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57Y1 -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57Y1
KR200246157Y1 KR2020010017262U KR20010017262U KR200246157Y1 KR 200246157 Y1 KR200246157 Y1 KR 200246157Y1 KR 2020010017262 U KR2020010017262 U KR 2020010017262U KR 20010017262 U KR20010017262 U KR 20010017262U KR 200246157 Y1 KR200246157 Y1 KR 200246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ashing
line
bulbous
agricultura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2020010017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5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감자, 고구마, 무우, 당근 등의 구근류 농산물을 자동세척 및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산물을 이송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에서 공급된 농산물에 물을 분사하면서 세척하는 세척라인과, 상기 세척라인을 통과한 농산물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라인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들은 그 양단이 세척본체의 내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브러쉬롤러들의 각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세척측 체인기어를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들이 세척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건조라인은 그 내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채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스폰지롤러와, 상기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는 각 스폰지롤러의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건조측 체인기어를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건조측 체인기어들이 건조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Automatic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of farm products}
본 고안은 감자, 고구마, 무우, 당근 등의 구근류 농산물을 자동세척 및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작물인 감자, 고구마, 무우, 당근 등의 구근류 농산물은 밭에서 수확할 때 흙이 많이 묻어있게 되며, 흙이 많이 묻어있는 상태로 농산물을 출하하게 될 경우에는 상품가치가 떨어져 제 가격을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구근류 농산물의 경우에는 출하하기 전에 물로 세척하여 흙을 제거한 다음 건조하여 곧바로 출하하거나 또는 소비시장이 원하는 신선도를 유지시키면서 위생생적으로 저온창고에 저장하였다가 적절한 출하시기를 선택하여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구근류 농산물을 세척 및 건조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농산물의 산지 또는 배송지 등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구근류 농산물 세척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브러쉬롤러(100)의 양단 각각에 두개씩의 내,외측 체인기어(101)(102)를 축설한 다음 브러쉬롤러(100)들을 서로 인접한 것끼리 두개씩 짝을 지어놓고 그 짝을 이루는 두개의 브러쉬롤러의 양단에 축설된 내측 체인기어(101)끼리는 내측 체인(201)으로연결시키는 한편, 상기에서 내측 체인(201)으로 연결되지 않은 브러쉬롤러(100)들의 외측 체인기어(102)들끼리는 외측 체인(202)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다수의 브러쉬롤러(100)들이 다수의 내,외측 체인(201)(20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게 하여 어느 하나의 브러쉬롤러(100)에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시키게 되면 다른 브러쉬롤러(100)들 모두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다수의 브러쉬롤러(100)의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하여 브러쉬롤러들이 회전하면서 흙을 털어내는 작동과 함께 분사되는 물로 세척하는 작동으로 구근류 농산물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브러쉬롤러(100)들의 설치간격(피치)는 일정한 반면에, 세척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브러쉬롤러(100)의 직경이 크고 작은 것을 선택하여 설치하여야만 구근류 농산물의 이송과 세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위해 앞서 설치된 브러쉬롤러(100)를 헤체하고 선택된 직경을 가지는 브러쉬롤러(100)로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각 브러쉬롤러(100)들 양단에 축착된 내,외측 체인기어(101)(102)에 교대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내,측 체인(201)(202)을 모두 해체하여야만 교체가 가능한 데 각 브러쉬롤러(100)들 각각의 양단에 축착된 내,외측 체인기어(101)(102)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내,외측 체인(201)(202)을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들기 때문에 기계를 다루는 전문가가 아닌 사람은 브러쉬롤러(100)의 교체작업을 수행하는데 상단히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교체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으며, 더우기 브러쉬롤러(100)의 교체작업에 필요한 공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경우 예를 들면, 기계의 조립 및 해체에 필요한 공구가 준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근류 농산물의 생산지나 또는 배송지에서는 브러쉬롤러의 교체작업 자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건조장치는 매쉬망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스텐롤러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구조로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을 이송시킴과 동시 가열된 