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912B1 -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 Google Patents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912B1
KR100883912B1 KR1020080011406A KR20080011406A KR100883912B1 KR 100883912 B1 KR100883912 B1 KR 100883912B1 KR 1020080011406 A KR1020080011406 A KR 1020080011406A KR 20080011406 A KR20080011406 A KR 20080011406A KR 100883912 B1 KR100883912 B1 KR 10088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liding member
holes
member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신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1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철탑 상부에 가설된 광파이버 케이블과 광파이버 케이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하부에 가설된 송전선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는 제1,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제3, 제4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부재와, 제1, 제2 부재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제1, 제2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1, 제2 부재에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볼트와 지지너트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체결되고 송전선이 결합되는 크레비스 심블과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는 송전선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정함으로써 광파이버 케이블과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든다.
Figure R1020080011406
송·배전선, 길이조정

Description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Link mechanism for adjusting length of power cable}
본 발명은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철탑 상부에 가설된 광파이버 케이블과 광파이버 케이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하부에 가설된 송전선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송전 계통의 마지막 단계인 배전 변전소로 보내기 위해 설치하는 전선을 송전선이라고 하며, 송전선은 대전압의 전류가 흐를 수 있어야 하므로 송·배전용 철탑에 의해 지지되어 연장된다.
송·배전용 철탑에는 또한 통신 등을 위한 광파이버 케이블이 함께 연장되는 경우가 많다. 광파이버 케이블은 송전선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송전선과 함께 철탑에 지지되어 연장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송전선과의 접촉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을 통한 전송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전선과 광파이버 케이블이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을 인위적으로 당겨 송전선의 장력을 높일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간격 유지 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웠다.
따라서 간단하게 송전선을 잡아당기고 당겨진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송전선과 광파이버 케이블 사이의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철탑 상부에 가설된 광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철탑에 가설되는 송전선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의 길이조정이 용이한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는 평판형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일측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통홀과 이격된 지점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3, 제4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제2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제3 관통홀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송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철탑에 고정되는 크레비스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제2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제4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체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체결홀과 이격된 지점에 제5 관통홀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 제4 관통홀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1, 제2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분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고정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입홈이 형성된 이동부분과, 상기 이동부분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분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부분을 구비하는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너트와, 일측에 상기 제5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제2 결합홀들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체결되고 송전선이 결합된 크레비스 심블과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제2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는 송전선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정함으로써 광파이버 케이블과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100)는 평판 형상의 제1, 제2 부재(10,20)와,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40)와, 제1, 제2 부재(10,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3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0)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60)와, 상기 제1, 제2 부재(10,20)에 상기 슬라이딩부재(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시키는 지지볼트(50) 및 지지너트(56)를 구비한다.
제1 부재(10)는 평판형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일측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관통홀(11)과 이격된 지점에 제2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슬라이딩부재(40)와 접촉하는 제1 부재(10)의 내측면에는 논슬립패드(13)가 부착되어 있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 관통홀(11,12)에 대응하는 제3, 제4 관통홀(21,22)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40)와 접촉하는 제2 부재(20)의 내측면에도 논슬립패드(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논슬립패드(13)에 의해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부재(40)가 이탈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제1, 제2 부재(10,20)와 슬라이딩부재(4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100)가 송전선(67)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링크부재(30)는 제1, 제2 부재(10,20)에 체결되어 철탑에 설치되는 크레비스(34)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제3 관통홀(11,21)에 대응하는 제1 결합홀(32)이 형성된 제1 결합부분(31)과, 제1 결 합부분(31)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크레비스(34)와 연결될 수 있는 고리부분(33)을 갖는다.
제1 체결볼트(71)가 제1 관통홀(11)과 상기 제1 결합홀(32) 및 제3 관통홀(21)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제2 부재(20)의 외측면을 통해 돌출된 제1 체결볼트(71)의 단부에 제1 체결너트(7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 링크부재(30)가 제1, 제2 부재(10,2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40)는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체결홀(4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부재(10,20)와 접촉하지 않는 일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링크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는 제5 관통홀(4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체결홀(41)들은 상기 체결홀(41)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 영역에서 슬라이딩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체결홀(41)의 직경에 비해 높이가 낮은 슬라이딩홀(4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렌치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5 관통홀(43)과 인접한 지점에 렌치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작업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41)은 상기 제2, 제4 관통홀(12,22)을 통해 삽입되는 지지볼트(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제4 관통홀(12,2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재(40)는 지지볼트(50)와 지지너트(56)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 제2 부재(10,20)에 체결되는데, 상기 지지볼트(50)는 제2 관통홀(12)과 체결홀(41) 및 제4 관통홀(22)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슬라이딩부재(40)가 제1, 제2 부재(10,20)에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볼트(50)는 제2 관통홀(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 또는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분(51)과, 상기 헤드부분(51)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분(52)과, 고정부분(52)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이동부분(53) 및 이동부분(53)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확장부분(55)을 구비한다.
