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371B1 - 곡물 착유기 - Google Patents

곡물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371B1
KR100308371B1 KR1019990013356A KR19990013356A KR100308371B1 KR 100308371 B1 KR100308371 B1 KR 100308371B1 KR 1019990013356 A KR1019990013356 A KR 1019990013356A KR 19990013356 A KR19990013356 A KR 19990013356A KR 100308371 B1 KR100308371 B1 KR 10030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ilking
grain
oi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089A (ko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076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45999A/ko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101999001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37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착유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가 구성되어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또한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착유기{an oil press}
본 발명은 참기름을 비롯한 각종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착유기는 참깨, 들깨 등과 같은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시키는 기기인 것으로, 이러한 착유기는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곡물을 압축하여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 압축 착유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 착유방식 착유기는 착유통의 내부에 착유대상 곡물을 넣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대를 상승시키면서 착유통에 담긴 곡물을 고정대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시킬도록 구성되는 데, 이 착유기는 곡물을 착유통에 투입할 때 고정대에 걸려 간섭됨으로서, 투입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투입시 부주의하게 되면 곡물이 착유통의 외부로 흩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착유기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028667호(공개일자 1998.08.05)로 공개되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곡물을 착유통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착유통에 담긴 곡물의 압축효율을 증대시키며, 중간 부분의 기름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에 의해 승하강되는 외주연부에 기름받이홈부(3a)를 구비한 승강대(3)와; 상기 승강대(3) 위에 설치되고 곡물이 투입되는 압축실(4a)이 구비되며 추출된 기름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유통(4)과; 상기 착유통(4)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름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착유통받침대(5)와; 상기 착유통(4)의 압축실(4a)로 삽입되어 곡물을 압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대(6)와; 상기 고정대(6)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7)과; 상기 프레임(7)이 받침대(1)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8)로 구성되는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에 설치된 호퍼(9)에 담겨 있는 곡물이 고정대(6)의 투입구(6a)를 통해 착유통(4)의 압축실(4a)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착유통(4)의 중앙에는 중앙배출관(10)에 끼워지는 중앙공과 기름이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가진 한 쌍의 압축보조판(11)(11')이 곡물의 사이에 개재되게 하여 착유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결합대(12)에 배출구를 구비한 간격유지대(14)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대수개의 관체편을 게재시킨 상태로 배출틈새를 형성시켜 그 상부에 상부결합대(13)를 결합하여 기름이 배출틈새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6)의 투입구(6a)가 댐퍼(6b)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착유기로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호퍼(9)에 곡물을 투입하고, 댐퍼(6b)를 조작하여 투입구(6a)를 개방시키면 착유통(4)의 압축실로(4a)로 깨가 투입된다. 이때 압축실(4a) 용적에서 1/3정도 곡물(P)이 채워지게 되면 댐퍼(6b)를 조작하여 투입구(6a)를 폐쇄시킴으로서 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이어서 착유통(4)의 압축실(4a)에 한쌍의 압축보조판(11)(11')을 넣고 댐퍼(6b)를 개방시켜 압축보조판(11) 위로 곡물(P')을 재투입한다. 