열풍을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에 송풍하여 그 표면에 묻어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단으로 건조하고 있으나, 이는 전기 또는 기름을 연료로 하는 열풍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사용 및 유지비가 매우 많이 든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열풍으로 구근류 농산물에 묻어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신선도를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열풍에 의한 증발 건조시 농산물의 표피가 열풍에 의해 살짝 익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어 농산물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며, 또한 저온창고에 저장되었던 농산물의 경우에는 저온상태에서 갑자기 고온상태로 온도가 급변하는 과정에서 부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건조장치는 구근류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없음은 물론 오히려 품질을 현격히 떨어뜨리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구근류 농산물의 표표에 묻어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세척 및 제거하는 세척라인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브러쉬롤러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생산지 또는 배송지 등의 현장에서 볼트를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브러쉬롤러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건조라인에서는 세척라인에서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을 받아서 이송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자체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스폰지롤러로 구성하고 자연풍을 송풍시키는 수단으로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고품질의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호퍼에 투입된 구근류 농산물을 콘베이어벨트로 이송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에서 공급된 구근류 농산물에 물을 분사하면서 다수의 브러쉬롤러로 세척하는 세척라인과, 상기 세척라인을 통과한 구근류 농산물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라인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들은 그 양단이 세척본체의 내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브러쉬롤러들의 각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세척측 체인기어를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들이 세척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건조라인은 그 내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채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스폰지롤러와, 상기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는 각 스폰지롤러의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건조측 체인기어를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건조측 체인기어들이 건조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세척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롤러의 상방측 적당한 위치에는 분사되는 물과 브러쉬롤러에 의해 세척되는 구근류 농산물에서 튀기는 흙탕물이 건조라인의 건조본체로 구근류 농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통로측으로 튀기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흙탕물 차단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건조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스폰지롤러 각각의 하부측에는 스폰지롤러의 하부를 압착하여 스폰지에 흡수된 물을 짜내는 스퀴즈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건조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스폰지롤러 각각의 하부측에는 스폰지롤러의 하부를 압착하여 스폰지에 흡수된 물을 짜내는 스퀴즈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건조라인의 상부에는 건보본체 내부로 자연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다수의 스폰지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을 자연풍으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각 라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각 라인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송라인과 세척라인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의 회전작동상태 발췌도.
도 7은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물받이통 상단부의 구성상태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Y-Y선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스폰지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스폰지롤러에서 수분을 짜내는 스퀴지판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폰지롤러에서 수분을
짜내는 스퀴즈롤러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3은 종래 기술의 세척장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라인 2 : 세척라인
3 : 건조라인 4 : 브러쉬롤러
5 : 세척측 물받이 6 : 물분사관
7 : 스폰지롤러 8 : 건조측 물받이
9 : 물받이탱크 11a,11b : 지주
12 : 콘베이어 본체 13 : 호퍼
14 : 콘베이어벨트 141 : 이송돌부
15a,15b : 구동축 및 연동축 16 : 모터
21 : 세척본체 22 : 뚜껑
23,33 : 하부측 지지대 24,41,34,71 : 베어링 하우징
25a,35a : 구동축 25b,35b : 연동축
26a,36a : 구동체인기어 26b,36b : 연동체인기어
27 : 세척측 구동체인 27a,37a : 지지레일
37 : 건조측 구동체인 28,38 : 상부측 지지대
29,39 : 세척측 및 건조측 모터
