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677Y1 -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677Y1
KR200245677Y1 KR2019990007208U KR19990007208U KR200245677Y1 KR 200245677 Y1 KR200245677 Y1 KR 200245677Y1 KR 2019990007208 U KR2019990007208 U KR 2019990007208U KR 19990007208 U KR19990007208 U KR 19990007208U KR 200245677 Y1 KR200245677 Y1 KR 200245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plate
airbag
battery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189U (ko
Inventor
박춘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금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금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2019990007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77Y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뼈대, 합성수지층 및 혼(horn)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커버, 에어백 및 조립판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장착부로 구성된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에 관한 것으로, 혼 접점 1 을 가진 윗판, 혼 접점 2 를 가진 아랫판, 윗판과 아랫판 사이의 톡스볼트,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혼에 있어서 혼 접점 2 가 혼 전선 및 혼 연결장치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고 혼 접점 1 이 도체인 윗판, 스프링, 아랫판, 톡스볼트, 뼈대,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도록 한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혼은 윗판의 혼 접점 1 이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고 아랫판의 혼 접점 2 가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며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 혼 접점 1 및 윗판에 에어백 장착부의 조립판(도체)이 연결되어 조립판 또한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 구조로서, 차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조립판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아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조립판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축전지의 + 극으로부터 조립판으로 전류가 흘러 에어백이 부풀도록 하는 인플레이트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에어백이 작동될 상황이 아님에도 에어백이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혼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에어백 장착부의 조립판에 연결된 윗판 및 혼 접점 1 에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고 혼 접점 2 에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도록 하여 에어백 장착부의 조립판에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차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인하여 조립판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아무런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조립판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조립판에 대전된 전하량이 극히 적어 조립판으로부터 축전지의 - 극으로 극히 미세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인플레이트 및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Horn of the Automobile's Steering Wheel with Airbag}
본 고안은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경적(警笛)을 울리는 장치인 혼(horn)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10)의 평면도로서, 조향장치(10)는 조향장치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몸체부(20)와 에어백이 장착된 에어백 장착부(4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10)의 구성요소인 몸체부(20)와 에어백 장착부(40)의 평면도, 즉 도 2는 몸체부(2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에어백 장착부(40)의 평면도로서, 몸체부(20) 위의 가운데 부분에 에어백 장착부(40)를 조립시켜 에어백을 가진 종래의 자동차 조향장치(10)가 이루어진다. 이때 에어백(미도시)은 에어백 장착부(40) 내에 장착되고 혼(23)은 몸체부 (20) 윗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종래 기술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및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뼈대(21), 합성수지층(22) 및 혼(23)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20)와 커버(41), 에어백(42) 및 조립판(43)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장착부(40)로 구성된 종래의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10)를 보인다. 미설명 부호 50은 혼 전선이고 51은 혼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10) 중 몸체부(20)의 혼(23)을 좀더 자세히 보면, 도 6은 종래의 혼(23)의 사시도,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조립공(25) 및 혼 접점 1 (26)을 가진 윗판(24), 혼 접점 2 (28)를 가진 아랫판(27), 윗판(24)과 아랫판(27) 사이의 톡스볼트(29), 절연체 1 (30), 절연체 2 (31) 및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진 혼(23)을 보인다.
윗판(24)에는 혼 전선(50)이 연결되는데 혼 전선(50)은 혼 연결장치(도 4 및 도 5의 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또한 톡스볼트(29)는 몸체부(20)의 뼈대(도 4 및 도 5의 21)에 조립되는데 뼈대(21)는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이때 윗판(24), 아랫판(27), 혼 접점 1 (26), 혼 접점 2 (28), 톡스볼트(29) 및 스프링(32)은 도체이다.
이러한 구조의 혼(23)에 있어, 혼 접점 1 (26)은 도체인 윗판(24), 혼 전선(50) 및 혼 연결장치(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고, 혼 접점 2 (28)는 도체인 아랫판(27), 톡스볼트(29), 뼈대(21),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절연체 1 (30)은 윗판(24)과 톡스볼트(29)를, 절연체 2 (31)는 윗판 (24)과 스프링(32)을 절연시키는 부품이다.
운전자가 이러한 혼(23)을 가진 조향장치(10)의 에어백 장착부(40)를 타격하면 그 힘에 의하여 윗판(24)의 혼 접점 1 (26)과 아랫판(27)의 혼 접점 2 (28)가 부딪혀 혼(23)이 작동되고 윗판(24)과 아랫판(27) 사이의 스프링(32)에 의하여 혼 접점 1 (26)이 원상복귀된다.
