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088Y1 -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88Y1
KR200180088Y1 KR2019990025379U KR19990025379U KR200180088Y1 KR 200180088 Y1 KR200180088 Y1 KR 200180088Y1 KR 2019990025379 U KR2019990025379 U KR 2019990025379U KR 19990025379 U KR19990025379 U KR 19990025379U KR 200180088 Y1 KR200180088 Y1 KR 200180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charge hole
cylinder
discharg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몽필
Original Assignee
김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필 filed Critical 김몽필
Priority to KR2019990025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062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봉(422)의 간극(423)과 대응하는 작동부재(62) 몸체 선단(623)의 일정 각도 분할된 위치에 후방으로 통공되는 제1배출공(71)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61)의 후단에 상기 제1배출공(71)으로부터 유입된 기름을 후방으로 안내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제2배출공(72)이 제1배출공(71)과 동일한 원주상에 다수 구성되고, 상기 가압봉(364) 후방의 하부 중심에 상기 제2배출공(72)으로 안내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배출공(74)이 구성되어 압축피스톤이 전진하여 곡물을 마지막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호 면 접촉된 작동부재의 단면과, 통공성형실린더에 구성된 판스프링의 단면 사이로 유입된 기름을 가압봉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내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내압에 의해 통공성형실린더가 내압에 의해 강제로 후퇴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device for oil guide in oil press}
본 고안은 참깨, 들깨와 같은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착유기는 참깨, 들깨 등과 같은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기기인 것으로, 이러한 착유기는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곡물을 압축하여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 압축 착유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 착유방식 착유기는 착유통의 내부에 착유대상 곡물을 넣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대를 상승시키면서 착유통에 담긴 곡물을 고정대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시킬도록 구성되는 데, 이 착유기는 곡물을 착유통에 투입할 때 고정대에 걸려 간섭됨으로서, 투입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투입시 부주의하게 되면 곡물이 착유통의 외부로 흩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1999년 특허출원 제13356호로 곡물착유기를 출원한바 있다.
선출원 곡물착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착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가 구성되어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출원된 곡물 착유기는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압축피스톤(36)의 전진에 의해 곡물을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단면과 압축피스톤(36)의 선단면이 기름의 압력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 판스프링(368)의 유입홈(368a)과 가이드홈(366)을 경유하여 배출공(367)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찌거기가 착유실린더(31)의 환봉(312) 사이에 형성된 간극(313)에 끼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반복되면간극(313)이 막힐 우려가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곡물 착유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563호로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를 출원한바 있다.
이 기름배출 안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성형부(40)의 통공성형실린더(42) 선단에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름을 내측에 형성된 환봉(422) 사이의 간극(423)을 통해 외부로 배출 안내하도록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 단면에 방사상으로 기름안내홈(51)이 구비되고, 각 기름안내홈(51)이 만나는 원통(421)의 단면 중심에 스프링(53)이 고정되는 고정공(52)이 통공되며, 상기 원통(421)의 단면 외경보다 양간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홈(541)이 형성된 판스프링(54)이 구비되며, 이 판스프링(54)의 외경과 전방을 감싸고 통공성형실린더(4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리형상으로 된 고정링(55)이 구비되고, 이 고정링(55)의 내측면을 통공성형실린더(42)의 측단면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부착한 기름배출안내부(50)와;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의 중심과 대향하는 압축피스톤(36)의 단면에 기름배출안내부(50)의 선단 외경을 소정 깊이 탄력있게 수용하도록 압축피스톤(36) 가압봉(364)의 선단 중앙에 직경이 다르게 단차를 이루고 선단 측면에 공기구멍(611)이 통공된 수용홈(6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61)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선단과 후단을 크고 작은 직경으로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선단의 외주면에 오링(622)을 개재하며 몸체의 선단 중심에서 몸체의 후단 중심을 향하여 3중으로 단이 지도록 고정홀(621)을 관통한 작동부재(6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62)를 스프링(65)이 삽입된 수용홈(61)에 수납하고, 수납된작동부재(62)의 고정홀(621)의 선단에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여 수용홈(61)을 폐쇄시킨 수용부(6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 기름배출 안내장치는, 가압봉(364)을 강한 압력에 의해 전진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마지막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호 긴밀하게 면 접촉된 작동부재(62)의 단면과, 통공성형실린더(42)에 구성된 판스프링(54)의 단면 사이에 기름이 유입되어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는 강한 유압에 의해 전진하고 있는 가압봉(364)의 압력에 의해 강한 내압이 발생하면서 통공성형실린더(42)를 강제로 후퇴시킨다. 