42 : 세척측 체인기어 51 : 절개홈
52 : 비산방지판 53 : 흙탕물 차단판
72 : 건조측 체인기어 73a,73b : 스퀴즈판 및 스퀴즈롤러
74 : 송풍기 75 : 확산커버
76 : 통풍구 77 : 배출통로
213 : 투입통로 214 : 이송통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각 라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2는 본 고안의 각 라인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이송라인과 세척라인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의 회전작동상태 발췌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세척라인의 물받이통 상단부의 구성상태 발췌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Y-Y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스폰지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스폰지롤러에서 수분을 짜내는 스퀴즈판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건조라인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퀴즈롤러에서 수분을 짜내는 스퀴즈롤러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이송라인을, 2는 세척라인을, 3은 건조라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각 라인은 각기 분리 제작된 상태에서 조립식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라인(1)은 바퀴가 달린 지주(11a)에 의해 이동 및 고정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상기 세척라인(2)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콘베이어 본체(12)와 호퍼(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베이어 본체(12)의 경사부 내측에는 콘베이어벨트(14)가 설치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콘베이어벨트(14)는 콘베이어 본체(12)의 상,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5a) 및 연동축(15b)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15a)은 모터(16)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콘베이어벨트(1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베이어벨트(14)에는 다수의 구근류 농산물을 한줄씩 상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송돌부(141)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호퍼(13)는 구근류 농산물을 담아주는 저장부(131)와 구근류 농산물을 콘베이어벨트(14)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저장부(131)는 지주(11b)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132)는 콘베이어벨트(14)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콘베이어 본체(12) 경사부의 중간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세척라인(2)의 세척본체(21)는 전,후면(211)(212)이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식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본체(21)의 상부를 덮어주는 뚜껑(22)은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세척본체(21)의 전,후면(211)(212) 상부 또는 뚜껑(22)에는 구근류 농산물의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투시창(도시 생략)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세척라인(2)의 세척본체(21) 내부의 양측 즉, 전,후면(211)(212)에 근접한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하부측 지지대(23) 각각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24)에 구동축(25a)과 연동축(25b)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구동축(25a) 및 연동축(25b) 각각의 양단에 축착된 구동체인기어(26a)와 연동체인기어(26b)에는 전,후 양측의 세척측 구동체인(27)이 서로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측 지지대(23)의 상방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상부측 지지대(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측 지지대(28) 위에 다수의 브러쉬롤러(4)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브러쉬롤러(4)들 각각은 금속롤러의 외주면에 브러쉬가 심겨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브러쉬는 구근류 농산물의 표피를 손상시키지 않고 표피에 묻어있는 흙은 털어낼 수 있 탄력을 가진 재질로 된 것이면 만족한 것인데, 그 일례로서 우레탄 재질로 된 브러쉬를 들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러쉬롤러(4)들 각각의 양단은 상기 상부측 지지대(28) 위에 베어링 하우징(41)으로 부착 및 해체가 용이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브러쉬롤러(4)들 각각의 양단 끝부분에는 각기 하나씩의 세척측 체인기어(42)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42)들은 상기 세척측 구동체인(27)의 상부에 얹어진 상태로 치합되어 있다. 즉,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42)들은 브러쉬롤러(4)의 양단에 미리 조립된 베어링 하우징(41)을 상부측 지지대(28)에 볼트로 조립하게 되면 상기 세척측 구동체인(27)의 상부에 치합되는 것이며, 한편 상부측 지지대(28)에 조립된 베어링 하우징(41)에서 볼트를 나사풀림하여 브러쉬롤러(4)를 해체하게 되면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42)는 세척측 구동체인(27)에서 쉽게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측 구동체인(27)의 상부는 지지레일(27a)로 받쳐주므로서 그 상부가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작동을 하도록 하여 다수의 브러쉬롤러(4) 각각의 양단에 축착된 세척측 체인기어(42)들이 항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본체(21)의 내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상으로 다수 설치된 브러쉬롤러(4)들 하측에는 세척측 