이렇게 투입된 곡물이 압축실(4a)에 2/3정도 채워지게 되면 댐퍼(6b)를 폐쇄시킨 후 다른 한 쌍의압축보조판(11)(11')을 압축실(4a)에 넣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곡물(P)(P') 사이에 압축보조판(11)(11')이 개재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의 상승 동작으로 승강대(3)를 상승시키면 고정대(6)가 착유통(4)의 압축실(4a)로 삽입되어 곡물을 압축하게 됨으로서, 곡물에 함유된 기름이 추출된다. 이렇게 추출된 기름은 착유통(4) 및 착유통받침대(5)의 경계틈새를 통해 배출되어 기름받이홈부(3a)로 모여지게 되고, 이어서 출구(15)를 통해 용기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 1998-028667호 착유기는, 곡물을 간헐적으로 투입하고 간헐적으로 투입되는 곡물과 곡물의 사이에 압축보조판을 개재시키는 과정과, 곡물이 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댐퍼의 작동 과정과, 곡물의 압축과정이 종료된 후 압축실로부터 유박을 이탈시키는 과정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작업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량의 곡물을 투입하여 일시에 가압하게 됨으로서 곡물의 외측부가 집중적으로 다져지게 되어 착유된 기름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함과 아울러 압축할 때 발생하는 높은 마찰열에 의해 곡물이 타게 됨으로서, 기름 고유의 향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유대상 곡물의 단위 면적에 비례하여 유압실린더의 압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압축 효율이 저하되며, 이렇게 압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의 용량을 증대시켜야 함으로서 기기가 대형화 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또한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히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호퍼에 담긴 곡물을 착유실린더 내부로 직접 공급하고, 착유실린더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며, 압축이 완료된 후 압축피스톤과 착유실린더를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구성한 착유부와; 상기 압축피스톤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압축피스톤이 전진하여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지지부와; 상기 착유부의 압축실린더 양측을 폐쇄하여 지지부에 수평으로 결합하고, 압축피스톤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압축피스톤의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이 이탈되도록 구성한 통공성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곡물 착유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통공성형부의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1유박이탈안내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2유박이탈안내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곡물이 착유실린더로 공급되는 과정이고,
b는 착유실린더로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이며,
c는 압축이 완료되어 성형된 유박이 분리되는 과정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유박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지부 21: 고정판
22: 지지블록 23: 유박이탈안내부재
30: 착유부 31: 착유실린더
32: 호퍼 33: 작동로드
34: 제1실린더커버 35: 실린더
36: 압축피스톤 37: 제2실린더커버
38: 안내봉 39: 고정샤프트
40: 통공성형부 41: 고정피스톤
42: 통공성형실린더 S1: 제1솔레노이드밸브
S2: 제2솔레노이드밸브 S3: 제3솔레노이드밸브
C: 체크밸브 W: 유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착유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착유기는,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키게 되면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며, 압축이 완료된 후 압축피스톤(36)과 착유실린더(31)를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구성되는 착유부(3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압축피스톤(36)의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이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통공성형부(40)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20)는, 각 모서리에 체결공(211)이 통공된 고정판(21)의 한 쪽면을 소정 두께로 돌출시킨 지지블록(22)를 형성하고, 그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안내공(221)을 통공시키며, 이 안내공(221)의 내측 중심부 둘레를 외향으로 절삭 가공하여 기름안내홈(222)을 형성 하고, 이 기름안내홈(222)의 하부에는 외부로 통하도록 배출공(2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22)의 측 단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안내공(221)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멍(231)이 형성되고, 구멍(231)의 소정위치에서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된 전방에 형합되는 유박이탈안내부재(23)가 형합된다.