고정부분(52)은 제2, 제4 관통홀(12,22) 및 체결홀(41)을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40)가 제1, 제2 부재(10,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제2 부재(10,20) 및 슬라이딩부재(40)의 폭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체결시 제2 관통홀(12)과 체결홀(41) 및 제4 관통홀(22)을 가로지를 수 있게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분(52)의 직경이 체결홀(41)의 직경에 대응하기 때문에 고정부분(52)이 복수개의 체결홀(41)들 중 선택된 하나의 체결홀(41)에 삽입되면 슬라이딩부재(40)는 제1, 제2 부재(10,20)에 대해 슬라이딩 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동부분(53)은 고정부분(52)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체결홀(41)들을 연결시키는 슬라이딩홀(42)을 통해 슬라이딩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입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분(53)은 슬라이딩부재(4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동부분(53)이 슬라이딩부재(40)에 위치하도록 지지볼트(50)를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부재(40)를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확장부분(55)은 이동부분(53)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고정부분(5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확장부분(55)은 지지볼트(50)가 제1, 제2 부재(10,20) 및 슬라이딩부재(40)에 체결되었을 때, 제2 부재(20)의 외측면을 통해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분(52)과 이동부분(53) 및 확장부분(55)은 모두 지지너트(56)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볼트(50)가 고정부분(52)이 제2, 제4 관통홀(12,22) 및 체결홀(41)을 모두 관통하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너트(56)에 의해 고정되면 고정부분(52)이 선택된 체결홀(41)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부재(40)가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지지너트(56)를 풀고 이동부분(53)이 슬라이딩부재(40)에 위치하도록 지지볼트(50)를 당기면 이동부분(53)에는 인입홈(5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홀(42)을 통해 이동부분(53)이 인접한 체결홀(41)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40)를 이동시켜 원하는 체결홀(41)에 지지볼트(50)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지지볼트(50)를 밀어넣어 고정부분(52)이 선택된 체결홀(4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제2 부재(10,20)에 대해 슬라이딩부재(4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동부분(53)을 통해 슬라이딩부재(40)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지지볼트(50)를 제1, 제2 부재(10,20) 및 슬라이딩부재(4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슬라이딩부재(4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링크부재(60)는 슬라이딩부재(40)와 송전선(67)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부재(40)의 양측면을 감싸며 제5 관통홀(43)과 대응되는 제2 결합홀(62)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분(61)과, 제2 결합부분(6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결합홀(62)과 직교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3 결합홀(64)이 형성되어 있어서, 송전선(67)이 내장그립에 의해 클램핑되어 고정된 크레비스(34) 심블이 결합되는 클램핑부분(63)을 구비한다.
제2 결합부분(61)이 슬라이딩부재(40)의 일측 단부 양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5 관통홀(43)과 제2 결합홀(62)들이 일치되면 제2 체결볼트(73)를 제2 결합홀(62)과 제5 관통홀(4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제2 체결너트(74)를 나사결합하여 슬라이딩부재(40)와 제2 링크부재(60)를 체결한다.
이후, 크레비스 심블(65)을 제3 체결볼트(75)와 제3 체결너트(76)를 이용하여 클램핑부분(63)에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40)와 송전선(67)이 연결된다.