물받이(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측 물받이(5)의 상단은 브러쉬롤러(4)의 상부보다 높게 설치하므로서 후술하는 물분사관(6)에서 분사되는 물과 브러쉬롤러(4)에 의해 발생되는 흙탕물이 세척측 물받이(5)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양측 상부측 지지대(28) 안쪽에서 브러쉬롤러(4)의 상부보다 높게 상향으로 연장되는 세척측 물받이(5)의 전,후측 상단에는 다수의 브러쉬롤러(4)의 축을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상방이 개방된 'U'자형의 절개홈(5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도 7 참조), 또한 'U'자형의 절개홈(51)들은 비산방지판(52)으로 커버하여 흙탕물이 세척측 물받이(5)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세척본체(21) 내측의 최상부 즉, 뚜껑(22) 바로 밑에는 브러쉬롤러(4)들의 회전작동에 따라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관(6)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다수의 물분사관(6)들은 세척본체(21) 외측에 설치된 펌프(도시 없음)로부터 펌핑되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도시 없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척본체(21)의 내부에는 세척측 구동체인(27)을 회전작동시키는 세척측 모터(29)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측 모터(29)의 출력체인기어(291)와 구동축(25a)의 일단에 축착된 동력전달체인기어(292)는 동력전달체인(29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척본체(21)의 일측(도면상 우측) 상부에는 이송라인(1)의 콘베이어벨트(14)로부터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을 받아서 세척본체(21) 내부로 투입시켜주는 투입통로(2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세척본체(21)의 타측(도면상 좌측) 상부에는 브러쉬롤러(4)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을 건조라인(3)의 건조본체(31)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통로(2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본체(21) 내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롤러(4)에 의해 구근류 농산물이 이송되는 통로의 적당한 위치로서, 상기한 이송통로(21)측에 편중된 위치에는 흙탕물 차단판(5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은 투입통로(213)를 통해 투입되는 구근류 농산물에는 흙이 많이 묻어있는 상태에서 브러쉬롤러(4)의 브러쉬와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될 때 사방으로 튀기는 흙탕물이 이송통로(214)측으로 튀지 않도록 하므로서 이송통로(214)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은 흙이 묻어있지 않은 상태로서 건조본체(31)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므로서 브러쉬롤러(4)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이 흙탕물 차단판(53)으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흙탕물 차단판(53)을 밀어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건조라인(3)의 건조본체(31)는 전술한 세척본체(21)와 같이 그 전,후면이 도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외주면에 두께가 두터운 스폰지가 원통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된 다수의 스폰지롤러(7)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다수의 스폰지롤러(7)들은 전술한 세척라인(2)의 브러쉬롤러(4)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다.
즉, 건조본체(3) 내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된 하부측 지지대(33) 각각의양단에 볼트로 조립된 베어링 하우징(34)에 구동축(35a)과 연동축(35b)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35a) 및 연동축(35b) 각각의 양단에도 구동체인기어(36a)과 연동체인기어(36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체인기어(36a)와 연동체인기어(36b)에는 건조측 구동체인(37)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폰지롤러(7)들 각각의 양단은 상부측 지지대(38)에 볼트로 해체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 하우징(71)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다수의 스폰지롤러(7)들 각각의 양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건조측 체인기어(72)들은 건조측 구동체인(37)의 상부에 얹어진 상태로 치합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라인(3)의 건조측 구동체인(37)의 상부도 지지레일(37a)로 받쳐주어 처지는 현상없이 스폰지롤러(7)들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건조측 체인기어(72)들이 항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건조본체(31)의 내부에도 건조측 물받이(8)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건조측 물받이(8) 역시 다수의 스폰지롤러(7)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본체(31)의 내부에도 건조측 구동체인(37)을 회전작동시키는 건조측 모터(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측 모터(39)의 출력체인기어(391)과 동력전달체인기어(392)은 동력전달체인(393)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건조본체(31)에 설치된 다수의 스폰지롤러(7) 각각의 하부에는 스폰지를 압착하는 스퀴지판(73)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폰지롤러(7) 자체는 건조본체(31) 내부로 이송된 구근류 농산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스퀴즈판(73)은 회전작동하는 스폰지롤러(7)의 하부를 압착하여 스폰지에 흡수된 물기를 짜내는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스퀴즈판(73) 각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스폰지롤러(7)의 하부를 압착하여 물기를 짜냄과 동시 스폰지롤러(7)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는 작용도 겸하게 된다.
