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200Y1 -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200Y1
KR200245200Y1 KR2019990010028U KR19990010028U KR200245200Y1 KR 200245200 Y1 KR200245200 Y1 KR 200245200Y1 KR 2019990010028 U KR2019990010028 U KR 2019990010028U KR 19990010028 U KR19990010028 U KR 19990010028U KR 200245200 Y1 KR200245200 Y1 KR 200245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hain
sensor
target
chai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216U (ko
Inventor
강준
Original Assignee
강준
주식회사 제일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 주식회사 제일엔테크 filed Critical 강준
Priority to KR2019990010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20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200Y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전조내의 슬러지 제거용 메인체인의 이상 정렬 및 파단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조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체인과,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침전조의 양측벽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중심축과, 상기 한 쌍의 중심축 타단이 각각 끼워져 중심축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게 형성된 회동관체와, 상기 회동관체의 중간부분에 설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다수개의 플라이트가 취부된 메인체인의 일부에 치차 결합되어 전달된 동력을 다시 회전하여 상기 회동관체에 전달시키도록 형성된 아이들 스프로켓과, 소정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 연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메탈타켓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관체의 양끝단부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타켓디스크와, 설정형상으로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축의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위치에 방수구조를 갖춘 센서가 형성되며, 이 센서에 의해 상기 메탈타켓이 감지되어 얻어진 테이터를 전달 가능하게 구비된 검출센서부와, 상기 검출센서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체인의 이송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출한 테이터 값을 전달받아 이를 운전자가 쉽게 식별 확인 가능하도록 소정의 표시기에 전송되게 컨트롤하는 제어처리부와, 상기 메탈타켓이 형성된 타켓디스크의 표면에 부착되는 각종오염물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항상 깨끗한 표면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검출센서부 센서의 감지기능이 저하됨이 방지되게 형성된 이물질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체인이 주행할 때 아이들 스프라켓에 동력을 전달시키면 아이들 스프라켓과 동일하게 회동되게 이루어진 별도의 타켓디스크의 일부분과 체인 이상정렬 및 파단감지용 센서가 수면에 잠기지 않는 설정높이에 노출된 위치에 설치하여 감지센서의 감지능력 및 내구성,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타켓디스크를 구비하여 메인체인의 핏치와 상관없이 감지용 메탈타켓의 갯수 및 간격, 타켓디스크의 사이즈(size)의 변경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감지되어 검출되는 응답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검출된 데이터를 산출하여 플라이트가 다량의 슬러지를 모으는 과정에서, 메인체인과 스프라켓에 각각 마모가 발생되면 메인체인이 이완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운전자가 침전조의 내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장치전체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최상의 운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한 대처작업이 수행되므로 설비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APPARATUS OF SENSING OF A CUT CHAIN AND ALIGNMENT OF A IRREGULAR CHAIN}
본 고안은 침전조내의 슬러지 제거용 메인체인의 이상 정렬 및 파단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전조 내부에서 작동하는 메인체인과 스프라켓에 각각 마모가 발생되면 메인체인이 이완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침전조 내부상황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장치전체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체인의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정수·하수 및 폐수등에 내포되어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슬러지는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어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보통 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하여 제거가 이루어지되, 대체적으로 침전방식과 함께 부가적으로 약품투여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기술은 동일인이 선출원한 특허 출원번호 제 97-34284호에서 살펴보게 되면, 침전조 상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 스프라켓이 침전조 내부에 체인으로 연결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일측에는 또 다른 체인이 연결되는데, 이 체인에는 상기 침전조 내부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주는 