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00Y1 -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00Y1
KR200246900Y1 KR2020010019366U KR20010019366U KR200246900Y1 KR 200246900 Y1 KR200246900 Y1 KR 200246900Y1 KR 2020010019366 U KR2020010019366 U KR 2020010019366U KR 20010019366 U KR20010019366 U KR 20010019366U KR 200246900 Y1 KR200246900 Y1 KR 200246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wires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00Y1/ko
Priority to US10/480,521 priority patent/US7216850B2/en
Priority to CNB028117069A priority patent/CN100380758C/zh
Priority to PCT/KR2002/001063 priority patent/WO2003005516A1/en
Priority to CA002449271A priority patent/CA2449271A1/en
Priority to MXPA03011498A priority patent/MXPA03011498A/es
Priority to AU2002304197A priority patent/AU2002304197B2/en
Priority to EP02730989A priority patent/EP1396057A1/en
Priority to JP2003511368A priority patent/JP3987489B2/ja
Priority to JP2007042944A priority patent/JP4209920B2/ja
Priority to US11/783,918 priority patent/US7387294B2/en

Link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시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구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모든 공사를 함에 있어서, 그 이설되는 전선 및 전선이선기구를 전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면상 ㄷ 자형 고정대(10)의 양측에 각각 축지지부(11)(11')를 설치하고, 일측 축지지부(11)에는 지지봉(12)을 축설하여 조임통(13)을 끼워 스프링(14)으로 탄설하여 록킹장치(15)에 의해 지지봉(12)에 지지되게 하고, 지지봉(12) 후측의 나사봉(16)에는 조임구(17)를 나사 삽입하고,
타측 축지지부(11')에는 체인용 걸이홈(21)과 핀삽입공(22)을 갖는 고정구(20)를 축설하여 조임통(13)에 연결된 체인(18)이 연결하여 보조완금을 전주에 결합 고정되게 하므로서 이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여 전선이선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Fixing device for auxiliary cross arm for the use of damping electric-wire-moring device}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시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구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모든 공사를 함에 있어서, 그 이설되는 전선 및 전선이선기구를 전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장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정전 공법을 위해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전선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교체 및 이설전선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신구전선간의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가 끊기지 않는 무정전으로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여 전력부하 절체작업없이 2회선 이상의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을 도모한 신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배전공사시에도 완금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거나 신구전선의 교체 및 이설과 함께 완금을 함께 교체할 시에는 전기한 전선이선기구 및 연선기구 또는 이선된 전선을 설치할 고정물이 없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이설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완금교체가 수반되는 배전공사시에도 별도의 보조완금을 전주에 가설하여 이에 전선을 직접 이선시키거나 전선이선기구 및 연선기구등을 설치하여 전선을 이선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전기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신구전선의 전주내 이설에 의해 무정전 교체 및 이설이 가능하게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고정장치에 대한 핀장주용 보조완금 결합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 고정장치에 대한 인류주 및 내장주용 보조완금 결합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 고정장치를 핀장주용 완금에 사용하는 상태의 실시예도
도 5 는 본 고안 고정장치를 인류주 및 내장주용 완금에 사용하는 상태의 실시예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 클램핑 수단의 조임통 작동 설명도로서,
도 6a 는 조임통의 후진상태
도 6b 는 조임통의 1차 전진상태
도 6c 는 조임통의 2차 전진상태
도 7 은 본 고안 고정구의 상세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대 11, 11' : 축지지부
12 : 지지봉 13 : 조임통
14 : 스프링 15 : 록킹장치
16 : 나사봉 17 : 조임구
18 : 체인 19 : 안전핀
20 : 고정구 21 : 체인용 걸이홈
22 : 핀삽입공 30 : 핀장주용 보조완금
31 : 연결결합구 32 : 활선용 장선기 고리
33 : 연장아암 40 : 인류주 및 내장주용 보조완금
41 : 지지아암 42 : 수직지지대
43 : 보조지지수단 50 : 전선이선기구
51 : 연선롤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단면상 ㄷ 자형 고정대(10)의 양측에 각각 축지지부(11)(11')를 설치하고, 일측 축지지부(11)에는 지지봉(12)을 축설하여 조임통(13)을 끼워 스프링(14)으로 탄설하여 록킹장치(15)에 의해 지지봉(12)에 지지되게 하고, 지지봉(12) 후측의 나사봉(16)에는 조임구(17)를 나사 삽입하고,
타측 축지지부(11')에는 체인용 걸이홈(21)과 핀삽입공(22)을 갖는 고정구(20)를 축설하여 조임통(13)에 연결된 체인(18)이 연결고정되게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대하여 핀장주에 사용되는 보조완금을 결합 사용키 위한 실시예도이다.