그리고 스폰지롤러(7)에 흡수된 물을 짜내는 스퀴즈판(73) 대신에 도 12의 도시예와 같이 스폰지롤러(7) 각각의 하부를 스퀴즈롤러(73a)가 압착하도록 구성하는 수단으로 스폰지롤러(7)에 흡수된 물기를 짜낼 수 있다. 즉, 상기 스퀴즈롤러(73a)는 스폰지롤러(7)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그 하부를 압착하여 물기를 짜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본체(31)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 스폰지롤러(7)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에 송풍시키는 송풍기(7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송풍기(74)에 의하여 건조본체(31) 내부로 송풍되는 자연풍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스폰지롤러(7)측으로 확산되어 송풍되게 하는 확산커버(7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확산커버(75)는 송풍기(74)에 의하여 송풍되는 자연풍을 확산시키는 작용과 함께 외부의 이물질이 건조본체(31)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본체(31)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송풍기(74)로부터 송풍되어 다수의 스폰지롤러(7)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을 건조한 자연풍을 배출시키는 통풍구(7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다수의 스폰지롤러(7)를 타고 이송되면서 건조된 구근류 농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7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세척본체(21) 내부에 설치되어 흙탕물을 받아주는 세척측 물받이(5)의 배출통로와 건조본체(31)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스폰지롤러(7)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주는 건조측 물받이(8)의 배출통로 각각은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양측의 배출통로는 별도로 제작된 물받이탱크(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받이탱크(9)의 배출구를 상부에 형성하는 구조로서 흙은 가라앉게 하고 흙이 침전처리된 물만 배출되게 하므로서 하수도나 하천 등을 흙으로 오염시키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이송라인(1)과 세척라인(2) 및 건조라인(3)을 일려로 배치시키고, 또한 물받이탱크(9)는 세척측 물받이(5) 및 건조측 물받이(8) 각각의 배출통로에 연결된 상태가 되게 적당한 위치에 배치시킨 다음, 이송라인(1)의 모터(16)와 세척라인(2)의 세척측 모터(29) 및 건조라인(3)의 건조측 모터(39)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펌프(세척라인의 물분사관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말함)를 구동시키고, 이어서 세척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을 이송라인(1)의 호퍼(13) 저장부(131)에 투입하게 되면 그 투입된 구근류 농산물은 하향으로 경사진 이송부(13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14)로 이송되는데, 상기 콘베이어벨트(14)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이송돌부(141)에 의하여 다수의 구근류 농산물은 한줄로 배열된 상태로 상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렇게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은 콘베이어벨트(14)의 상단에 이르러서는 세척라인(2)의 투입통로(213)을 통해 세척본체(21)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라인(2)의 세척본체(21) 내부로 투입된 구근류 농산물은 회전하는 브러쉬롤러(4)의 브러쉬와의 마찰작용으로 그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 떨어지게 됨과 동시 물분사관(6)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세척되는 것이며, 또한 브러쉬롤러(4)에 마찰하게 되는 그근류 농산물은 회전하는 브러쉬와의 마찰작용에 의하여 브러쉬롤러(4)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돌면서 이송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구근류 농산물의 표면은 브러쉬롤러(4)에 고르게 마찰하게 되고 또 물이 골고루 분사되는 상태가 되어 흙의 세척작동이 잘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베이어벨트(14)는 구근류 농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상태이므로 투입통로(213)를 통해 투입되는 구근류 농산물이 앞서 투입되어 브러쉬롤러(4)와 마찰되고 있는 구근류 농산물을 밀어주게 되므로서 상기 세척본체 내부에 투입된 구근류 농산물은 브러쉬롤러(4)의 상방을 타고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세척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브러쉬롤(4)의 회전작동에 의해 구르면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은 흙탕물 차단판(53)에 도달하는 동안 그 표면에 묻어있는 흙은 대부분 세척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물분사관(6)에서 분사되는 물은 구근류 농산물에 부딪쳐 사방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이 비산되는 흙탕물은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을 기준하여 투입통로(213)측 이송공간에서 비산되는 흙탕물이 이송통로(214)측 이송공간으로 튀기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흙탕물 차단판(53)을 밀어내면서 이송통로(214)측 이송공간으로 이동되는 구근류 농산물은 흙이 대부분 세척된 상태에서 물분사관(6)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재차 세척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상기 이송통로(214)를 통해 건조라인(3)으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은 