면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해당 벽면(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벽걸이(4)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평판화상기(6)의 배면에 상기 벽걸이(4)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7)을 형성하여 평판화상기를 벽면에 설치하였었다.
이때, 평판화상기(6)의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9)은 벽면 하단부로 늘어뜨려져서 소정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벽걸이용 평판화상기는 벽면의 벽걸이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동하고자 할 경우 다른 벽면에 벽걸이를 설치하여야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정도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한정된 공간에서 시청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공간 활용도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하단수평대와 중앙수직대 및 상단수평대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한 스탠드본체와, 이 스탠드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평판화상기를 취부하는 캔버스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평판화상기를 원하는 장소로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평판화상기의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 용이하게 되며, 이에 더해, 상기 캔버스의 표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가미하여 시청자에게 심미감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는 지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에 다리가 마련된 하단수평대와, 이 하단수평대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직립되는 중앙수직대 및 이 중앙수직대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수평대와 수평을 이루는 상단수평대로 이루어진 스탠드본체; 상기 스탠드본체의 상, 하단수평대에 그 상, 하단부가 연결되고 소정 부위에 평판화상기가 설치되는 캔버스; 및 상기 평판화상기를 스탠드본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평판화상기가 장착되는 캔버스의 해당부위에 이 평판화상기의 배면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직대를 기준으로 평판화상기의 배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지지돌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수직대의 외주면 후방측을 감싸 평판화상기의 양측 지지돌부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띠가 위치되는 중앙수직대의 해당부위에 이 지지띠의 하단부를 떠받치는 받침돌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평판화상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평판화상기의 배면 및 지지띠의 양측에 각각 체결홈 및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띠의 관통공을 평판화상기 배면의 체결홈에 일치시켜 상기 지지돌부를 체결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평대의 다리는 이 하단수평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길다란 막대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대는 상, 하방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대의 높이조절 구조는, 상기 하단수평대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내부의 승강부 외주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여 상기 승강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의 표면에 심미감을 더하기 위한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는 하단수평대와 중앙수직대 및 상단수평대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한 스탠드본체와, 이 스탠드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평판화상기를 취부하는 캔버스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평판화상기를 원하는 장소로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평판화상기의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 용이하게 되며, 이에 더해, 상기 캔버스의 표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가미하여 시청자에게 심미감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용 평판화상기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용 평판화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는 지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에 다리(11a)가 마련된 하단수평대(11)와, 이 하단수평대(11)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직립되는 중앙수직대(12) 및 이 중앙수직대(1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수평대(11)와 수평을 이루는 상단수평대(13)로 이루어진 스탠드본체(10)와, 이 스탠드본체(10)의 상, 하단수평대(13,11)에 그 상, 하단부가 연결되고 소정 부위에 평판화상기(20)가 설치되는 캔버스(30) 및 상기 평판화상기(20)를 스탠드본체(10)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본체(10)와 캔버스(30) 간의 연결은 이 캔버스(30)의 상, 하단부를 스탠드본체(10)의 상, 하단수평대(13,11)의 외주면으로 감아서 별도의 체결끈(미도시)으로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접착수단을 통해 캔버스(30) 하단부와 상, 하단수평대(13,11)를 접착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연결방법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평판화상기(20)가 장착되는 캔버스(30)의 해당부위에 이 평판화상기(20)의 배면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직대(12)를 기준으로 평판화상기(20)의 배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지지돌부(21)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수직대(12)의 외주면 후방측을 감싸 평판화상기(20)의 양측 지지돌부(21)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띠(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부(21)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 및 지지띠(40)의 양측에 각각 체결홈(20a) 및 관통공(40a)이 형성되며, 이 지지띠(40)의 관통공(40a)을 평판화상기(20) 배면의 체결홈(20a)에 일치시켜 상기 지지돌부(21)를 체결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21)는 스탠드본체(10)의 중앙수직대(12)를 기준으로 해서 이 중앙수직대(12) 양측에 해당되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띠(40)가 상기 지지돌부(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중앙수직대(12)의 바깥쪽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상기 평판화상기(20)가 지지띠(40)에 걸려 하중이 지지되도록 함은 물론 스탠드본체(10)의 중앙수직대(12) 외주면 후방측으로 둘러져 있어 평판화상기(20)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띠(40)가 위치되는 중앙수직대(12)의 해당부위에는 이 지지띠(40)의 하단부를 떠받쳐 상기 평판화상기(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돌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단수평대(11)의 다리(11a)는 이 하단수평대(1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길다란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중앙수직대(12)는 상, 하방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수직대(12)의 높이조절 구조는, 상기 하단수평대(11)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부(12a)와, 이 고정부(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12b)와, 상기 고정부(12a)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내부의 승강부(12b) 외주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여 상기 승강부(12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버스(30)의 표면에 심미감을 더하기 위한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이 구비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5는 평판화상기(20)의 전원케이블을 나타낸 것이고, 50은 상기 전원케이블(25)을 접속시키기 위한 콘센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는 스탠드본체(10)의 전면에 캔버스(30)를 배치하여 그 상, 하단부를 스탠드본체(10)의 상, 하단수평대(13,11)에 고정시키고, 캔버스(30)의 관통공(31) 전면에 평판화상기(20)를 배치하여 지지띠(40)로 중앙수직대(12)의 후단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그 양단부를 지지돌부(21)로 고정시켜 평판화상기(20)가 상기 캔버스(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띠(40)와 지지돌부(21)간의 고정관계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 체결홈(20a)에 상기 지지띠(40)의 관통공(40a)을 일치시킨 후 지지돌부(21)를을 체결홈(20a)에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띠(40)가 중앙수직대(12)의 받침돌부(15)에 의해 떠받쳐지도록 하여 상기 평판화상기(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평판화상기(20)를 지지띠(40)로 지지시키는 동시에 평판화상기(20)의 배면과 캔버스(30)의 관통공(31) 전면 테두리에 별도의 접착제 등을 개재시켜 평판화상기(20)를 캔버스(30)에 더욱 견고히 지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상기 캔버스(30)에 평판화상기(20)를 설치한 상태로 지정 장소에서 시청이 가능하고, 또한, 스탠드본체(10)를 들어 옮겨 평판화상기(2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시청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평판화상기(2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구(12c)를 풀어 중앙수직대(12)의 승강부(12b)를 승강시키면서 평판화상기(20)의 높낮이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한 후 다시 조절구(12c)를 조여 원하는 높이에서 평판화상기(20)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벽면 4 : 벽걸이
6 : 평판화상기 7 : 걸림턱
9 : 케이블 10 : 스탠드본체
11 : 하단수평대 11a : 다리
12 : 중앙수직대 12a : 고정부
12b : 승강부 12c : 조절구
13 : 상단수평대 15 : 받침돌부
20 : 평판화상기 20a : 체결홈
21 : 지지돌부 25 : 전원케이블
30 : 캔버스 31 : 관통공
40 : 지지띠 40a : 관통공
50 : 콘센트

