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702Y1 -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702Y1
KR200245702Y1 KR2019990009563U KR19990009563U KR200245702Y1 KR 200245702 Y1 KR200245702 Y1 KR 200245702Y1 KR 2019990009563 U KR2019990009563 U KR 2019990009563U KR 19990009563 U KR19990009563 U KR 19990009563U KR 200245702 Y1 KR200245702 Y1 KR 200245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grain
cylinder
oil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101U (ko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2019990009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7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702Y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착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가 구성되어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또한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device for oil guide in oil press}
본 고안은 참기름을 비롯한 각종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착유기는 참깨, 들깨 등과 같은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기기인 것으로, 이러한 착유기는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곡물을 압축하여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 압축 착유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 착유방식 착유기는 착유통의 내부에 착유대상 곡물을 넣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대를 상승시키면서 착유통에 담긴 곡물을 고정대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시킬도록 구성되는 데, 이 착유기는 곡물을 착유통에 투입할 때 고정대에 걸려 간섭됨으로서, 투입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투입시 부주의하게 되면 곡물이 착유통의 외부로 흩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에 의해 승하강되는 외주연부에 기름받이홈부(3a)를 구비한 승강대(3)와; 상기 승강대(3) 위에 설치되고 곡물이 투입되는 압축실(4a)이 구비되며 추출된 기름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유통(4)과; 상기 착유통(4)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름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착유통받침대(5)와; 상기 착유통(4)의 압축실(4a)로 삽입되어 곡물을 압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대(6)와; 상기 고정대(6)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7)과; 상기 프레임(7)이 받침대(1)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8)로 구성되는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에 설치된 호퍼(9)에 담겨 있는 곡물이 고정대(6)의 투입구(6a)를 통해 착유통(4)의 압축실(4a)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착유통(4)의 중앙에는 중앙배출관(10)에 끼워지는 중앙공과 기름이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가진 한 쌍의 압축보조판(11)(11')이 곡물의 사이에 개재되게 하여 착유되도록 하고, 또한 하부결합대(12)에 배출구를 구비한 간격유지대(14)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대수개의 관체편을 게재시킨 상태로 배출틈새를 형성시켜 그 상부에 상부결합대(13)를 결합하여 기름이 배출틈새로 유입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고정대(6)의 투입구(6a)가 댐퍼(6b)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한 착유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착유기는, 곡물을 간헐적으로 투입하고 간헐적으로 투입되는 곡물과 곡물의 사이에 압축보조판을 개재시키는 과정과, 곡물이 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댐퍼의 작동 과정과, 곡물의 압축과정이 종료된 후 압축실로부터 유박을 이탈시키는 과정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작업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량의 곡물을 투입하여 일시에 가압하게 됨으로서 곡물의 외측부가 집중적으로 다져지게 되어 착유된 기름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함과 아울러 압축할 때 발생하는 높은 마찰열에 의해 곡물이 타게 됨으로서, 기름 고유의 향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유대상 곡물의 단위 면적에 비례하여 유압실린더의 압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압축 효율이 저하되며, 이렇게 압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의 용량을 증대시켜야 함으로서 기기가 대형화 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건 출원인은 1999년 특허출원 제 13356호로 곡물착유기를 출원한바 있다.