이렇게 제1 링크부재(30)가 철탑에 고정되는 크레비스(34)에 연결되고 슬라이딩부재(40)가 송전선(67)과 연결된 크레비스(34) 심블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40)를 제1, 제2 부재(10,20)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송전선(67)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에 송전선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Claims (2)

  1. 평판형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일측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통홀(11)과 이격된 지점에 제2 관통홀(12)이 형성된 제1 부재(10)와;
    상기 제1 부재(10)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 관통홀(11,12)에 대응되는 제3, 제4 관통홀(2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20)와;
    상기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 상기 제1, 제3 관통홀(11,21)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71)에 의해 체결되며, 송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철탑에 고정되는 크레비스(34)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30)와;
    상기 제1, 제2 부재(10,20)의 사이에 상기 제1, 제2 부재(1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제4 관통홀(12,2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체결홀(4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41)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체결홀(41)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홀(42) 및 상기 체결홀(41)과 이격된 지점에 제5 관통홀(43)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0)와;
    상기 제2, 제4 관통홀(12,22) 및 상기 체결홀(41)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40)를 상기 제1, 제2 부재(10,20)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관통홀(1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분(51)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1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분(51)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부재(10,2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40)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분(52)과, 상기 고정부분(52)의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4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홀(42)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입홈(54)이 형성된 이동부분(53)과, 상기 이동부분(53)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분(5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확장부분(55)을 구비하는 지지볼트(50)와;
    상기 지지볼트(50)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너트(56)와;
    일측에 상기 제5 관통홀(43)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6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관통홀(43)과 제2 결합홀(62)들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73)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40)에 체결되고 송전선이 결합된 크레비스 심블(65)과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제2 부재(10,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패드(13)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100).
  2. 삭제
KR1020080011406A 2008-02-04 2008-02-04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KR10088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06A KR100883912B1 (ko) 2008-02-04 2008-02-04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06A KR100883912B1 (ko) 2008-02-04 2008-02-04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912B1 true KR100883912B1 (ko) 2009-02-17

Family

ID=4068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406A KR100883912B1 (ko) 2008-02-04 2008-02-04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51B1 (ko) 2017-05-19 2017-09-26 (주)기선전력 154kV T/L 보호배전반용 고정형 폴리머 점퍼지지애자 장치 및 점퍼선 간격 조절장치의 설치방법
CN107425493A (zh) * 2017-05-08 2017-12-01 江东金具设备有限公司 一种直拉型耐张补强装置
KR20190012897A (ko) * 2017-07-30 2019-02-11 양대기 지선그립 체결을 위한 공간 확장용 지선롯드 클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6627A (ja) * 1992-05-12 1993-11-26 Kyoei Senzai Kk ケーブル支持線をケーブル支柱に連結する連結金具
KR200379729Y1 (ko) 2004-12-22 2005-03-23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의 길이조정 링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6627A (ja) * 1992-05-12 1993-11-26 Kyoei Senzai Kk ケーブル支持線をケーブル支柱に連結する連結金具
KR200379729Y1 (ko) 2004-12-22 2005-03-23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의 길이조정 링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5493A (zh) * 2017-05-08 2017-12-01 江东金具设备有限公司 一种直拉型耐张补强装置
KR101782051B1 (ko) 2017-05-19 2017-09-26 (주)기선전력 154kV T/L 보호배전반용 고정형 폴리머 점퍼지지애자 장치 및 점퍼선 간격 조절장치의 설치방법
KR20190012897A (ko) * 2017-07-30 2019-02-11 양대기 지선그립 체결을 위한 공간 확장용 지선롯드 클램프
KR101997969B1 (ko) * 2017-07-30 2019-07-08 양대기 지선그립 체결을 위한 공간 확장용 지선롯드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72B1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101673986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0883912B1 (ko)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KR102333248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04847122A (zh) 一种用于张拉叉耳式拉索或钢拉棒的装置组件及其张拉施工方法
KR100931978B1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KR100749386B1 (ko) 전선케이블형 경완금 연결장치
JP4884927B2 (ja) 単心ケーブルの拘束および引き戻し用装置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CN208650390U (zh) 插板式箱型梁可调连接节点
KR20180016135A (ko) 변류기
CN102377150B (zh) 进行线路引导和进行线路锚定的系统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JP2008245343A (ja) 超電導ケーブル用支持治具
KR20110096738A (ko)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US20020082096A1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KR10087633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0379729Y1 (ko) 전선의 길이조정 링크
JP2015142399A (ja) 耐張クランプ
CN220673300U (zh) 一种线缆固定安装装置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JP2018200836A (ja) 弛度調整用連結具
KR200478092Y1 (ko) 송전선 고정장치
CN108683124A (zh) 紧线器线夹及紧线装置
CN203769282U (zh) 10kV双回路耐张收线辅助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