플라이트가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다수개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스프로켓은 침전조 내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고, 침전조 일측단에 설치되는 스프로켓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절수단이 동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모터를 구비하면서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침전조 내부에는 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침전조의 측벽과 바닥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침전조로 유입된 정수·하수와 폐수등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슬러지가 침전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메인 구동모터의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 구동모터가 작동하면서 체인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 스프로켓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하면서 플라이트를 결합하고 있는 체인을 수중 내부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체인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개의 플라이트가 침전조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침전조의 바닥에 쌓여있는 슬러지를 설정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침전조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가 과다하여 플라이트를 일부가 넘어가게 되면, 후방에 위치한 또 다른 플라이트가 상기 슬러지를 재차 밀어 침전조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국내에 선 출원된 특허출원 제98-33520호(1998.08.18)의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는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조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체인과, 상기 침전조의 일측벽에 설치되면서 메인체인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아이들 스프로켓과,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상태를 펄스 형태로 변환시켜 정보를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어 수면으로 부상한 슬러지를 제거하는 스컴 스키머와, 상기 침전조 일측에 설치되면서 유출되는 슬러지에 대하여 유동층을 형성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으면서 구동부와 스컴 스키머, 교반기의 작동을 단속하는 컨트롤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아이들 스프로켓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게 상호 결합되고, 이 샤프트에 보조 스프로켓A가 체인의 일부를 감으면서 설치되며, 상기 체인의 또 다른 일부에는 보조 스프로켓B가 침전조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에 결합되고, 샤프트 일측에는 회전수의 기준점이 되는 핀이 구비된 휠이 결합되며, 이 샤프트 하부에는 핀의 위치를 감지하여 펄스 형태로 컨트롤부에 전달하는 포토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침전조 내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플라이트가 다량의 슬러지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메인체인과 스프라켓에 각각 마모가 발생되면, 메인체인에 이완현상이 발생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 등의 이상여부가 발생한지를 외부에 파악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는 관계로, 운전자가 외부에서 기계작동음 및 육안에 의한 식별등으로 발생된 이상 여부를 파악한 후 장치를 정지시킨 다음 대응되는 보수 및 교체등의 수리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서, 장치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짐과 장치의 관리감독이 불가능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국내에 선 출원한 상기 체인의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는 메인체인의 이완현상이 발생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 등의 이상여부를 손쉽고 편리하게 외부에 정확히 운전자가 파악하여 그에 따른 대응초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메인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유무를 감지하도록 수중에 설치된 센서의 장기간 사용시 센서 표면에 각종 이물질등이 침착되고 방수성능이 저하됨에 따른 오작동등에 의한 내구성 및 신뢰도가 저하되어 설비의 오류작동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결점과, 아이들 스프로켓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부분의 메탈 타켓의 간격이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 구조상 한정된 갯수로 형성할 수 없으므로, 감지시 검출되는 응답시간을 지연시키는 결점과, 또 아이들 스프라켓이 회전하면서 처리장내의 셀로판 비닐, 은박지, 머리카락, 알루미늄 코일 등 비전도성 무기질 및 각종 오염물질이 아이들 스프라켓의 감지부분에 침착될 경우 센서의 감지능력을 상실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우려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체인이 주행할 때 아이들 스프라켓에 동력을 전달시키면 아이들 스프라켓과 동일하게 회동되게 이루어진 별도의 타켓디스크의 일부분과 체인 이상정렬 및 파단감지용 센서가 수면에 잠기지 않는 설정높이에 노출된 위치에 설치하여 감지센서의 감지능력 및 내구성,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타켓디스크를 구비하여 메인체인의 핏치와 상관없이 감지용 메탈타켓의 갯수 및 간격, 타켓디스크의 사이즈(size)의 변경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감지되어 검출되는 응답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검출된 데이터를 산출하여 플라이트가 다량의 슬러지를 모으는 과정에서, 메인체인과 스프라켓에 각각 마모가 발생되면 메인체인이 이완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운전자가 침전조의 내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최상의 운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한 대처작업이 수행되므로 설비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 는 도 3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5a, 5b 는 본 고안의 타켓디스크 일측에 이물질제거부가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중심축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침전조 10 : 구동부