한편, 에어백 장착부(40)에 장착된 에어백(42)은 자동차 충돌시 에어백(42)이 부풀도록 하는 인플레이트에 전류가 흘러 작동되는 것으로, 충돌 감지센서가 충돌을 감지하면 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트에 전류가 흘러 작동된다. 이때 인플레이트는 조립판(43)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혼(23) 및 에어백(42)을 가진 종래의 조향장치(10)에 있어서,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 혼 접점 1 (26) 및 윗판(24)에 에어백 장착부(40)의 조립판(43)이 조립볼트(44)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때 조립판(43) 또한 도체이므로 조립판(43)에도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며 이로 인해 차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에어백(42)이 오작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인하여 조립판(43)이 + 로 대전될 수도 있고 또는 - 로 대전될 수도 있는데, 조립판(43)에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립판(43)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아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조립판(43)이- 로 대전된 경우에는 축전지로부터 조립판(43)으로 전류가 흐르고 인플레이트에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에어백(42)이 작동될 상황이 아님에도 에어백(42)이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 접점 1 을 가진 윗판, 혼 접점 2 를 가진 아랫판, 윗판과 아랫판 사이의 톡스볼트,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혼에 있어서 혼 접점 1 을 가진 윗판, 톡스볼트 등에 축전지의 - 극을 연결시키고 혼 접점 2 에는 축전지의 + 극을 연결시킨 혼(horn)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향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조향장치의 몸체부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조향장치의 에어백 장착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조향장치의 혼의 사시도,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향장치의 혼의 사시도,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8은 도 4에 대응되는 본 고안의 조향장치의 AA´선 단면도 및 C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5에 대응되는 본 고안의 조향장치의 BB´선 단면도 및 D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향장치 10´: 조향장치 20 : 몸체부
20´: 몸체부 21 : 뼈대 22 : 합성수지층
23 : 혼 24 : 윗판 25 : 조립공
26 : 혼 접점 1 27 : 아랫판 28 : 혼 접점 2
29 : 톡스볼트 30 : 절연체 1 31 : 절연체 2
32 : 스프링 40 : 에어백 장착부 41 : 커버
42 : 에어백 43 : 조립판 44 : 조립볼트
50 : 혼 전선 51 : 혼 연결장치 60 : 혼
61 : 윗판 62 : 조립공 63 : 혼 접점 1
64 : 아랫판 65 : 혼 접점 2 66 : 절연체 1
67 : 톡스볼트 68 : 절연체 2 69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horn)의 사시도,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조립공(62) 및 혼 접점 1 (63)을 가진 윗판(61), 혼 접점 2 (65) 및 절연체 1 (66)을 가진 아랫판(64), 윗판(61)과 아랫판(64) 사이의 톡스볼트(67), 절연체 2 (68) 및 스프링(69)으로 이루어진 혼(60)을 보인다.
혼 접점 2 (65) 에는 혼 전선(50)이 연결되는데 혼 전선(50)은 혼 연결장치 (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또한 톡스볼트(67)는 몸체부(20)의 뼈대(21)에 조립되는데 뼈대(21)는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이때 윗판(61), 아랫판(64), 혼 접점 1 (63), 혼 접점 2 (65), 톡스볼트(67) 및 스프링(69)은 도체이다.
이러한 구조의 혼(60)에 있어, 혼 접점 1 (63)은 도체인 윗판(61), 스프링 (69), 아랫판(64), 톡스볼트(67), 뼈대(21),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고, 혼 접점 2 (65)는 혼 전선(50) 및 혼 연결장치(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다. 절연체 1 (66)은 혼 접점 2 (65)와 아랫판(64)을 절연시키는 부품이고, 절연체 2 (68)는 혼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혼(5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재질을 보면, 윗판(61)은 강판이고, 혼 접점 1 (63)은 구리이며, 아랫판(64)은 강판이고, 혼 접점 2 (65)는 철이며, 절연체 1 (66)은 플라스틱이고, 톡스볼트(67)는 철이며, 절연체 2 (68)는 플라스틱이고, 스프링(69)는 스프링강이다.
운전자가 이러한 혼(60)을 가진 조향장치(10)의 에어백 장착부(40)를 타격하면 그 힘에 의하여 윗판(61)의 혼 접점 1 (63)과 아랫판(64)의 혼 접점 2 (65)가 부딪혀 혼(60)이 작동되고 윗판(61)과 아랫판(64) 사이의 스프링(69)에 의하여 혼 접점 1 (63)이 원상복귀된다.