이렇게 작동부재(62)로부터 이격된 통공성형실린더(42)는 유박(W)의 외측으로 이탈하게 됨으로서, 유박(W)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던 통공은 유박(W)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유박(W)은 고체 상태가 아니고 기름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액체에 가까운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통공성형실린더(42)가 후퇴한 상태에서 가압봉(364)이 계속 전진하여 기름이 함유되어 있는 유박(W)을 가압하게 되면 기름과 많은 량의 찌꺼기가 함께 배출되어 기름의 질을 저하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기름의 회수율이 저하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다. 또한 가압봉(364)에 의한 내압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 통공성형실린더(42)가 정위치를 이탈하면서 그 충격에 의해 부품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곡물을 마지막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호 면 접촉된 작동부재의 단면과, 통공성형실린더에 구성된 판스프링의 단면 사이에 기름이 유입되어 내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내압에 의해 통공성형실린더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동부재 전방 원호상의 일정 각도 분할된 위치에 후방으로 통공되는 제1배출공을 구비하고, 작동부재를 수용하는 가압봉의 수용홈 후단에 상기 제1배출공으로부터 유입된 기름을 후향으로 안내하는 제2배출공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시키고, 가압봉의 후방 하부 중심에는 상기 제2배출공으로 안내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배출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
도 2는 선출원 기름배출 안내장치가 구성된 곡물 착유기의 단면도
도 3은 선출원 기름배출 안내장치의 내압 발생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 착유기의 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곡물이 착유실린더로 공급되는 과정이고,
b는 착유실린더로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이며,
c는 압축이 완료되어 성형된 유박이 분리되는 과정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6: 압축피스톤 42: 통공성형실린더
50: 기름배출안내부 60: 수용부
61: 수용홈 62: 작동부재
71: 제1배출공 72: 제2배출공
73: 돌기 74: 제3배출공
75: 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이 적용된 착유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 착유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곡물 착유기는, 선출원된 바와 같이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키게 되면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며, 압축이 완료된 후 압축피스톤(36)과 착유실린더(31)를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구성되는 착유부(3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이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통공성형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에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름을 내측에 형성된 환봉(422) 사이의 간극(4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름배출안내부(50)를 구성하고,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의 중심과 대향하는 압축피스톤(36)의 단면에 기름배출안내부(50)의 선단 외경을 소정 깊이 탄력있게 수용하는 수용부(60)를 구비한 기름배출 안내장치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기름배출 안내장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름배출안내부(50)는, 외주연에 소정 길이의 환봉(422)이 간극(423)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 단면에 방사상으로 기름안내홈(51)이 구비되고, 각 기름안내홈(51)이 만나는 원통(421)의 단면 중심에 소정 깊이의 고정공(52)이 통공되고 이에 스프링(53)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원통(421) 단면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홈(541)이 형성된 판스프링(54)이 구비되며, 이 판스프링(54)의 외경과 전방을 감싸고 통공성형실린더(4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리형상으로 된 고정링(55)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링(55)의 내측에는 상기 판스프링(54)을 끼워넣고 고정링(55)의 내측면을 환봉(422)으로 연결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측단면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수용부(60)는, 압축피스톤(36) 가압봉(364)의 선단 중앙에 직경이 다르게 단차를 이룬 수용홈(61)이 구비되고, 이 수용홈(61)의 후단면 중심에 너트공(6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61)에 삽입되어 실링 상태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몸체 선단(623)과 몸체 후단(624)을 크고 작은 직경으로 단이 지도록 형성하고, 몸체 선단(623)의 중심에서 몸체 후단(624)의 중심을 향해 3중으로 단이 지도록 고정홀(621)을 관통한 작동부재(62)가 구비된다. 이 고정홀(621)의 선단에는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단은 고정볼트(63)의 머리가 전`후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후단은 고정볼트(63)의 나선부를 수용하는 직경으로 통공된다.