20 : 메인체인 21 : 플라이트
30 : 중심축 31 : 브라켓
40 : 회동관체 41 : 아이들 스프라켓
50 : 타켓디스크 51 : 메탈타켓
60 : 검출센서부 61 : 센서
70 : 제어처리부 80 : 이물질제거부
81 : 부착판 82 : 협지판
83 : 러버판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조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체인과,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침전조의 양측벽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중심축과, 상기 한 쌍의 중심축 타단이 각각 끼워져 중심축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게 형성된 회동관체와, 상기 회동관체의 중간부분에 설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다수개의 플라이트가 취부된 메인체인의 일부에 치차 결합되어 전달된 동력을 다시 회전하여 상기 회동관체에 전달시키도록 형성된 아이들 스프로켓과, 소정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 연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메탈타켓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관체의 양끝단부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타켓디스크와, 설정형상으로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축의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위치에 방수구조를 갖춘 센서가 형성되며, 이 센서에 의해 상기 메탈타켓이 감지되어 얻어진 테이터를 전달 가능하게 구비된 검출센서부와, 상기 검출센서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체인의 이송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출한 테이터 값을 전달받아 이를 운전자가 쉽게 식별 확인 가능하도록 소정의 표시기에 전송되게 컨트롤하는 제어처리부와, 상기 메탈타켓이 형성된 타켓디스크의 표면에 부착되는 각종 오염물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항상 깨끗한 표면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검출센서부 센서의 감지기능이 저하됨이 방지되게 형성된 이물질제거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물질제거수단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착판의 상단부에 한 쌍의 협지판이 맞대어 체결되게 구비되고, 이 한 쌍의 협착판 사이에 오염물 제거용 러버판이 삽지 고정되어 상기 검출센서부와 설정간격을 두고 부착판의 하단부가 상기 중심축의 브라켓 일면에 견고하게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가 침전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가 침전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B'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a, 5b 는 본 고안의 타켓디스크 일측에 스크레퍼가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일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10)는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되도록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체인(20)은 상기 구동부(1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조(100)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30)은 봉형상으로 한 조를 이루며 일단부가 상기 침전조(100)의 양측벽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라켓(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관체(40)는 상기 한 쌍의 중심축(30) 타단이 각각 끼워져 중심축(30)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 스프로켓(41)은 상기 회동관체(40)의 중간부분에 설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다수개의 플라이트(21)가 취부된 메인체인(20)의 일부에 치차 결합되어 전달된 동력을 다시 회전하여 상기 회동관체(40)에 전달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타켓디스크(50)는 소정의 원판형상으로 한 쌍을 이루며 외주 연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메탈타켓(51)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관체(40)의 양끝단부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검출센서부(60)는 설정형상으로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축(30)의 브라켓(31)에 체결 고정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타켓디스크(50)의 메탈타켓(51)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위치에 방수구조를 갖춘 센서(61)가 구비되고, 이 센서(61)에 의해 상기 메탈타켓(51)이 감지되어 얻어진 테이터를 전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제어처리부(70)는 상기 검출센서부(60)의 센서(61)에 의해 상기 타켓디스크(50)의 메탈타켓(51)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체인(20)의 