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828A -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828A
KR19990073828A KR1019980006982A KR19980006982A KR19990073828A KR 19990073828 A KR19990073828 A KR 19990073828A KR 1019980006982 A KR1019980006982 A KR 1019980006982A KR 19980006982 A KR19980006982 A KR 19980006982A KR 19990073828 A KR19990073828 A KR 1999007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rniture
molding
mold
saw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춘
Original Assignee
김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101998000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828A/ko
Publication of KR1999007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828A/ko

Links

Landscapes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가공에서 발생되는 톱밥은 물론 자투리 각목이나 합판, (이하, 폐자재라 한다) 등의 버려지는 폐자재를 톱밥으로 재 가공하여 상판이나 탁자 또는 식탁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와 형태로 사용되는 가구판재를 금형에서 직접 판재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압축 성형시켜서 된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는 내구성과 굴신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을 내장된 상태로 일체로 압축성형되는 것이며, 그 제조방법은 접착제가 혼합된 폐자재의 톱밥부재를 가구판재의 기능과 용도에 맞는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 금형의 성형 공간부내에 일, 이차에 걸쳐 채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로는 판재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굴신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을 넣은 다음 상기 성형공간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가압판으로 압측 성형하여 소정형상의 가구판재를 직접 성형하여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성형공간부의 바닥 면이나 가압판의 하부면으로는 가구판재의 표면으로 각종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판을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가구판재의 성형작업시 이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으로 문양이 직접 형성되어 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목재가공에서 발생되는 톱밥은 물론 자투리 각목이나 합판,(이하, 폐자재라 한다) 등의 버려지는 폐자재를 톱밥으로 재 가공하여 상판이나 탁자 또는 식탁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와 형태로 사용되는 가구판재를 금형에서 직접 판재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금형에서 직접 압축 성형시켜서된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의 가구판재 예컨데 책상이나 상(床) 등의 판재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P.B, M.D.F, 합판과 같이 사전에 일정한 크기로 (120cm×240cm) 제작되어진 판재를 이용하여 필요한 크기만큼 해당 가구판재를 일일이 재단하고 또한 테두리를 일일이 가공하였기 때문에 재단과정에서 자투리나 톱밥이 필수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제작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나 톱밥은 통상 폐기되거나 소각됨에 따라 자원의 낭비는 물론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있다.
그리고 종래 톱밥만을 이용한 기존의 판재들은 사용할 때 굴신되거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판재 두께가 비교적 필요 이상으로 두껍고 그에 따라 하중이 무거울 뿐 아니라 특히 작업자가 일일이 판재를 소망하는 크기와 형태로 재단하여야 하는 가구판재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판재에 각종의 문양을 넣고자 하는 경우에도 또한 별도로 문양작업을 진행해야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에 착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내에 금속이나 프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된 망판을 넣고 압축 성형함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두께에 관계없이 굴신 및 변형이 방지됨과 동시에 판재를 필요한 크기 만큼 직접 폐자재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하기 때문에 자투리나 톱밥과 같은 잔존 폐기물의 발생 염려가 전혀 없으며, 또한 각종의 문양을 별도의 공정없이 쉽게 새겨 넣을 수 있는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의 성형상태를 보인 압축전의 분리 단면도,
도3은 가구판재를 성형하기 위해 가압판이 눌려진 상태의 압착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판이 금형과 가압판에 각각 설치된 상태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가구판재 20:망판
30:톱밥부재 40:금형
42:성형공간부 44:바닥면
50:가압판 52:하부면
60,70:문양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의 특징은, 폐자재의 톱밥을 이용하여 기능과 용도에 알맞는 크기와 형태로 금형작업에 의해 직접 판재가 압축 성형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로는 굴신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이 일체로 내장 형성되어진 점에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특징은, 접착제가 혼합된 톱밥을 가구판재의 기능과 용도에 맞는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 금형의 성형 공간부내에 일차로 채워넣은 다음 그 위로 굴신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을 넣고 다시 그 위에 톱밥을 이차로 채운 다음 상기 성형공간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가압판으로 압축 성형하여 소정형상을 갖는 가구판재를 직접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구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성형공간부의 바닥면이나 가압판의 하부면으로는 가구판재의 표면으로 각종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판이 교체가능하게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가구판재의 성형작업시 이의 일측 또는 양 표면으로 문양이 직접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10)의 단면도로서, 가구판재(10)는 그 기능과 용도에 알맞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폐자재의 톱밥부재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직접 압축 성형되어지며, 판재의 내부로는 굴신 및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갖기위한 망판(20)이 일체로 내장 형성되어 있다.
판재(10)의 내부에 일체로 내장되는 망판(20)은 통상적으로 금속이나 프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재료로도 얼마든지 사용가능하며, 또한 그 형태에 있어서도 어느 하나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격자형을 비롯한 그 이외의 다른형태로 제작된 망판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10)는 그 내부로 망판(20)이 일체로 내장되는 상태로 압축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한 망판(20)의 작용에 의하여 두께가 두껍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강할 뿐 아니라 굴신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전, 후의 설명도로서, 먼저 도2와 같이 가구판재(10)를 구성하는 톱밥부재(30)를 얻기 위하여 자투리 목재 등의 폐자재를 분쇄 가공하여 톱밥을 형성한 후 이에 접착제와 화공약품 등을 잘 혼합한다. 그런다음 접착제와 잘 혼합된 톱밥부재(30)를 가구판재의 기능과 용도에 알맞는 크기와 형태로 사전에 제작된 금형(40)의 성형공간부(42)내에 일, 이차에 걸쳐 채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로 굴신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20)을 넣은 다음 금형(40)의 성형공간부(42)와 대응되게 형성된 가압판(50)을 일정한 압력으로 도3과 같이 가압하여 금형(40)의 성형공간부(42)내에 넣어진 톱밥부재(30)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 성형한 후 이젝트(도면상 이젝트봉은 도시를 생략함)시킴으로써 내구성을 갖는 소정형상의 가구판재(10)가 직접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가구판재(10)는 성형공간부(42)의 형태를 달리하는 금형(40)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서 그 크기와 형태를 각기 달리하여 자유롭게 제조될 수 있다. 예컨데 사전에 제조할 가구판재(10)가 밥상 또는 탁자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와 기능 및 그에 따른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성형공간부(42)가 형성된 금형(40)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소망하는 형태의 다양한 가구판재(10)를 얼마든지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금형(40)의 성형공간부(42)를 가압하는 가압판(50) 역시 상기한 성형 공간부(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 사용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구판재(10)는 도4와 같이 제조과정에서 일측 또는 양 표면으로 문양을 넣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40)의 성형공간부
(42)의 바닥면(44)이나 가압판(50)의 하부면(52)으로 소정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판 (60)(70)을 각각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판재(10)의 제조과정에서 이의 일측면 또는 양 표면으로 다양한 문양을 선택적으로 직접 각인할 수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이미 사전에 가구판재(10)의 크기나 형태를 감안한 성형공간부(42)가 형성된 금형(40)을 이용하고 그 성형공간부(42)내에 톱밥부재(30)을 직접 넣고 압착 성형하기 때문에 판재의 테두리를 별도로 후가공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가구판재의 직접제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에 따른 별도의 자투리 각목이나 톱밥 등의 폐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구판재의 내부에 망판을 내장하여 성형함에 따라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내구성이 강하고 굴신이나 변형이 방지되어 견고할 뿐 아니라 용도와 기능에 맞는 판재를 금형에서 직접 압축 성형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문양 등을 갖는 판재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재단에 따른 자투리 등의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폐자재에 따른 환경오염을 그만큼 줄일 수 있으며, 폐자재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는 바, 예컨데 금형의 구조를 한 번에 여러개의 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문양판을 분리설치하지 않고 성형공간부의 바닥면이나 가압판의 하부면에 일체로 직접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접착제가 혼합된 폐자재의 톱밥부재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그 기능과 용도에 알맞는 크기와 형태를 갖도록 금형에서 직접 압축 성형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로는 굴신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이 일체로 내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페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2. 가구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착제가 혼합된 폐자재의 톱밥부재를 가구판재의 기능과 용도에 맞는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 금형의 성형공간부내에 일, 이차에 걸쳐 채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로는 판재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굴신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망판을 넣은 다음 상기 성형공간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가압판으로 압축 성형하여 소정형상의 가구판재를 직접 성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가구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성형공간부의 바닥면이나 가압판의 하부면으로는 가구판재의 표면으로 각종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판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가구판재의 성형작업시 이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으로 문양이 직접 형성되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의 제조방법.
KR1019980006982A 1998-03-04 1998-03-04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3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82A KR19990073828A (ko) 1998-03-04 1998-03-04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82A KR19990073828A (ko) 1998-03-04 1998-03-04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828A true KR19990073828A (ko) 1999-10-05