상기 착유부(30)는, 원형 플렌지(311)의 내측에 다수의 환봉(312)을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밀착되게 용접하고, 이 환봉(312)의 중심 내측을 원형이 되도록 절삭가공하여 각 환봉(312)의 사이에 미세하게 간극(313)을 형성하고, 그 후방에 연이어 동일한 내경의 원통(314)을 연결한 착유실린더(31)가 구성되며, 원통(314) 상부 중앙에는 호퍼(32)가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착유실린더(31) 후방의 원통(314) 양측에는 착유실린더(31)를 유박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로드(33)가 연결되고, 이 작동로드(33)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31)에 내장되며, 이 실린더(331)의 고정단은 지지블록(22)의 양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착유실린더(31)가 고정된 지지부(20)와 대향하는 일측에 지지부(20)의 고정판(21)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각 모서리에 체결공(341)이 통공되고 중앙에 피스톤안내공(342)이 통공되며 일측면에 환형으로 삽입홈(343)이 형성된 제1실린더커버(34)가 구비되며, 이 제1실린더커버(34)의 삽입홈(343)에는 선단하부에 공기구멍(351)이 통공된 소정 길이의 실린더(35) 일측이 실링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실린더(35)의 내부에는 내경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축피스톤(36)이 구성되는 데, 이 압축피스톤(36)은 헤드(361)와 연결된 로드(362)의 중앙에 일측 외향으로 개방되도록 가공한 유압실A(363)이 형성되고, 로드(362)의 선단은 제1실린더커버(34)에 형성된 피스톤안내공(34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그 단부에는 착유실린더(31)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압봉(364)이 나사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가압봉(364)의 선단면 중앙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깊이 요입된 환상의 안착홈(365)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65)의 내측면상에는 다수의 환상 및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366)이 요입되고, 상기 수직방향의 가이드홈(366)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위치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공(367)이 통공된다. 또한 중심에서 반경이 증가되는 환상의 유입홈(368a)이 절개된 소정 두께의 판스프링(368)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365)에 형합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커버(34)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각 모서리에 체결공(371)이 통공되고, 내측면에 환형으로 삽입홈(372)이 형성되며, 중앙에 제1오일유입공(373)이 통공되고, 그 하부에 제2오일유입공(374)이 통공된 제2실린더커버(3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커버(37)의 내측면 중심에는 제1오일유입공(373)과 연통하도록 오일유입홀(381)이 관통되고, 상기 압축피스톤(36)의 유압실A(363)에 삽입되어 압축피스톤(36)을 슬라이드식으로 안내하는 안내봉(38)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렇게 안내봉(38)이 고정된 제2실린더커버(37)는 안내봉(38)을 압축피스톤(36)의유압실A(363)에 삽입시킨 후 제1실린더커버(34)에 결합된 실린더(35)의 외측단에 삽입홈(372)을 끼워 결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린더(35)에 결합된 제1,2실린더커버(34)(37)는 지지부(20)의 고정판(21) 모서리에 통공된 체결공(211)과 제1,2실린더커버(34)(37)의 체결공(341)(371)을 통해 고정샤프트(39)를 연결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정샤프트(39)의 양단과 중앙 소정위치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고정판(21)의 외측과 제1,2실린더커버(34)(37)의 외측에서 너트(391)로 체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오일유입공(373)에는 두 방향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가 부착되고, 제2오일유입공(374)에는 선단에 제2솔레노이드밸브(S2)가 부착되며, 후단에 제3솔레노이드밸브(S3)를 구비하고 중앙에 오일탱크(T)를 연결한 체크밸브(C)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S1)(S2)(S3)는 오일펌프(P)에 연결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S1)의 한 방향 유로는 오일탱크(T)에 연결된다.
