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393Y1 -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393Y1
KR200245393Y1 KR2020010016057U KR20010016057U KR200245393Y1 KR 200245393 Y1 KR200245393 Y1 KR 200245393Y1 KR 2020010016057 U KR2020010016057 U KR 2020010016057U KR 20010016057 U KR20010016057 U KR 20010016057U KR 200245393 Y1 KR200245393 Y1 KR 200245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frame
moon
pier foundation
pier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윤상
김동귀
엄지회
한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16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39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후 철거를 하지 않고 교각기초 콘크리트와 합성구조로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을 건설하기 위해 형성되는 교각 기초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교각 기초가 설치될 장소에 반달형 골판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한편, 반달형 골판틀은 측면에 측면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의 측면 플랜지는 측면 조립볼트로 결합되어 원형의 흙막이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은 길이방향의 상·하단에 상·하단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하단 플랜지는 상·하단 조립볼트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에는 상부측에 그라우팅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그라우팅홈을 통하여 뒷채움 시멘트 몰탈이 채워져 측면의 흙과 일체구조를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와 홈부가 연이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A structure of pier basis using a assembly semicircular plate}
본 고안은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후 철거를 하지 않고 교각기초 콘크리트와 합성구조로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교각기초 구조물에 대한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 흙막이 공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흙막이 공법은 H 빔을 박은후 토류벽을 설치하거나, 강재 씨트 파일을 박거나, 콘크리트 우물통을 설치하는 등의 여러가지 공법들을 사용하여 왔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각 기초를 설치할 지면에는 다수개의 H 빔(20)을 박고 상기의 H 빔(20)에는 그 사이에 토류벽(24)을 설치하며, 상기의 토류벽(24)이 설치되면 포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26)를 이용하여교각 기초의 터파기를 시행한다.
상술한 종래의 흙막이 구조는 그 구조상 막대한 가설자재와 과다한 장비 투입으로 기초 흙막이 공사를 위한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특히 기초 흙막이 공사가 완료되면 H 빔과 토류벽에 대한 철거를 시행하여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후 철거를 하지 않아 시공이 간단하여 공사기간을 종래에 비하여 최대한 단축할 수 있으며, 교각기초 콘크리트와 합성구조로 매립되는 관계로 안전성이 뛰어나고 재료가 가벼워 인력으로도 운반조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연약지반이나 지하수 노출이 심한 장소에서도 반달형 골판틀의 뒷면에 콘크리트를 채우면서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을 건설하기 위해 형성되는 교각 기초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교각 기초가 설치될 장소에 반달형 골판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한편, 반달형 골판틀은 측면에 측면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의 측면 플랜지는 측면 조립볼트로 결합되어 원형의 흙막이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은 길이방향의 상·하단에 상·하단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하단 플랜지는 상·하단 조립볼트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에는 상부측에 그라우팅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그라우팅홈을 통하여 뒷채움 시멘트 몰탈이 채워져측면의 흙과 일체구조를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와 홈부가 연이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내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외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1단계에서 3단계까지 도시하는 도면, (b)는 4단계에서 마무리단계까지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매립식 흙막이 52 : 반달형 골판틀
54 : 측면 플랜지 56 : 측면 조립볼트
58 : 상·하단 플랜지 60 : 상·하단 조립볼트
62 : 교각 기초 64 : 그라우팅홈
66 : 뒷채움 시멘트 몰탈 68 : 돌출부
70 : 홈부 72 : 포크레인
74 : 크레인 76 : 와이어
78 : 사각 박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매립식 흙막이(50)는 다수개의 반달형 골판틀(52)이 조립볼트로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상기의 매립식 흙막이(50)는 각각의 반달형 골판틀(52)의 측면 플랜지(54)를 측면 조립볼트(56)로 결합시키고 반달형 골판틀(52)의 상·하단 플랜지(58)에 상·하단 조립볼트(60)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의 매립식 흙막이(5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교각 기초(62)가 형성되고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의 외부에는 뒷채움 시멘트 몰탈(66)이 형성되어 흙과 밀착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내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측면에 측면 플랜지(54)가 형성되고 상기의 측면 플랜지(54)는 측면 조립볼트(56)로 결합되어 원형의 흙막이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길이방향의 상·하단에 상·하단 플랜지(58)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하단 플랜지(58)는 상·하단 조립볼트(60)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의 외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에는 상부측에 그라우팅홈(64)이 형성되고 상기의 그라우팅홈(64)을 통하여 뒷채움 시멘트 몰탈이 채워져 측면의 흙과 일체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그 구조상 원형 형태의 기초를 이룸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68)와 홈부(70)가 