Family

ID=6589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82A KR19990073828A (ko) 1998-03-04 1998-03-04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8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504A (ko) * 2000-05-10 2001-11-23 최석희 목분을 이용한 상 받침대의 제조방법
US10220597B2 (en) 2016-02-26 2019-03-05 Living Style (B.V.I.) Limited Bonded veneer with simulated wood grain and texture, bonded veneer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504A (ko) * 2000-05-10 2001-11-23 최석희 목분을 이용한 상 받침대의 제조방법
US10220597B2 (en) 2016-02-26 2019-03-05 Living Style (B.V.I.) Limited Bonded veneer with simulated wood grain and texture, bonded veneer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7664B1 (de) Direkt laminierte platte
EP1330370B1 (en)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urface elements
CA2108448A1 (en) Method of Cutting Compressible Materials
CA2353191A1 (en) Relief engraved doorplate
ATE347994T1 (de) Heissverformbare pressstoffplatte
KR19990073828A (ko) 폐자재를 이용한 가구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67579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ed plastic cutting board with anti-bacteria effect
CN101962882B (zh) 一种建筑废木模板及生产模板边角料压制的工业缝纫机台板
KR20000018234U (ko) 압축판재
US6672031B2 (en) Environment protective liner plank structure
CN201494220U (zh) 一种雕刻机的工作面板
CN200983139Y (zh) 竹键盘
CN102741960A (zh) 带凸起字符的按钮的制造方法
KR100518948B1 (ko) 부품용 판재 제조방법
US3627864A (en) Method of molding an article
CN205415838U (zh) 自带压力调节功能的模切带压凸刀模
DE391985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unter verwendung von abfallmaterialien
US3158902A (en) Apparatus for molding designs in pressed-wood
KR102461680B1 (ko)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CN2307605Y (zh) 轻型围棋盘结构
KR200245293Y1 (ko) 폐목 목분을 이용한 내장판재
CN201835110U (zh) 一种建筑废木模板及生产模板边角料压制的工业缝纫机台板
CN2401353Y (zh) 一种竹木人造板
CA2037330A1 (en) Forming and feeding assembly for a sheet material press
KR100486764B1 (ko) 가구용 도어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