깨끗하게 세척된 상태로 건조본체(31)로 이송 투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척라인(2)의 세척본체(21)에서 구근류 농산물을 세척할 때 발생된 흙탕물은 세척측 물받이(5)에 떨어진 후 배출통로를 통해 물받이탱크(9)로 보내지게 되며, 상기 물받이탱크(9)는 흙탕물을 받아서 흙은 침전되게 한 다음 흙이 제거된 물만 배출시키게 되므로 하수도 또는 하천에 흙을 배출시키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물받이탱크(9)에 많은 량의 흙이 침전되었을 때에는 그 침전된 흙을 제거한 다음 다시 흙탕물을 받아주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세척라인(2)에서 세척된 구근류 농산물은 물기가 많이 묻어있는 상태로 이송통로(214)를 통해 건조라인(3)의 건조본체(31) 내부로 이송되며, 상기 건조본체(31) 내부로 이송된 구근류 농산물은 다수의 스폰지롤러(7)의 스폰지와 접촉게 되며, 또한 구근류 농산물은 스폰지롤러(7)와 맞물린 상태이므로 스폰지롤러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구르면서 배출통로(77)쪽을 향해 이송되는 상태가 되므로 구근류 농산물은 그 표면이 다수의 스폰지롤러(7) 각각에 골고루 접촉하면서 이송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구근류 농산물 표면에 묻어있는 물기는 다수의 스폰지롤러(7) 각각의 스폰지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 상태가 되므로서 송풍기(74)에서 흡입하여 건조본체(31) 내부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 즉, 자연풍으로도 쉽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롤러(7)의 하부에는 스퀴즈판(73) 또는 스퀴즈롤러(73a)가 압착하여 물기를 짜내고 있는 상태이므로 각 스폰지롤러(7)가 회전작동으로 그 상부에서 이송되고 있는 구근류 농산물에 묻어있는 물기를 흡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스퀴즈판(73) 또는 스퀴즈롤러(73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수한 물기를 배출시키게 되며, 이렇게 스퀴즈판(73) 또는 스퀴즈롤러(73a)에 의해 물기를 짜낸 부분은 다시 물기를 흡수하는 흡수력이 복원되므로 다수의 스폰지롤러(7)들은 그들의 상부에서 서로 밀면서 이동되는 구근류 농산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흡수 제거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의 스폰지롤러(7)에 의해 물기가 제거되면서 이동하고 있는 구근류 농산물은 송풍기(74)에서 송풍되는 자연풍에 의해 건조되는 상태이므로 구근류 농산물이 이송통로(214)를 통해 건조본체(31)로 투입된 다음 다수의 스폰지롤러(7)를 타고 배출통로(77)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물기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건조된 구근류 농산물은 배출통로(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근류 농산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 및 건조하는 본 고안의 특징중에 하나는 세척라인(2) 및 건조라인(3)은 세척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종류 및 크기에 적합한 직경을 가지는 브러쉬롤러(4)와 스폰지롤러(7)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세척라인(2)의 브러쉬롤러(4)와 건조라인(3)의 스폰지롤러(7) 각각은 세척측 구동체인(27)과 건조측 구동체인(37)의 상부에 얹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측 지지대(28)(38)에 설치된 각 베어링 하우징(41)(71)들의 볼트를 나사풀림한 다음 브러쉬롤러(4)와 스폰지롤러(7)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그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세척측 체인기어(42)와 건조측 체인기어(72)를 세척측 및 건조측 구동체인(27)(37)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교체하고자 하는 브러쉬롤러(4)와 스폰지롤러(7) 각각의 양단에 조립된 베어링 하우징(41)(71)을 상부측 지지대(28)(38)에 볼트로 나사조립하게 되면 브러쉬롤러(4) 및 스폰지롤러(7)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됨과 동시 그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세척측 및 건조측 체인기어(42)(72)를 세척측 및 건조측 구동체인(27)(37)에 치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척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브러쉬롤러(4)와 스폰지롤러(7)를 누구든지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와 건조라인의 스폰지롤러를 구구든지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세척 및 건조하고자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종류와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적합한 직경의 브러쉬롤러와 스폰지롤러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구근류 농산물의 세척 및 건조작업을 효율적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건조라인에서는 세척라인에서 세척된 후 건조본체로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에 묻어있는 물기를 스폰지롤러가 흡수 제거함과 동시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자연풍으로 구근류 농산물을 건조하도록 하므로서 구근류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소비자에서 고품질의 구근류 농산물을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호퍼에 투입된 구근류 농산물을 콘베이어벨트로 이송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에서 공급된 구근류 농산물에 물을 분사하면서 다수의 브러쉬롤러로 세척하는 세척라인과, 상기 세척라인을 통과한 구근류 농산물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라인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의 브러쉬롤러들은 그 양단이 세척본체의 