상기 통공성형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소정직경의 헤드(411)가 구비되고, 이 헤드(411)의 외벽 중심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결되어 단부가 케이스(413)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로드(412)가 구비되며, 이 고정로드(412)에는 고정단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1오일안내관(414)이 연결되고, 이 제1오일안내관(414)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되어 헤드(411)의 내측과 근접한 외향으로 연통되도록 제2오일안내관(415)이 연결되며, 헤드(411)에 양측으로관통하는 오일안내홀(416)이 형성된 고정피스톤(4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피스톤(41)의 고정로드(412)와 헤드(411)를 내측에 수용하여 헤드(411)를 따라 좌우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도록 양측이 폐쇄된 통공성형실린더(42)를 구성한다. 이 통공성형실린더(42)는, 일측 중심으로 고정로드(412)가 이동 가능하도록 폐쇄되고 타측이 완전히 폐쇄된 원통(421)의 타측 원주면을 내향으로 단차지게 가공하고, 단차진 원주면의 외곽에는 다수의 환봉(422)을 방사상으로 밀착되게 연이어 용접하고, 연이어 용접된 환봉(422)의 중심 내측을 선반으로 절삭 가공하여 각 환봉(422)의 사이에 미세하게 간극(423)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통(421)의 일측 외주면에는 환봉(422)의 내측단과 밀착되고 외주면이 일치하도록 파이프(424)를 끼워 형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공성형실린더(42)는 지지블록(22)의 중심에 통공된 안내공(221)을 따라 좌우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착유기로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착유대상 곡물(A)이 착유실린더(31)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통공성형부(40)의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유압이 작용하여 고정로드(412)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안내홀(416)을 경유하여 제1실(42A)로 충진되고 제2실(42B)에 충진된 오일은 제2오일안내관(415)으로 역류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에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렇게 전진한 통공성형실린더(42)의 선단은 호퍼(32)의 출구(321) 후단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정지하여 압축피스톤(36) 선단의 판스프링(368)과 밀착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호퍼(32)에 담긴 곡물은 출구(321)를 통해 통공성형실린더(42)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과정을 보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의해 제1솔레노이드밸브(S1)만 개방되어 오일펌프(P)의 유압이 제1오일유입공(373)과 안내봉(38)의 오일유입홀(381)을 경유하여 로드(362)에 형성된 유압실A(363)로 유입되고, 압축피스톤(36)은 실린더(35)를 따라 외향으로 전진한다. 이때 실린더(35) 외측에 형성된 유압실B(35A)의 단면적은 커지면서 진공 흡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진공 흡인력에 의해 체크밸브(C)가 개방되면 오일탱크(T)의 오일은 제2오일유입공(374)을 경유하여 유압실B(35A)로 충진되고, 그 반대측에 형성된 공기실(35B)의 단면적이 축소되면서 그 내부의 공기는 공기구멍(3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진과 동시에 전진하는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은 호퍼(32)의 출구(321)를 폐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압축피스톤(36)이 전진함과 동시에 가압봉(364)의 선단에 밀착된 통공성형실린더(42)가 동시에 후진하는 과정을 보면, 제1실(42A)에 충진된 오일은 오일안내홀(416)을 통해 제1오일안내관(414)으로 역류하여 배출되고, 제2오일안내관(415)을 통해 유입된 오일은 제2실(42B)에 충진되어 통공성형실린더(42) 전체는 고정피스톤(41)의 헤드(411)를 따라 안내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통과한 유압으로 전진한 압축피스톤(36)의 압력으로는 더 이상 곡물을 압축하지 못하는 시점에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2솔레노이드밸브(S2)가 개방되어 오일펌프(P)의 유압이 체크밸브(C)의 전방을 통과하면서 체크밸브(C)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유압실B(35A)로 유입되어 압축피스톤(36)의 헤드(361) 후방을 강하게 가압하여 압축피스톤(36)을 높은 압력으로 전진시킴으로서, 곡물에 잔류한 기름을 추출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압축피스톤(36)의 전진에 의해 압축된 곡물에서 추출되는 기름은 착유실린더(31)의 각 환봉(312) 사이에 형성된 간극(313)으로 유출되며, 압축피스톤(36)의 선단에서 발생하여 판스프링(368)의 유입홈(368a)로 유입된 기름은 가이드홈(366)을 경유하여 배출공(367)을 통해 하부로 유출됨으로서, 통공성형실린더(42)의 후단면과 압축피스톤(36)의 선단면이 기름의 압력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한 후 유박(W)을 이탈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의해 제1,2솔레노이드밸브(S1)(S2)를 폐쇄시키고 제3솔레노이드밸브(S3)를 개방후 폐쇄하여 체크밸브(C)를 개방시키게 되면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유압실AB(363)(35A)의 오일이 오일탱크(T)로 퇴출됨으로서 압축피스톤(36)은 소정 거리 후퇴한다. 이때 지지블록(22)의 선단에 형합된 유박이탈안내부재(23)는 유박(W)의 내측면을 탄력있게 밀어 지지블록(2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어서 지지블록(22)과 착유실린더(31)의 양측에 연결된 작동로드(33)가 전진하여 착유실린더(31)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통공성형실린더(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하여 유박(W)의 중앙으로부터 분리되면 유박(W)의 중앙에 통공(W-1)이 형성됨과 동시에 유박(W)은 하부로 이탈된다.