이송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출한 테이터 값을 전달받아 이를 운전자가 쉽게 식별 확인 가능하도록 소정의 표시기(도시생략)에 전송되게 컨트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제거부(80)는 상기 메탈타켓(51)이 형성된 타켓디스크(50)의 표면에 부착되는 각종 오염물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항상 깨끗한 표면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검출센서부(60) 센서(61)의 감지기능이 저하됨이 방지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물질제거부(80)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착판(81)의 상단부에 한 쌍의 협지판(82)이 맞대어 체결되게 구비되고, 이 한 쌍의 협지판(82) 사이에 오염물 제거용 러버판(83)이 삽지 고정되어 상기 검출센서부(60)와 설정간격을 두고 부착판(81)의 하단부가 상기 중심축(30)의 브라켓(31) 일면에 견고하게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도 6은 중심축이 일체로 형성된것을 나타내는 도 1의 A-A선단면도로서 중심축(30)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끝단부가 침전조(100)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31)과 일체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외부로 부터 침전조(100)로 유입된 정수·하수 및 폐수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침전되면서 바닥에 가라앉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컨트롤부에서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에서 자동모드를 선택하면 각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동시에 센서(61)의 상태를 진단하며, 이와 함께 연산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 제어회로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면 이상 여부를 파악하여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진단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정상일 경우에는 연산처리 장치의 각종 입력정보, 파라메타 등을 연산장치로 입력하면서 기동하게 된다.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운전자는 메인체인(20)의 이송 속도(Vs)를 표준속도로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 방법은 미 도시된 연산처리 장치의 전면 스위치 또는 가변 저항 볼륨 스위치로 설정하고, 이와 함께 스컴 스키머의 동작 시점과 동작 지속시간(T), 밸브 동작 시점과 동작 지속시간(T), 교반기 동작시점(T)등의 초기 파라메타를 함께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컨트롤부를 구성하는 연산 처리장치에서는 속도제어 유니트에 조절신호를 보내어 구동부(1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0)로 부터 제공되는 동력은 구동체인을 통하여 제1스프로켓에 전달되고, 동시에 구동 제1스프로켓는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메인체인(20)을 플라이트(21)와 함께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체인(20)은 가이드레일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플라이트(21)는 가이드레일의 상부를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체인(20)의 일부가 감겨진 제2스프로켓와 제3스프로켓, 휠, 제4스프로켓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라이트(21)가 이동하게 되면 침전조(100)의 바닥에 모여진 슬러지는 타측 방향으로 밀려지면서 모아지게 되는데, 이때 최초의 플라이트(21)에 의하여 밀려지게 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일부가 뒤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뒤로 넘어간 일부 슬러지는 연속하여 이동하는 또 다른 플라이트(21)에 의하여 재차 밀려지면서, 침전조(10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호파 하부에 모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체적인 구동방법에 의해 침전조(100)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되며, 본 고안의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는 먼저,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10)에서 전달된 동력이 상기 메인체인(20)에 전달되어 침전조(100) 내부에서 안내 이송된다.
이때,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침전조(100)의 양측벽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라켓(31)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중심축(30) 타단이 각각 끼워져 중심축(30)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관체(40)가 상호 체결되게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중심축(30)이 하나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회동관체(40)가 상호체결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동관체(40)의 중간부분에 구비된 아이들 스프로켓(41)이 다수개의 플라이트(21)가 취부된 메인체인(20)의 일부에 치차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41)에 동력이 자연스럽게 전달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동관체(40)도 함께 회동된다.
상기 회동관체(40)와 상호 연결된 타켓디스크(50)도 함께 회동되어 원판의 외주 연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메탈타켓(51)이 상기 검출센서부(60)의 센서(61)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되고, 감지되어 검출된 테이터 값을 운전자가 쉽게 식별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처리부(70)에 전송되어 컨트롤 된다.