이러한 작동부재(62)는 스프링(65)이 삽입된 수용홈(61)에 수납하고, 수납된 작동부재(62)의 고정홀(621)에 고정볼트(63)를 삽입하여 수용홈(61) 후단면에 형성된 너트공(612)에 체결한 후 고정홀(621)의 선단에 세트스크류(64)를 체결하여 수용홈(61)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기름배출 안내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작동부재(62)의 몸체 선단(623)에 일정 각도 원호상으로 분할된 위치에 후방으로 통공되는 제1배출공(71)을 구비한다. 이 제1배출공(71)은 상기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과 환봉(42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423)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62)를 수용하는 가압봉(364)의 수용홈(61) 후단에 상기 제1배출공(71)으로 유입된 기름을 후향으로 배출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제2배출공(72)을 동일한 원주상에 다수 구비한다. 이 제2배출공(72)은 제1배출공(71)들의 중심과 일치하는 원주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제2배출공(72)의 내측에는 기름이 흘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기(73)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가압봉(364)의 후방 하부 중심에는 상기 제2배출공(72)으로 유입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배출공(74)을 구비한다. 이 제3배출공(74)은 가압봉(364)의 후단에 연결된 로드(362)의 단차진 선단측 외곽 공간(75)과 통하도록 수직으로 통공시키며, 압축 완료시 상기 제3배출공(74)과 수직으로 대응하는 착유실린더(31)의 후방 중심에 제4배출공(76)을 통공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착유기로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착유대상 곡물(A)이 착유실린더(31)로 공급되는 과정을 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통공성형부(40)의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유압이 작용하여 고정로드(412)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안내홀(416)을 경유하여 제1실(42A)로 충진되고 제2실(42B)에 충진된 오일은 제2오일안내관(415)으로 역류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에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렇게 전진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은 판스프링(54)의 중심이 작동부재(62)의 중심에 밀착되면서 압축됨과 동시에 고정링(55)의 전면이 작동부재(62)를 가압하고 가압된 작동부재(62)는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고정볼트(63)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볼트(63)의 머리가 세트스크류(64)에 밀착되는 순간 고정링(55)이 수용홈(61)의 선단으로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퍼(32)의 출구(321) 후단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통공성형실린더(42)가 정지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호퍼(32)에 담긴 곡물은 출구(321)를 통해 통공성형실린더(42)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유압이 제1오일유입공(373)과 안내봉(38)의 오일유입홀(381)을 경유하여 로드(362)에 형성된 유압실A(363)로 유입되고, 압축피스톤(36)은 실린더(35)를 따라 외향으로 전진한다. 이때 실린더(35) 외측에 형성된 유압실B(35A)의 단면적은 커지면서 진공 흡인력이 작용하여 오일은 제2오일유입공(374)을 경유하여 유압실B(35A)로 충진되고, 그 반대측에 형성된 공기실(35B)의 단면적이 축소되면서 내부의 공기는 공기구멍(3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진과 동시에 전진하는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은 호퍼(32)의 출구(321)를 폐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시키고, 추출된 기름은 착유실린더(31)의 각 환봉(312) 사이에 형성된 간극(313)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압축피스톤(36)이 전진함과 동시에 가압봉(364)의 선단에 밀착된 통공성형실린더(42)가 동시에 후진하는 과정을 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실(42A)에 충진된 오일은 오일안내홀(416)을 통해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역류하여 배출되고, 제2오일안내관(415)을 통해 유입된 오일은 제2실(42B)에 충진되어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를 따라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진한 압축피스톤(36)의 압력으로는 더 이상 곡물을 압축하지 못하는 시점에서 유압은 유압실B(35A)로 유입되어 압축피스톤(36)의 헤드(361) 후방을 강하게 가압하여 압축피스톤(36)을 높은 압력으로 전진시킴으로서, 곡물에 잔류한 기름을 추출시킨다.