한편 곡물의 압축 과정에서 통공성형실린더(42) 표면으로 유입된 기름은 통공성형실린더(42)가 지지블록(22)의 안내공(221)을 통해 외부로 후진할 때 안내공(221) 외곽에 형성된 기름안내홈(222)으로 유출되어 배출공(223)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용기(미도시)에 수집된다. 특히 통공성형실린더(42)가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환봉(422)의 선단측이 기름안내홈(222)에 수용됨으로서, 간극(423)을 통해 환봉(422)의 내측으로 유입된 기름은 용이하게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곡물에 함유된 기름이 착유되고, 중앙이 통공된 도너츠 형태의 유박(W)이 이탈되면 착유실린더(31)는 복원되어 지지블록(22)에 밀착되고, 통공성형실린더(42)가 고정피스톤(41)에 안내되어 전진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해 압축피스톤(36)을 후진시킨다. 이때 유압실A(363)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은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통해 오일탱크(T)로 퇴출되고,유압실B(35A)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은 개방된 체크밸브(C)를 통해 오일탱크(T)로 퇴출된다.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S3)는 압축피스톤(36)의 복원이 완료됨과 동시에 폐쇄되어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복원이 완료되어 압축피스톤(36)의 가압봉(364) 선단이 호퍼(32)의 출구(321)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2)에 담긴 곡물이 착유실린더(31)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곡물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추출함과 동시에 중앙이 통공된 유박을 성형하고, 성형된 유박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의 투입과정, 착유과정, 유박의 분리과정이 연속 반복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또한 적정량의 곡물을 균형있게 압축하여 착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곡물을 압축하여 곡물에 함유된 기름을 추출하는 착유기에 있어서,
    곡물이 압축될 때 곡물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 일측에 착유실린더(31)가 밀착되어 호퍼(32)에 담긴 곡물을 직접 공급받은 후 착유실린더(31)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압축피스톤(36)을 전진시켜 곡물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 착유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6)을 순차적으로 후진시켜 유박이 이탈하도록 구성되는 착유부(30)와;
    상기 지지부(20)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유부(30)의 압축피스톤(36) 선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착유실린더(31)의 중심 외곽에 곡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하고, 압축피스톤(36)의 전진과 동시에 후진한 후 압축이 완료되면 지지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박에 통공을 형성하는 통공성형부(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20)는,
    고정판(21)의 한 쪽면에 지지블록(22)이 구성하고, 그 중심에 안내공(221)이 통공되며, 이 안내공(221)의 내측 중심부 둘레에 기름안내홈(222)이 형성되고, 이 기름안내홈(222)의 하부에 배출공(223)이 통공되며, 상기 안내공(221)과 동일한 직경으로 중앙에 구멍(231)을 형성하고 구멍(231)의 소정위치에서 외주연을 향하여 와류형으로 절개한 유박이탈안내부재(23)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단면 중앙에 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부(30)는,
    플렌지(311)의 내측에 다수의 환봉(312)을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밀착되게 용접된 환봉(312)의 내주면을 가공하여 각 환봉(312)의 사이에 미세하게 간극(313)을 형성하고 그 후방에 연이어 동일한 내경의 원통(314)을 연결한 착유실린더(31)가 구성되며, 상기 착유실린더(31)의 원통(314) 상부로 출구(321)가 연통된 호퍼(32)가 구성되고, 상기 원통(314)의 후방 양측에서 지지부(20) 전면에 연결되어 착유실린더(31)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작동로드(33)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0)와 대향하는 일측에 제1실린더커버(34)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커버(34)의 내측에 실린더(35)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35)의 내경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착유실린더(31)에 공급된 곡물을 압축하는 압축피스톤(36)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35)의 타측에 제2실린더커버(37)가 결합되고, 상기 제1,2실린더커버(34)(37)의 외곽을 지지부(20)에 수평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샤프트(39)를 구성함을 특징을 하는 곡물 착유기.