한편, 상기 메탈타켓(51)이 형성된 타켓디스크(50)의 외주 연부 표면에 각종 오염물이 부착되면 자동적으로 이물질제거부(80)의 부착판(81)에 연결된 협지판(82) 일단에 취부된 러버판(83)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타켓디스크(50)의 표면의 오염물등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상기 타켓디스크(50)의 메탈타켓(51)이 검출센서부(60)의 센서(61) 감지기능이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되게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체인(20)이 주행할 때 아이들 스프라켓(41)에 동력을 전달시키면 아이들 스프라켓(41)과 동일하게 회동되게 이루어진 별도의 타켓디스크(50)의 일부분과 메인체인(20) 의 이상정렬 및 파단감지를 하는 수중용 센서(61)가 수면에 잠기지 않는 설정높이에 노출된 위치에 설치하여 센서(61)의 감지능력 및 내구성,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타켓디스크(50)를 구비하여 메인체인(20)의 핏치와 상관없이 감지용 메탈타켓(51)의 갯수 및 간격, 타켓디스크(50)의 사이즈(size)의 변경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감지되어 검출되는 응답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검출된 데이터 값을 산출하여 플라이트(21)가 다량의 슬러지를 모으는 과정에서, 메인체인(20)과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라켓에 각각 마모가 발생되면 메인체인(20)이 이완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운전자가 침전조(100)의 내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최상의 운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한 대처작업이 수행되므로 설비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조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체인과,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침전조의 양측벽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중심축과,
    상기 한 쌍의 중심축 타단이 각각 끼워져 중심축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게 형성된 회동관체와,
    상기 회동관체의 중간부분에 설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다수개의 플라이트가 취부된 메인체인의 일부에 치차 결합되어 전달된 동력을 다시 회전하여 상기 회동관체에 전달시키도록 형성된 아이들 스프로켓과,
    소정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 연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메탈타켓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관체의 양끝단부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타켓디스크와,
    설정형상으로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축의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위치에 방수구조를 갖춘 센서가 형성되며, 이 센서에 의해 상기 메탈타켓이 감지되어 얻어진 테이터를 전달 가능하게 구비된 검출센서부와,
    상기 검출센서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타켓디스크의 메탈타켓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체인의 이송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출한 테이터 값을 전달받아 이를 운전자가쉽게 식별 확인 가능하도록 소정의 표시기에 전송되게 컨트롤하는 제어처리부와,
    상기 메탈타켓이 형성된 타켓디스크의 표면에 부착되는 각종 오염물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항상 깨끗한 표면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검출센서부 센서의 감지기능이 저하됨이 방지되게 형성된 이물질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착판의 상단부에 한 쌍의 협지판이 맞대어 체결되게 구비되고, 이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오염물 제거용 러버판이 삽지 고정되어 상기 검출센서부와 설정간격을 두고 부착판의 하단부가 상기 중심축의 브라켓 일면에 견고하게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KR2019990010028U 1999-06-07 1999-06-07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KR200245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28U KR200245200Y1 (ko) 1999-06-07 1999-06-07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28U KR200245200Y1 (ko) 1999-06-07 1999-06-07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16U KR19990035216U (ko) 1999-09-06
KR200245200Y1 true KR200245200Y1 (ko) 2001-09-25

Family

ID=5475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028U KR200245200Y1 (ko) 1999-06-07 1999-06-07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79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타 셋 장방형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파단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79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타 셋 장방형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파단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16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4889A1 (en) Conveyor chain and transverse member monitoring apparatus
KR101648763B1 (ko) 구동체인 단락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 시스템
KR200245200Y1 (ko)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감지장치
KR101019404B1 (ko)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100248974B1 (ko) 자동제어에 따른 슬러지 제거시 제어방법
KR100277507B1 (ko)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257368Y1 (ko) 슬러지 수집장치의 체인 이탈, 사행 및 파단 감지장치
JPH0657403U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ン破断検知装置
US7220361B2 (en) Torque-limited driv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creening system
KR200156019Y1 (ko) 하수/폐수처리기의 체인플라이트 이상감지장치
KR100953609B1 (ko) 체인식 이송장치의 감시기구
KR200317471Y1 (ko) 상하수 처리기의 체인 이상 감지장치
KR100296233B1 (ko)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JPH09122404A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ン等の異常検出方法
KR200298690Y1 (ko)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이상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247775Y1 (ko) 상하수처리기의 체인 플라이트 이상감지장치
KR200226629Y1 (ko) 데드 존이 없고 절전형 운전모드를 갖는 체인 플라이트식슬러지 수집장치
KR100516525B1 (ko) 상하수 처리기의 체인 이상 감지장치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200238943Y1 (ko) 체인플라이트식 침전물수집기의 체인이상감지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JPS6246446B2 (ko)
KR0123406Y1 (ko) 대칭 나선형 스컴 제거기와 정지장치
KR200254466Y1 (ko) 상하수 처리기의 동력 긴급 차단 장치
KR100837784B1 (ko) 수 처리장의 스컴 스키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