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293Y1 -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 Google Patents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293Y1
KR200245293Y1 KR2020010016787U KR20010016787U KR200245293Y1 KR 200245293 Y1 KR200245293 Y1 KR 200245293Y1 KR 2020010016787 U KR2020010016787 U KR 2020010016787U KR 20010016787 U KR20010016787 U KR 20010016787U KR 200245293 Y1 KR200245293 Y1 KR 200245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ood
waste
waste w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2020010016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293Y1/ko

Links

Landscapes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산업 현장이나 가정 생활 과정에서 배출되는 폐목은 일종의 쓰레기로서 투기자의 부담으로 소각 처리에 의존하고 있는 관계로 투기자에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실정이고, 또한 이는 환경 공해 유발은 물론 자원 낭비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2001-16329호 폐목을 이용한 내장 판재가 있기는 하나, 이는 판재를 세절하여 모자이크 상의 심재로 되게 하였기 때문에 세절 과정 생기는 목분의 처리에는 새로운 공해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2mm 정도의 비교적 얇은 베니어 합판을 상판(2)으로 하고, 1mm 범위의 도배지나 합성수지 박판을 하판(3)으로 하고, 이 사이에 개재되는 심판(5)은 폐목을 조분쇄하여 얻어진 목분(4)에 미량의 합성수지 분말 접착제(4-1)를 첨가 혼합한 후 금형과 열 프레스를 개재하여 상하판 사이에서 열 압착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A interior decoration board using a wasted wooden scraps}
본 고안은 산업 쓰레기 및 생활 쓰레기의 일종으로 배출되고 있는 폐 목 상자 또는 가정 생활에서 폐기되는 장롱이나 책장 등의 목재로 된 판재를 조분쇄한 목분(木粉)을 이용한 내장 판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산업 현장의 폐목 상자 또는 가정 생활에서 폐기되는 장롱이나 책장 등의 폐 판재는 일종의 쓰레기로서 투기자 부담으로 유료로 소각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투기자에게 경제적인 과부담을 줄뿐만 아니라, 자원 낭비는 물론 소각 처리 시 생기는 매연 등은 환경 공해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등록원 2001-16329호가 있기는 하나, 이는 폐 목재를 일정한 두께와 넓이로 세절한 판재를 모자이크 형상으로 조합하여 내장 판재의 심재가 되게 한 것이므로 세절하는 과정 발생된 목분을 소각 또는 매입 처리해야 함으로서 새로운 공해 요인으로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폐 목재를 세절할 때 생기는 목설이나 재활용 불가능한 폐 목재를 조분쇄하여 이에 2mm 범위의 얇은 베니어 합판으로 된 상판과 1mm 범위로 된 도배지나 합성수지 박판으로 된 하판 사이에 심재로 되게 금형을 개재 충입하여 열 프레스로 가열 압착함으로서 목질 합판과 흡사한 내장 판재가 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장 판재 2. 상판 3. 하판
4. 목분 4-1. 접착제 5. 심재
이를 도면의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mm 범위의 얇은 베니어 합판을 상판(2)으로 하고, 1mm 범위의 도배지나 합성수지 박판으로 된 하판(3)과의 사이에 조분쇄된 폐목 목분(4)에 미량의 분말 접착제(4-1)를 첨가 혼합한 심재(5)를 금형을 개재하여 충입한 후 열 프레스로 가열 압착함으로서 평판상의 내장 판재(1)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심재(5)의 두께를 가감하면 비교적 두꺼운 판재와 비교적 얇은 판재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폐목을 조분쇄한 목분을 이용한 내장 판재인 바 이를 내장 공사 시 칸막이 등의 판재로 사용하게 되면 심재(5)가 목질이므로 목재 합판처럼 재단 및 못질하기에 편리하고 또한, 재활용 불가능한 폐목의 조분쇄물을 심재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재활용 불가능한 목재를 조분쇄하여 목분(4)을 얻고, 이에 미량의 합성수지 분말 접착제(4-1)를 첨가 혼합하여 금형과 열 프레스를 개재하여 열 압착하였기 때문에 폐 자원 재활용으로 양질의 판재를 염가로 생산이 가능케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해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얇은 베니어 합판으로 된 상판(2)과 도배지와 합성수지 박판 등의 판지로 된 하판(3) 사이에 개재된 심재(5)는 폐목을 조분쇄하여서 된 목분(4)에 소량의 분말 합성수지 접착제(4-1)를 투입 혼합하여 금형과 열 프레스를 개재하여 열 압착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폐목을 이용한 내장 판재.
KR2020010016787U 2001-06-05 2001-06-05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KR200245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87U KR200245293Y1 (ko) 2001-06-05 2001-06-05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87U KR200245293Y1 (ko) 2001-06-05 2001-06-05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293Y1 true KR200245293Y1 (ko) 2001-10-19

Family

ID=7310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787U KR200245293Y1 (ko) 2001-06-05 2001-06-05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10B1 (ko) * 2002-07-04 2004-09-07 김태홍 합성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10B1 (ko) * 2002-07-04 2004-09-07 김태홍 합성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014061D1 (de) Sandwichplatte
CN105082431A (zh) 一种废旧纺织品纤维基固化板及其制备方法
CA2353191A1 (en) Relief engraved doorplate
KR200245293Y1 (ko)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KR100336264B1 (ko) 폐지를 이용한 보드 제조 방법
KR200242904Y1 (ko) 폐 목재를 이용한 내장 판재
SE9002036D0 (sv) Foerfarande foer tillverkning avf presstycken
KR200179646Y1 (ko) 재활용 발포수지판넬
CN103072170A (zh) 一种无胶木粉模压制件的制作方法
KR20020019815A (ko) 폐 멜라민 및 폐 페놀수지화장판을 부재료로 이용한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파티클보드
AU709162B2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relief patterned sheet-like products
JP2002161499A (ja) パルプ成形品の成形方法
CN2725410Y (zh) 一种仿真装饰板
CN2320709Y (zh) 一次成型装饰用密度板墙裙
KR20010016955A (ko) 목분과 수지가 융착된 복층합판 제조방법
JP2986786B1 (ja) 植物繊維製使い捨て食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食器を製造する金型
TWI268979B (en) Method of carving the grooves on the multilayer wood floors
KR19990039181A (ko) 폐목재를 이용한 인공목재의 제조방법
KR19990035170U (ko) 거푸집판재
KR19990073828A (ko)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586433Y2 (ja) パチンコ機の外枠
KR930021339A (ko) 가구용 재생 판재의 제조방법
CN113149594A (zh) 一种锯末复合板及其加工方法
CN200973479Y (zh) 一次成型复合台面
JPH02135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