연이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돌출부(68)와 홈부(70)가 어느방향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번호가 달라지는 관계로 도면상 나타나는 상태를 기준으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를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매립식 흙막이(50)를 시공하는 경우를 도면에 적합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교각 기초를 설치할 장소에 기초 터파기를 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기초 터파기 작업은 포크레인(72)을 이용하여 기초 터파기를 하고 상기의 기초 터파기 작업시 발생된 흙은 크레인(74)의 와이어(76)에 결합된 사각 박스(78)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제 2 단계는 기초 터파기를 한 장소에 1단의 반달형 골판틀(52)을 설치하고 후방에 시멘트 몰탈(66)을 채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상기의 그라우팅에 대한 양생이 완료되면 2단계 터파기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2단계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2단의 반달형 골판틀(52)을 설치하고 시멘트 몰탈(66)을 채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상기의 그라우팅에 대한 양생이 완료되면 3단계 터파기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제 4 단계는 3단계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3단의 반달형 골판틀(52)을 설치하고 시멘트 몰탈을 채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상기의 그라우팅에 대한 양생이 완료되면 4단계 터파기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는 4단계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4단의 반달형 골판틀(52)을 설치하고 시멘트 몰탈을 채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상기의 그라우팅에 대한 양생이 완료되면 암반을 정리하여 흙막이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 1 단계에서부터 제 5 단계의 작업이 완료되면 반달형 골판틀의 내측에 교각 기초를 설치하여 교량의 교각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는,그 구조상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후 철거를 하지 않아 시공이 간단하여 공사기간을 종래에 비하여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는, 교각기초 콘크리트와 합성구조로 매립되는 관계로 안전성이 뛰어나고 재료가 가벼워 인력으로도 운반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는, 연약지반이나 지하수 노출이 심한 장소에서도 반달형 골판틀의 뒷면에 콘크리트를 채우면서 시공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관계로 종래의 시공법에서 문제시되던 이중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교량의 교각을 건설하기 위해 형성되는 교각 기초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교각 기초가 설치될 장소에 반달형 골판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한편, 반달형 골판틀(52)은 측면에 측면 플랜지(54)가 형성되고 상기의 측면 플랜지(54)는 측면 조립볼트(56)로 결합되어 원형의 흙막이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길이방향의 상·하단에 상·하단 플랜지(58)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하단 플랜지(58)는 상·하단 조립볼트(60)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에는 상부측에 그라우팅홈(64)이 형성되고 상기의 그라우팅홈(64)을 통하여 뒷채움 시멘트 몰탈이 채워져 측면의 흙과 일체구조를 형성되며, 상기의 반달형 골판틀(52)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68)와 홈부(70)가 연이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 구조.
KR2020010016057U 2001-05-30 2001-05-30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KR200245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57U KR200245393Y1 (ko) 2001-05-30 2001-05-30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57U KR200245393Y1 (ko) 2001-05-30 2001-05-30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393Y1 true KR200245393Y1 (ko) 2001-10-29

Family

ID=7306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057U KR200245393Y1 (ko) 2001-05-30 2001-05-30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3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819A (zh) * 2019-05-16 2019-07-12 福州大学 一种大跨度桥梁的主梁与桥墩固接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819A (zh) * 2019-05-16 2019-07-12 福州大学 一种大跨度桥梁的主梁与桥墩固接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07226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WO2011114507A1 (ja) 新設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US6616380B1 (en) Subterranea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structures
CN110468873A (zh) 一种小空间下桥台桩基托换结构及使用方法
CN110593266A (zh) 一种重载通行条件下的基坑坡道加强支护结构施工方法
JP3893056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200245393Y1 (ko) 조립식 반달형 골판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매립식 흙막이구조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JP4226954B2 (ja) アンダーピニング方法および高架橋
KR19990084155A (ko)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102289576B1 (ko) 흙막이판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KR200225641Y1 (ko) 도로교량 철도 교각기초 사각콘크리트 판넬조립식 흙막이구조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200251408Y1 (ko) 접합플랜지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흙막이 구조
JP4146250B2 (ja) オープンケーソンの底盤築造方法
KR200291360Y1 (ko) 교각 기초 시공을 위한 원통형 흙막이 매립형 복합구조
KR200240016Y1 (ko) 교각기초 매립형 콘크리트 흙막이구조
KR102174966B1 (ko)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20018Y1 (ko) 흙막이용 에이치빔 구조체
JP2003096801A (ja) 建物の構築工法
JP4031284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