Claims (8)

  1. 지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에 다리(11a)가 마련된 하단수평대(11)와, 이 하단수평대(11)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직립되는 중앙수직대(12) 및 이 중앙수직대(1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수평대(11)와 수평을 이루는 상단수평대(13)로 이루어진 스탠드본체(10);
    상기 스탠드본체(10)의 상, 하단수평대(13,11)에 그 상, 하단부가 연결되고 소정 부위에 평판화상기(20)가 설치되는 캔버스(30); 및
    상기 평판화상기(20)를 스탠드본체(10)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평판화상기(20)가 장착되는 캔버스(30)의 해당부위에 이 평판화상기(20)의 배면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직대(12)를 기준으로 평판화상기(20)의 배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지지돌부(21)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수직대(12)의 외주면 후방측을 감싸 평판화상기(20)의 양측 지지돌부(21)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띠(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띠(40)가 위치되는 중앙수직대(12)의 해당부위에 이 지지띠(40)의 하단부를 떠받치는 받침돌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21)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평판화상기(20)의 배면 및 지지띠(40)의 양측에 각각 체결홈(20a) 및 관통공(40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띠(40)의 관통공(40a)을 평판화상기(20) 배면의 체결홈(20a)에 일치시켜 상기 지지돌부(21)를 체결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평대(11)의 다리(11a)는 이 하단수평대(1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길다란 막대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대(12)는 상, 하방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대(12)의 높이조절 구조는,
    상기 하단수평대(11)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부(12a)와, 이 고정부(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12b)와, 상기 고정부(12a)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내부의 승강부(12b) 외주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여 상기 승강부(12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12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30)의 표면에 심미감을 더하기 위한 소정의 그림이나 문양 등이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KR1020100005601A 2010-01-21 2010-01-21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KR10107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01A KR101078262B1 (ko) 2010-01-21 2010-01-21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01A KR101078262B1 (ko) 2010-01-21 2010-01-21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86A KR20110085686A (ko) 2011-07-27
KR101078262B1 true KR101078262B1 (ko) 2011-10-31

Family

ID=4492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01A KR101078262B1 (ko) 2010-01-21 2010-01-21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2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48Y1 (ko) 2001-06-19 2001-10-17 주식회사 포인트광고 현수막 걸이대
KR200319602Y1 (ko) 2003-04-21 2003-07-16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48Y1 (ko) 2001-06-19 2001-10-17 주식회사 포인트광고 현수막 걸이대
KR200319602Y1 (ko) 2003-04-21 2003-07-16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86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4010B2 (en) Variable LED display screen
US7453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display panels onto wall surface
CN101282638B (zh) 能够倾斜的弹性安装系统
KR20140141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23375A1 (en)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KR20110071547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W201408067A (zh) 顯示器支撐模組
CA2837945C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202140U (ja) テレビ台
KR101078262B1 (ko)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KR102135535B1 (ko) 티비에 장착이 가능한 다기능 거치대
KR101143526B1 (ko)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US20100254557A1 (en)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varying sound transmission and a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KR101072387B1 (ko)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US20140036199A1 (en) Display device
CN208185815U (zh) 重型可移动支架
US11334111B2 (en) Display device
KR102451486B1 (ko) 이젤형 tv 거치대
KR20140123806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1033173B1 (ko)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JP2007272097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の吊下げ装置
KR1017880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및 벽걸이 겸용 장착유닛
CN217875029U (zh) 一种多功能电视机支架
KR100860054B1 (ko) 범용 스탠드 장치
CN103899894A (zh) 平板电视机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