선출원 곡물착유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착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가 구성되어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출원된 곡물 착유기는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압축피스톤(36)의 전진에 의해 곡물을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단면과 압축피스톤(36)의 선단면이 기름의 압력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 판스프링(368)의 유입홈(368a)과 가이드홈(366)을 경유하여 배출공(367)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찌거기가 착유실린더(31)의 환봉(312) 사이에 형성된 간극(313)에 끼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반복되면 간극(313)이 막힐 우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축피스톤이 전진하여 곡물을 압착할 때 통공성형실린더의 선단면과 압축피스톤의 단면 사이로 유입되는 기름을 압축실린더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차단하고 통공성형실린더의 환봉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서, 기름에 함유된 찌꺼기에 의해 착유실린더의 간극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공성형실린더의 선단에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름을 내측에 형성된 환봉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름안내부를 구성하고, 상기 안내부의 중심과 대향하는 압축실린더의 단면에 기름안내부의 선단 외경을 소정 깊이 탄력있게 수용하는 수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곡물 착유기의 정면도
도 2는 선출원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a는 압축실린더로부터 유박이탈안내부재가 이격된 상태이고,
b는 압축실린더에 유박이탈안내부재가 수용된 상태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곡물이 착유실린더로 공급되는 과정이고,
b는 착유실린더로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이며,
c는 압축이 완료되어 성형된 유박이 분리되는 과정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지부 21: 고정판
22: 지지블록 23: 유박이탈안내부재
30: 착유부 31: 착유실린더
32: 호퍼 33: 작동로드
35: 실린더 36: 압축피스톤
38: 안내봉 40: 통공성형부
41: 고정피스톤 42: 통공성형실린더
50: 기름배출안내부 60: 수용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착유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착유기는, 선출원된 바와 같이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키게 되면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며, 압축이 완료된 후 압축피스톤(36)과 착유실린더(31)를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구성되는 착유부(3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이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통공성형부(40)로 구성된다.
이러한 곡물 착유기에 있어 본 고안 기름 배출 안내장치는,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에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름을 내측에 형성된 환봉(422) 사이의 간극(4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름배출안내부(50)를 구성하고,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의 중심과 대향하는 압축피스톤(36)의 단면에 기름배출안내부(50)의 선단 외경을 소정 깊이 탄력있게 수용하는 수용부(6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는, 외주연에 소정 길이의 환봉(422)이 간극(423)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 단면에 방사상으로 기름안내홈(51)이 구비되고, 각 기름안내홈(51)이 만나는 원통(421)의 단면 중심에 소정 깊이의 고정공(52)이 통공되어 이에 스프링(53)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원통(421)의 단면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홈(541)이 형성된 판스프링(54)이 구비되며, 이 판스프링(54)의 외경과 전방을 감싸고 통공성형실린더(4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리형상으로 된 고정링(55)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링(55)의 내측에 상기 판스프링(54)을 끼워 넣고 고정링(55)의 내측면을 환봉(422)으로 연결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측단면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수용부(60)는, 압축피스톤(36) 가압봉(364)의 선단 중앙에 직경이 다르게 단차를 이룬 수용홈(61)이 구비되고, 이 수용홈(61)의 직경이 큰 선단 측면에 공기구멍(611)이 통공되며, 직경이 작은 단면의 중심에 너트공(6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61)에 삽입되어 실링 상태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몸체 선단과 후단을 크고 작은 직경으로 단이 지도록 형성하고, 직경이 큰 몸체 선단의 외주면에 오링(622)을 개재하며, 몸체 선단의 중심에서 후단의 중심을 향해 3중으로 단이 지도록 고정홀(621)을 관통한 작동부재(62)가 구비된다. 이 고정홀(621)의 선단에는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단은 고정볼트(63)의 머리가 전`후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후단은 고정볼트(63)의 나선부를 수용하는 직경으로 통공된다.