연결결합구(31)에, 활선용 장선기 연결고리(32)가 형성된 연장아암(33)을 결합 형성한 핀장주용 보조완금(30)을, 그 연결결합구(31)에 고정대(10)를 삽입 결합되게 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대하여 인류주 및 내장주에 사용되는 보조완금을 결합 사용키 위한 실시예도이다.
ㄷ자형으로 형성한 지지아암(41)과 그 중앙의 수직지지대(42) 하부에 전기한 지지수단 즉, 지지봉(12)과 스프링(14)으로 탄설된 조임통(13), 나사봉(16), 조임구(17) 및 체인(18)과 그 고정용 고정구(20)로 된 보조지지수단(43)으로 형성된 인류주 및 내장주용 보조완금(40)을, 그 지지아암(41)이 전기한 고정대(10)에 결합 사용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인류주 및 내장주 또는 핀장주의 완금의 현수애자 또는 LP애자등에 설치된 전선을 무정전공법에 의해 교체하고저 전선을 이설시킬 때에 완금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여 기존의 전선을 타 장소로 옮기고, 새전선을 설치하는 것인데, 완금의 조건상 전선이선기구의 설치가 곤란하거나 아예 완금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시에는 그 전선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그 이선용 전선 이선 기구를 별도의 장소에 부착하여야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조완금은 그 고정장치를 전주에 직접 장착하므로서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인데, 먼저 고정대(10)를 적당 위치에 위치시킨 후, 일측 축지지부(11)에 축설된 조임통(13)에 결합된 체인(18)을 고정구(20)의 체인용 걸이홈(21)에 끼워 고정시킨고, 그 선단의 안전핀(19)을 핀삽입공(22)에 끼워 체인(18)의 안전한 체결이 가능하다.
이때 도 6a의 도시와 같이 조임통(13)이 스프링(14)을 압축하고 후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조임통(13)의 록킹장치(15)를 눌러 해제시키면 도 6b의 도시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의 탄발력으로 조임통(13)이 1차 전진하여 체인(18)이 당겨지면서 이에 의해 1차적으로 체인(19)이 전주의 주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렇게 1차적으로 밀착된 고정장치는 다시 도 6c의 도시와 같이 그 후측의 조임구(17)를 돌리게 되면 조임구가 나사봉(16)을 타고 전진하면서 조임통(13)을 전진방향으로 압축하면서 2차로 전진시켜 체인(18)을 더욱 긴장되게 하여 그 체인(18)의 긴장력으로 전주의 주면에 완전 체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장착된 고정장치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고정대(10)에 보조완금(30)의 연결결합구(31)에 의해 보조아암을 결합하고, 그 보조아암에 대하여 전선이선기구(50)를 장착하여 그 선단의 연선롤러(51)등으로 완금 상부의 전선을 이선시키거나 활선용장선기고리(32)(32')에 이선되는 전선을 직접 연결하여 전선을 직접 이선할 수 있다.