  4. 제3항에 있어서 압축피스톤(36)은,
    로드(362)의 중앙에 일측 외향으로 개방되도록 가공한 유압실A(363)이 형성되고, 로드의 단부에는 착유실린더(31)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압봉(364)이 연결되며, 가압봉(364)의 선단면 중앙에는 소정깊이 요입된 환상의 안착홈(365)이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다수의 환상 및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366)이 요입되며, 수직방향의 가이드홈(366)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위치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공(367)이 통공되고, 중심에서 반경이 증가되는 환상의 유입홈(368a)이 절개된 소정 두께의 판스프링(368)이 상기 안착홈(365)에 형합되고, 제2실린더커버(37)의 중심과 통하도록 후단이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A(363)에 삽입되도록 안내봉(38)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5. 제3항에 있어서,
    제2실린더커버(37)의 중심으로 연통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가 부착되고, 선단에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3솔레노이드밸브(S3)를 구비한 체크밸브(C)가 구성되어 그 입구측이 제2실린더커버(37)의 일측에 연통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S1)(S2)(S3)가 오일펌프(P)에 연결되고, 체크밸브(C)의 출구측과 제1솔레노이드밸브(S1)가 오일탱크(T)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6. 제 1항에 있어서 통공성형부(40)는,
    케이스(413)의 내측면에 선단이 고정된 고정로드(412) 고정단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오일안내관(414)이 연결되고, 이 제1오일안내관(414)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되어 고정로드(412)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411)의 내측과 근접한 외향으로 연통하도록 제2오일안내관(415)이 연결되며, 헤드(411)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오일안내홀(416)이 형성된 고정피스톤(41)과;
    상기 고정로드(412)가 이동하는 원통(421)의 타측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밀착되게 연이어 용접한 환봉(422)의 중심 외측을 절삭 가공하여 환봉(422)의 사이에 미세하게 간극(42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421)의 일측 외주면에 환봉(422)의 내측단과 밀착되고 외경이 동일한 파이프(424)를 끼워 형합한 통공성형실린더(4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KR1019990013356A 1999-03-09 1999-04-15 곡물 착유기 KR10030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356A KR100308371B1 (ko) 1999-03-09 1999-04-15 곡물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73A KR19990045999A (ko) 1999-03-09 1999-03-09 착유기
KR1019990007673 1999-03-09
KR1019990013356A KR100308371B1 (ko) 1999-03-09 1999-04-15 곡물 착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089A KR20000062089A (ko) 2000-10-25
KR100308371B1 true KR100308371B1 (ko) 2001-09-24

Family

ID=2663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356A KR100308371B1 (ko) 1999-03-09 1999-04-15 곡물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59B1 (ko) * 2018-01-15 2019-09-06 김형선 액상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089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7480B1 (en) Coffee extraction system
US4557190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scrap materials, such as relatively comminuted scrap metal, waste, and the like
US3868201A (en) Powdered metal press
US4034592A (en) Crimping machine with automatic hinge open pushers
JPS603977B2 (ja) プラスチツク射出成形機用型締め装置
US11045037B2 (en) Brewing unit, machine an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ing prepackaged capsules
JP4222832B2 (ja) コーヒーマシーン
KR100308371B1 (ko) 곡물 착유기
US4009983A (en) Hydraulic mold clamp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3234598A (en) Apparatus for pressing slurries
JPS5917453Y2 (ja)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ノツクアウト装置用空・油圧式駆動装置
GB2215652A (en) Multi-ram forging machine
KR200245702Y1 (ko) 곡물착유기의 기름 배출 안내장치
CN115554751B (zh) 一种具有切削液快速过滤装置的机床
EP0543177B1 (en) Hydraulic actuator
US4195565A (en) Fluid-operated press
KR200180088Y1 (ko) 곡물 착유기의 기름배출 안내장치
DE3714420C3 (de) Presse für keramische Formteile, insbesondere Fliesen
KR19990045999A (ko) 착유기
US4377108A (en) Coffee-making machine
KR200155578Y1 (ko) 착유기
KR20170109756A (ko) 소형 분철 압축기
EP1625813B1 (de) Brühvorrichtung für einen Kaffeeautomaten
KR100325255B1 (ko) 착유기의 압력용기부
EP0421505B1 (en) Hydraulic pressure regulator device, typically for ceramic moulds with a mobile bottom die and a counter-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