이러한 작동부재(62)는 스프링(65)이 삽입된 수용홈(61)에 수납하고, 수납된 작동부재(62)의 고정홀(621)에 고정볼트(63)를 삽입하여 수용홈(61) 후단면에 형성된 너트공(612)에 체결한 후 고정홀(621)의 선단에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여 수용홈(61)을 폐쇄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착유기로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착유대상 곡물(A)이 착유실린더(31)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통공성형부(40)의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유압이 작용하여 고정로드(412)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은오일안내홀(416)을 경유하여 제1실(42A)로 충진되고 제2실(42B)에 충진된 오일은 제2오일안내관(415)으로 역류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에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렇게 전진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은 도 6a에서 상세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54)의 중심이 작동부재(62)의 중심에 밀착되면서 압축됨과 동시에 고정링(55)의 전면이 작동부재(62)를 가압하고 가압된 작동부재(62)는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고정볼트(63)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볼트(63)의 머리가 세트스크류(64)에 밀착되는 순간 고정링(55)의 두께가 수용홈(61)의 선단으로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때 수용홈(61)의 후방공기는 공기구멍(6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수용홈(61)은 작동부재(62)의 선단 외주면에 개재된 오링(622)에 의해 실링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퍼(32)의 출구(321) 후단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통공성형실린더(42)가 정지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호퍼(32)에 담긴 곡물은 출구(321)를 통해 통공성형실린더(42)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유압이 제1오일유입공(373)과 안내봉(38)의 오일유입홀(381)을 경유하여 로드(362)에 형성된 유압실A(363)로 유입되고, 압축피스톤(36)은 실린더(35)를 따라 외향으로 전진한다. 이때 실린더(35) 외측에 형성된 유압실B(35A)의 단면적은 커지면서 진공 흡인력이 작용하여 오일은 제2오일유입공(374)을 경유하여 유압실B(35A)로 충진되고, 그 반대측에 형성된 공기실(35B)의 단면적이 축소되면서내부의 공기는 공기구멍(3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진과 동시에 전진하는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은 호퍼(32)의 출구(321)를 폐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시키고, 추출된 기름은 착유실린더(31)의 각 환봉(312) 사이에 형성된 간극(313)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압축피스톤(36)이 전진함과 동시에 가압봉(364)의 선단에 밀착된 통공성형실린더(42)가 동시에 후진하는 과정을 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42A)에 충진된 오일은 오일안내홀(416)을 통해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역류하여 배출되고, 제2오일안내관(415)을 통해 유입된 오일은 제2실(42B)에 충진되어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를 따라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진한 압축피스톤(36)의 압력으로는 더 이상 곡물을 압축하지 못하는 시점에서 유압은 유압실B(35A)로 유입되어 압축피스톤(36)의 헤드(361) 후방을 강하게 가압하여 압축피스톤(36)을 높은 압력으로 전진시킴으로서, 곡물에 잔류한 기름을 추출시킨다.
한편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 사이로 유입된 기름은 세트스크류(64)에 의해 폐쇄되고 오링(622)으로 실링된 수용부(60)로 유입되지 않고 도 5b에서 상세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54)의 표면에 와류형으로 절개된 절개홈(541)을 통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기름안내홈(51)으로 안내되어 원통(421)의 외경에 형성된 환봉(422)의 간극(423)을 경유하여 지지부(20)의 지지블록(22)에 형성된 기름안내홈(222)과 배출공(2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한 후 유박(W)을 이탈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의해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유압실AB(363)(35A)의 오일이 오일탱크(T)로 퇴출됨으로서 압축피스톤(36)은 소정 거리 후퇴한다. 이때 지지블록(22)의 선단에 형합된 유박이탈안내부재(23)는 유박(W)의 내측면을 탄력있게 밀어 지지블록(2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어서 지지블록(22)과 착유실린더(31)의 양측에 연결된 작동로드(33)가 전진하여 착유실린더(31)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통공성형실린더(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하여 유박(W)의 중앙으로부터 분리되면 도너츠 형태로 유박(W)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유박(W)은 하부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곡물에 함유된 기름이 착유되고, 중앙이 통공된 도너츠 형태의 유박(W)이 이탈되면 착유실린더(31)는 복원되어 지지블록(22)에 밀착되고, 통공성형실린더(42)가 고정피스톤(41)에 안내되어 전진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해 압축피스톤(36)을 후진시킨다. 