또 현수애자등이 설치된 인류주 및 내장주의 경우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2열 완금용 보조완금(40)을 설치하는 것인데, 지지아암(41)을 고정대(10)에 결합하므로서, 기존의 내장주용 2열 완금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되므로서 기존의 내장주용 완금에 설치되던 전선 이선기구(50)를 설치하여 전선을 이설시킬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내장주용 보조완금(40)에는 그 하부에 별도의 보조지지수단(43)이 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 의 도시와 같이 이에 설치되는 전선이선기구(50)가 비교적 큰 장력이 걸리고 무겁더라도 밑으로 쳐지지 않고,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시에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구전선간의 교체 및 이설을 무정전으로 실시함에 있어서, 전주에 고정할 수 있는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고정장치를 제공하므로서 기존 완금위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거나 완금자체를 교체할 시에도 전선을 보조완금에 이선되게 하거나 별도의 전선이선기구의 설치가 가능하여 이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을 이선시켜 가며 용이하게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면상 ㄷ 자형 고정대(10)의 양측에 각각 축지지부(11)(11')를 설치하고, 일측 축지지부(11)에는 지지봉(12)을 축설하여 조임통(13)을 끼워 스프링(14)으로 탄설하여 록킹장치(15)에 의해 지지봉(12)에 지지되게 하고, 지지봉(12) 후측의 나사봉(16)에는 조임구(17)를 나사 삽입하고,
    타측 축지지부(11')에는 체인용 걸이홈(21)과 핀삽입공(22)을 갖는 고정구(20)를 축설하여 조임통(13)에 연결된 체인(18)이 연결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대(10)에 활선용 장선기 연결고리(32)가 형성된 연장아암(33)을 형성한 핀장주용 보조아암(30)의 연결결합구(31)를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대(10)에 지지아암(41)과 수직지지대(42) 및 보조지지수단(43)으로 된 인류주 및 내장주용 보조완금(40)의 지지아암(41)을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고정용 보조완금 고정장치.
KR2020010019366U 2001-06-11 2001-06-27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KR200246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66U KR200246900Y1 (ko) 2001-06-27 2001-06-27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JP2003511368A JP3987489B2 (ja) 2001-06-11 2002-06-05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
PCT/KR2002/001063 WO2003005516A1 (en) 2001-06-11 2002-06-05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CNB028117069A CN100380758C (zh) 2001-06-11 2002-06-05 电线杆内的换线装置和非掉电的配电方法
US10/480,521 US7216850B2 (en) 2001-06-11 2002-06-05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CA002449271A CA2449271A1 (en) 2001-06-11 2002-06-05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XPA03011498A MXPA03011498A (es) 2001-06-11 2002-06-05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AU2002304197A AU2002304197B2 (en) 2001-06-11 2002-06-05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EP02730989A EP1396057A1 (en) 2001-06-11 2002-06-05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JP2007042944A JP4209920B2 (ja) 2001-06-11 2007-02-22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US11/783,918 US7387294B2 (en) 2001-06-11 2007-04-12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66U KR200246900Y1 (ko) 2001-06-27 2001-06-27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900Y1 true KR200246900Y1 (ko) 2001-10-17

Family

ID=7310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66U KR200246900Y1 (ko) 2001-06-11 2001-06-27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774B1 (ko) 2008-06-04 2008-09-09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클램프 장치
KR100925068B1 (ko) 2007-09-05 2009-11-04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068B1 (ko) 2007-09-05 2009-11-04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100857774B1 (ko) 2008-06-04 2008-09-09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클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294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CN111585201B (zh) 一种用于高压配电系统检修装备
CN105337233A (zh) 一种可调式通用街码
CN208507983U (zh) 一种j型线夹带电接火装置、系统和j型线夹夹持机构
JP5268778B2 (ja) 腕金交換装置
KR101165991B1 (ko)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
KR200246900Y1 (ko) 전선 이선기구 고정용 보조 완금 고정장치
CN207651936U (zh) 一种绝缘穿刺线夹夹持装置和快速安装工具
CN107017592A (zh) 一种用于绑紧电缆的绑线装置
CN111175546A (zh) 一种便携式电缆试验支撑架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0357685Y1 (ko) 전력선 이선 및 완금 교체 기구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N2919621Y (zh) 开关柜并柜连接器
CN214794884U (zh) 一种线束导通测试装置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883912B1 (ko)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CN207329977U (zh) 一种用于收纳网线的整理系统
KR100558607B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선로공법 및 그전선이선기구
JP5279515B2 (ja) 腕金交換装置
CN219329462U (zh) 一种电力接线装置
CN219833643U (zh) 一种弱电工程建筑安装辅助固定机构
KR200344995Y1 (ko) 전력선 이선을 위한 내장주 완금 고정장치
JP3082648B2 (ja) 柱上開閉器の開閉操作綱用固定装置
CN204538274U (zh) 锁销式负荷转移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