한편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 사이로 유입된 기름은 도 7b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62)의 몸체 선단(623)에 형성된 제1배출공(71)을 경유하여 수용홈(61)의 후단으로 배출되고, 이 기름은 제2배출공(72)을 경유하여 로드(362)의 선단 외곽에 형성된 공간(75)으로 배출되어 모이고, 공간(75)에 모인 기름은 제3배출공(74)과 제4배출공(76)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2,3배출공(71,72,74)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 사이로 유입된 기름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 사이에는 내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한 후 유박(W)을 이탈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의해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유압실A,B(363)(35A)의 오일이 오일탱크(T)로 퇴출됨으로서 압축피스톤(36)은 소정 거리 후퇴한다. 이때 지지블록(22)의 선단에형합된 유박이탈안내부재(23)는 유박(W)의 내측면을 탄력있게 밀어 지지블록(2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어서 지지블록(22)과 착유실린더(31)의 양측에 연결된 작동로드(33)가 전진하여 착유실린더(31)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통공성형실린더(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하여 유박(W)의 중앙으로부터 분리되면 도너츠 형태로 유박(W)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유박(W)은 하부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곡물에 함유된 기름이 착유되고, 중앙이 통공된 도너츠 형태의 유박(W)이 이탈되면 착유실린더(31)는 복원되어 지지블록(22)에 밀착되고, 통공성형실린더(42)가 고정피스톤(41)에 안내되어 전진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해 압축피스톤(36)을 후진시킨다. 이렇게 복원이 완료되어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 선단이 호퍼(32)의 출구(321)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2)에 담긴 곡물이 착유실린더(31)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피스톤이 전진하여 곡물을 마지막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호 면 접촉된 작동부재의 단면과, 통공성형실린더에 구성된 판스프링의 단면 사이로 유입된 기름이 고이지 않고 가압봉의 내측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내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내압에 의해 통공성형실린더가 내압에 의해 강제로 후퇴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 길이의 환봉(422)이 간극(423)이 형성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원통(421) 단면에 와류형으로 절개홈(541)이 형성된 판스프링(54)을 구비하고 이 판스프링(54)의 외경과 전방을 감싸고 통공성형실린더(4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정링(55)을 구비한 기름배출 안내부(40)가 구성되고,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 선단 중앙에 직경이 다르게 단차를 이룬 수용홈(61)을 구비하고 이 수용홈(61)에 삽입되어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몸체 선단(623)과 몸체 후단(624)을 크고 작은 직경으로 단이 지도록 작동부재(62)를 구비한 수용부(60)로 구성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봉(422)의 간극(423)과 대응하는 작동부재(62) 몸체 선단(623)의 일정 각도 분할된 위치에 후방으로 통공되는 제1배출공(71)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61)의 후단에 상기 제1배출공(71)으로 배출된 기름을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제2배출공(72)이 제1배출공(71)과 동일한 원주상에 다수 구성되고, 상기 가압봉(364) 후방의 하부 중심에 상기 제2배출공(72)으로 배출되어 모인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배출공(74)이 구비되며, 압축 완료시 상기 제3배출공(74)과 수직으로 대응하는 착유실린더(31)의 후방 중심에 제4배출공(7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2배출공(72)의 전방 내측에 제1배출공(71)을 통해 배출된 기름이 내측 중심으로 흐르지 않도록 환상의 돌기(7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3배출공(74)은,
    가압봉(364)의 후단에 연결된 로드(362)의 단차진 선단측 외곽 공간(75)과 통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KR2019990025379U 1999-11-18 1999-11-18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KR200180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379U KR200180088Y1 (ko) 1999-11-18 1999-11-18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379U KR200180088Y1 (ko) 1999-11-18 1999-11-18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88Y1 true KR200180088Y1 (ko) 2000-04-15

Family

ID=1959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379U KR200180088Y1 (ko) 1999-11-18 1999-11-18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284A (en) Hand held sheet metal joining system
JP4493733B2 (ja) 高圧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プレス
US4536920A (en) Two stage meat strainer
KR101905109B1 (ko) 수도꼭지 밸브샤프트 자동 조립장치
US61230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from a liquid-containing slurry
KR102058446B1 (ko) 곡물 착유기
RU200611416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прессованием
KR200180088Y1 (ko)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US49894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rved pipe
US6401507B1 (en) Hydroforming, in-die hydropiercing and slug-ej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47592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rved pipe
KR200245702Y1 (ko)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EP0340377B1 (en) A method for treating garbage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4575899A (en) Apparatus for severing the meat from bones
KR19990045999A (ko) 착유기
KR100308371B1 (ko) 곡물 착유기
KR102458888B1 (ko) 환형 압착장치
SE449961B (sv) Press for avvattning och kompaktering av avfallsmaterial
JPH0472393A (ja) 搾油方法及び装置
US4876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rved pipe
KR102580050B1 (ko) 착유기
US48753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rved pipe
KR200259137Y1 (ko) 곡물 착유기
DE202007006308U1 (de) Pollenpresse mit Ausstosserkolben
US1231929A (en) Separator-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