도 8은 도 4에 대응되는 본 고안의 조향장치의 AA´선 단면도 및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5에 대응되는 본 고안의 조향장치의 BB´선 단면도 및 D 부분 확대도로서, 뼈대(21), 합성수지층(22) 및 혼(60)으로 이루어진 몸체부(20´)와 커버(41), 에어백(42) 및 조립판(43)로 이루어진 에어백 장착부(40)로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10´)를 보인다.
이때 몸체부(20´)와 에어백 장착부(40)는 몸체부(20) 혼(60)의 윗판(61)에 있는 조립공(도 7의 62)과 에어백 장착부(40) 조립판(43)에 있는 조립공(미도시)에조립볼트(44)를 끼워 조임으로써 조립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혼(60)을 가진 조향장치(10´)에 있어서 에어백 장착부 (40)의 조립판(43)과 연결되어 있는 혼(60)의 윗판(61) 및 혼 접점 1 (63)에는 스프링(69), 아랫판(64), 톡스볼트(67), 뼈대(21),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되고, 혼 접점 2 (65)에는 혼 전선(50) 및 혼 연결장치(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이 연결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에어백 장착부(40)의 조립판(43)과 연결되어 있는 혼(60)의 윗판(61) 및 혼 접점 1 (63)에 축전지의 - 극을 연결시키고 또한 혼 접점 2 (65)에 축전지의 + 극을 연결시킴으로써 차내에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그로 인해 에어백(42)이 오작동될 염려가 없도록 하였다.
즉, 차내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인하여 에어백 장착부(40)의 조립판(43)이 + 로 대전될 수도 있고 또는 - 로 대전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조립판 (43)이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립판(43)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아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조립판(43)이 + 로 대전된 경우에는 조립판(43)에 대전된 전하량이 극히 적어 조립판(43)으로부터 축전지의 - 극으로 극히 미세한 전류가 흐르므로 인플레이트 및 에어백(42)은 작동되지 않는다.

Claims (1)

  1. 조립공(62) 및 혼 접점 1 (63)을 가진 윗판(61), 혼 접점 2 (65) 및 절연체 1 (66)을 가진 아랫판(64), 윗판(61)과 아랫판(64) 사이의 톡스볼트(67), 절연체 2 (68) 및 스프링(69)으로 이루어지고, 혼 접점 1 (63)이 도체인 윗판(61), 스프링 (69), 아랫판(64), 톡스볼트(67), 뼈대(21), 샤프트 및 차체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되고, 혼 접점 2 (65)가 혼 전선(50) 및 혼 연결장치(51)를 통하여 축전지의 + 극과 연결된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horn)(60).
KR2019990007208U 1999-04-30 1999-04-30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KR200245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208U KR200245677Y1 (ko) 1999-04-30 1999-04-30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208U KR200245677Y1 (ko) 1999-04-30 1999-04-30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89U KR20000020189U (ko) 2000-11-25
KR200245677Y1 true KR200245677Y1 (ko) 2001-09-25

Family

ID=5476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208U KR200245677Y1 (ko) 1999-04-30 1999-04-30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89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494A (en) Occupant proximity sensor with horn switch
CN102046429B (zh) 用于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和用于装配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的方法
US8336911B2 (en)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afety arrangement
US10377335B2 (en) Steering wheel
US5005861A (en) Velocity change sensor with double pole sensor
US20090261560A1 (en) Airbag device and steering wheel
US5650600A (en)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US7077427B2 (en) Steering wheel assembly
KR200245677Y1 (ko)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US7686325B2 (en) Gas generator and device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 gas generator
EP1149730A3 (en) Swichting unit for steering wheel in motor vehicle
KR101372551B1 (ko) 제어판 체결장치.
KR200387319Y1 (ko) 에어백용 마운팅 플레이트 조립체
JPH0528778U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3009354A (ja) 電気接続箱
KR100666625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224249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작동스위치 구조
JPH05116591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03569184A (zh) 方向盘总成、转向操纵机构、转向系统及汽车
KR20000010441A (ko) 조수석 에어백 커버의 고정구조
KR0132821Y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코넥터 취부구조
KR20210101665A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JP2001030871A (ja) 乗員保護装置のサテライトセンサ取付構造
JPH0637016U (ja) 乗員保護装置用センサ
KR100503317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자제어 장치용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