내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브러쉬롤러들의 각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세척측 체인기어를 세척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세척측 체인기어들이 세척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건조라인은 그 내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채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스폰지롤러와, 상기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방에 위치하는 각 스폰지롤러의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건조측 체인기어를 건조측 구동체인의 상부에 얹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건조측 체인기어들이 건조측 구동체인에 치합되어 회전작동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롤러의 상방측 적당한 위치에는 분사되는 물과 브러쉬롤러에 의해 세척되는 구근류 농산물에서 튀기는 흙탕물이 건조라인의 건조본체로 구근류 농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통로측으로 튀기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흙탕물 차단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스폰지롤러 각각의 하부측에는 스폰지롤러의 하부를 압착하여 스폰지에 흡수된 물을 짜내는 스퀴즈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스폰지롤러 각각의 하부측에는 스폰지롤러의 하부를 압착하여 스폰지에 흡수된 물을 짜내는 스퀴즈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라인의 상부에는 건보본체 내부로 자연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다수의 스폰지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근류 농산물을 자연풍으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2020010017262U 2001-06-11 2001-06-11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200246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62U KR200246157Y1 (ko) 2001-06-11 2001-06-11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62U KR200246157Y1 (ko) 2001-06-11 2001-06-11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57Y1 true KR200246157Y1 (ko) 2001-10-17

Family

ID=730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62U KR200246157Y1 (ko) 2001-06-11 2001-06-11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5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76B1 (ko) * 2002-10-29 2005-03-10 김유태 농산물 포장전처리장치
KR100827758B1 (ko) * 2006-11-17 2008-05-07 (주)지엠시스템 구근류 세척 및 건조장치
KR100833533B1 (ko) 2006-09-25 2008-05-29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KR200456224Y1 (ko) 2010-03-23 2011-10-20 강상곤 농산물 세척기용 브러시로울러
KR101727571B1 (ko) 2015-04-29 2017-04-17 최락경 구근류 세척기
CN112674363A (zh) * 2020-12-30 2021-04-20 彭满芬 一种蔬菜自动清洗机器人的清洗方法
KR102293703B1 (ko) * 2020-11-18 2021-08-24 정이영 구근표피 제거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76B1 (ko) * 2002-10-29 2005-03-10 김유태 농산물 포장전처리장치
KR100833533B1 (ko) 2006-09-25 2008-05-29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KR100827758B1 (ko) * 2006-11-17 2008-05-07 (주)지엠시스템 구근류 세척 및 건조장치
KR200456224Y1 (ko) 2010-03-23 2011-10-20 강상곤 농산물 세척기용 브러시로울러
KR101727571B1 (ko) 2015-04-29 2017-04-17 최락경 구근류 세척기
KR102293703B1 (ko) * 2020-11-18 2021-08-24 정이영 구근표피 제거 방법 및 장치
CN112674363A (zh) * 2020-12-30 2021-04-20 彭满芬 一种蔬菜自动清洗机器人的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218B1 (ko) 과일세척기
CN211100343U (zh) 一种农副产品加工用清洗装置
CN101305694B (zh) 机械湿擦清洁禽蛋的方法及设备
KR200246157Y1 (ko)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US59794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ruit
CN212065544U (zh) 一种输送带式肉类清洗机
KR20160128865A (ko) 구근류 세척기
CN109967349A (zh) 一种蔬菜自动筛选清洗装置
CN113788594A (zh) 一种畜牧养殖用粪污干湿分离装置
KR100787983B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07897975A (zh) 一种清洗效率高的水果清洗装置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CN107646742B (zh) 滚筒式洗蛋器
DE102007006787A1 (de) Reinigungssystem für Wärmerückgewinnung
CN211298362U (zh) 一种带皮果蔬清洗装置
CN112352979A (zh) 一种即食蔬菜的自动化消毒流水线
KR20090009500A (ko) 농작물 세정 장치
CN103404948B (zh) 一种组合式清洗清皮机
KR101984503B1 (ko) 구근류 세척장치
CN110584160A (zh) 一种水果自动清洗设备
CN212355338U (zh) 用于运输健康食品的高效传输设备
KR101041562B1 (ko) 놀이터 모래 보수장치
CN211861742U (zh) 一种蔬菜自动漂烫加工机
CN107876466B (zh) 一种猪舍清洁装置
KR100768400B1 (ko) 무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