이렇게 복원이 완료되어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 선단이 호퍼(32)의 출구(321)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2)에 담긴 곡물이 착유실린더(31)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을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압축피스톤이 전진하여 곡물을 압착할 때 통공성형실린더의 선단면과 압축피스톤의 단면 사이로 유입되는 기름을 압축실린더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통공성형실린더의 환봉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서, 기름에 함유된 찌꺼기에 의해 착유실린더의 간극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착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로 구성된 곡물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통공성형부(40)의 통공성형실린더(42) 선단에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름을 환봉(422) 사이의 간극(423)을 통해 외부로 배출 안내하도록 구성된 기름배출안내부(50)와;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의 중심과 대향하는 압축피스톤(36)의 단면에 기름배출안내부(50)의 선단 외경을 소정 깊이 탄력있게 수용하는 수용부(6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름배출안내부(50)는,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 단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기름안내홈(51)이 구비되고, 각 기름안내홈(51)이 만나는 원통(421)의 단면 중심에 스프링(53)이 고정되는 고정공(52)이 통공되며, 상기 원통(421)의 단면에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홈(541)이 형성된 판스프링(54)이 밀착되며, 이 판스프링(54)의 외경과 전방을 감싸 내측면을 통공성형실린더(42)의 측단면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고정링(55)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용부(60)는,
    압축피스톤(36) 가압봉(364)의 선단 중앙에 직경이 다르게 단차를 이루고 선단 측면에 공기구멍(611)이 통공된 수용홈(6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61)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선단과 후단을 크고 작은 직경으로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선단의 외주면에 오링(622)을 개재하며 몸체의 선단 중심에서 몸체의 후단 중심을 향해 3중으로 단이 지도록 고정홀(621)을 관통한 작동부재(6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62)를 스프링(65)이 삽입된 수용홈(61)에 수납하고, 수납된 작동부재(62)의 고정홀(621)에 고정볼트(63)를 삽입하여 수용홈(61) 후단면 중앙에 체결한 후 고정홀(621)의 선단에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여 수용홈(61)을 폐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KR2019990009563U 1999-06-01 1999-06-01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KR200245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63U KR200245702Y1 (ko) 1999-06-01 1999-06-01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63U KR200245702Y1 (ko) 1999-06-01 1999-06-01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01U KR19990035101U (ko) 1999-09-06
KR200245702Y1 true KR200245702Y1 (ko) 2001-09-25

Family

ID=5475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563U KR200245702Y1 (ko) 1999-06-01 1999-06-01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7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59B1 (ko) * 2018-01-15 2019-09-06 김형선 액상 추출기
CN112548047A (zh) * 2020-11-04 2021-03-26 青岛新东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单工位造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01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7480B1 (en) Coffee extraction system
US4557190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scrap materials, such as relatively comminuted scrap metal, waste, and the like
EP0037041B1 (en) Press for continuously expressing liquid out of a mass
ES2191503A1 (es) Extractor de zumo con control hidraulico de extraccion.
US4536920A (en) Two stage meat strainer
KR102058446B1 (ko) 곡물 착유기
KR200245702Y1 (ko)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EP0193147B1 (de) Entwässerungspresse für Textilien
EP0677376A1 (en) A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bales of loose materials
EP0340377A1 (en) A method for treating garbage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0308371B1 (ko) 곡물 착유기
EP3297503B1 (de) Einrichtung zur zubereitung von kaffee in einer automatischen kaffeemaschine
KR200180088Y1 (ko)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US4128371A (en) Device for pressing out material in the form of a strand
SE449961B (sv) Press for avvattning och kompaktering av avfallsmaterial
KR19990045999A (ko) 착유기
CA2163639C (en) Method for supplying material for pressing to a filter press
US10869490B2 (en) Method of and press for separating cocoa mass into cocoa butter and cocoa cake
JPH0472393A (ja) 搾油方法及び装置
KR102580050B1 (ko) 착유기
KR200259137Y1 (ko) 곡물 착유기
GB1146210A (en) Dewatering screw press structure
US594297A (en) Press
JPH08187499A (ja) 汚泥処理用脱水機
SU11367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лучени с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