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47Y1 -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47Y1
KR200245147Y1 KR2020010015440U KR20010015440U KR200245147Y1 KR 200245147 Y1 KR200245147 Y1 KR 200245147Y1 KR 2020010015440 U KR2020010015440 U KR 2020010015440U KR 20010015440 U KR20010015440 U KR 20010015440U KR 200245147 Y1 KR200245147 Y1 KR 200245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tube
heat
synthetic resin
shri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20010015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4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상수도관, 통신케이블 연결을 위한 통신파이프와 같은 합성수지관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14046호의 개량고안으로 관의 연결부분에서 가열되면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열수축관을 시트를 이용하여 성형시킨 후 융착부분의 외측으로 석면부와 수지판으로 형성된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열수축관의 설치시 융착부분이 필요이상으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수축관은 연결부분이 취약하여 사용이 어렵고, 융착부분이 외부의 열로 인하여 쉽게 분리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융착부분(2)의 외측에 고정되는 2줄의 접착제(8)가 설치된 수지판(7)의 외측에 석면부(6)를 형성한 보호부재(5)와,
상기 융착부분(2)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분(3)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4)를 설치하여 융착부분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a}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상수도관, 통신케이블 연결을 위한 통신파이프와 같은 합성수지관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14046호의 개량고안으로관의 연결부분에서 가열되면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열수축관을 시트를 이용하여 성형시킨 후 융착부분의 외측으로 석면부와 수지판으로 형성된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열수축관의 설치시 융착부분이 필요이상으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03747호(기술평가청구번호 20-2000-9-004203)의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는 원형으로 성형되는 열수축관의 내부에는 아스콘이나 고무몰탈 접착제를 도포하며 열수축관(1)의 중심부에 철선이나 마포 스테인레스 선으로 이루어진 보강선(10)을 원형방향이나 원형방향과 가로방향으로 구성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열수축관(1)을 원형으로 성형시키게 되므로 성형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복잡한 결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열수축관을 사각형으로 형성된 시트로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한바퀴 감은 후 원형으로 말아진 돌기를 형성하여 양측의 돌기에 클립바를 삽입하여 돌기를 양측에서 잡고 있도록 한다.
그러나 클립바를 이용하여 양측에서 돌기를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클립바와 시트의 연결부분이 취약해져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트 이외에 별도의 클립바를 사용하므로 클립바의 삽입시간으로 작업이 지연되는 원인이 되며, 클립바가 삽입되는 부분의 융착이 어려워 누수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립바의 내부에 별도의 일자형 패킹(13)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1-14046호는 시트의 양선단이 겹치도록 하여 겹치는 부분을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시켜 열수축관으로 제공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합성수지관(9)의 사이에 열추축관(1)을 삽입한 후 외부에서 열을 가할 때 융착부분(2)에 열이 가해지면 융착부분이 열로 인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합성수지관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으며, 내부의 돌출부분(3)이 시트와 분리되어 있어서 돌출부분에서 누수현상이 일어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시트를 이용하여 양선단을 겹치도록 하여 겹치는 부분을 열로 압착시켜 성형된 융착부분의 외측으로 석면부와 수지판으로 형성된 보호부재를 접착제로 고정시켜 열수축관에 열이 가해질 때 융착부분에 직접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호부재의 내부에 있는 수지판이 간접가열로 인하여 융착부분과 그 양측에서 열수축관과 융착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융착부분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분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를 설치하여 돌출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융착부분의 외측에 고정되는 2줄의 접착제가 설치된 수지판의 외측에 석면부를 형성한 보호부재와,
상기 융착부분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분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호부재를 분리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수축관 2 : 융착부분
3 : 돌출부분 4 : 마감 접착제
5 : 보호부재 6 : 석면부
7 : 수지판 8 : 접착제
9 : 합성수지관
본 고안은 일자형으로 길게 성형되는 시트를 지름에 따라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도 1 과 같이 원형의 열수축관(1)으로 성형시키는 것으로
시트는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일자형의 시트 상측에 물결모양 또는 일자형으로 원형 보강선(10)과 가로 보강선(10)을 설치하고 다시 그 위에 일자형의 시트를 올려놓아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시키는 것이며, 약30%의 연실을 갖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는 열수축관(1)을 성형시키는 성형장치에서 양측을 고정시킨 후 250∼300℃의 열원으로 융착부분(2)을 가열하고 상, 하측에서 압착시켜 원형으로 성형시키는 것이다.
성형된 열수축관(1)의 외측에는 융착부분(2)보다 더 돌출된 부분을 잘라내고 내부의 돌출부분(3)은 그대로 두며, 돌출부분(3)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4)를 설치한다.
성형된 열수축관(1)은 융착부분(2)의 외측으로 보호부재(5)를 설치하여 열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재(5)는 외측에는 화력에 강한 석면부(6)가 위치하고, 그 내부에는 수지판(7)이 형성되며 수지판(7)의 하측으로 2줄의 접착제(8)가 설치되어 있어서, 융착부분(2)의 길이만큼 절단한 후 열수축관(1)이 완성되면 융착부분(2)의 외측에 도 2 와 같이 설치되어 융착부분(2)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열수축관(1)은 합성수지관(9)에 미리 삽입한 후 대응되는 합성수지관을 맞대기 하여 열수축관(1)이 합성수지관(9)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합성수지관(9)의 정중앙에 열수축관(1)이 위치하면 외측에서 토오치램프 등의 열기구를 사용하여 열수축관(1)의 외측에 열을 가하게 된다.
가열되는 열수축관(1)은 연실(30%)에 의하여 강제로 늘어난 것이므로 열원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기억으로 연실된 만큼 수축된다.
열수축관(1)이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9)을 상호 융착시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은 보호부재(5)의 외측에서 석면부(6)에 의하여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융착부분(2)이 열원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열원으로 인하여 보호부재(5)의 내부에 있는 수지판(7)이 용융되면서 열수축관(1)과 일체형이 되므로 융착부분(2)의 외측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분(3)의 일측에는 마감 접착제(4)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으로 용융되면서 돌출부분(3)과 합성수지관(9)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시트를 이용하여 양선단을 겹치도록 하여 겹치는 부분을 열로 압착시켜 성형된 융착부분의 외측으로 석면부와 수지판으로 형성된 보호부재를 접착제로 고정시켜 열수축관에 열이 가해질 때 융착부분에 직접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열수축관을 통한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호부재의 내부에 있는 수지판이 간접가열로 인하여 융착부분과 그 양측에서 열수축관과 융착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융착부분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분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를 설치하여 돌출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보강선이 삽입되는 시트를 이용하여 양선단이 겹치는 융착부분(2)을 융착시켜 합성수지관(9)을 감아 연결시키는 열수축관(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분(2)의 외측에 고정되는 2줄의 접착제(8)가 설치된 수지판(7)의 외측에 석면부(6)를 형성한 보호부재(5)와,
    상기 융착부분(2)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분(3)의 일측으로 마감 접착제(4)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KR2020010015440U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KR200245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40U KR200245147Y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40U KR200245147Y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147Y1 true KR200245147Y1 (ko) 2001-10-15

Family

ID=7310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40U KR200245147Y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52B1 (ko) * 2007-09-18 2009-07-10 주원섭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81192B1 (ko) * 2009-03-05 2010-09-10 주원섭 관 이음구
KR101600525B1 (ko) * 2015-10-20 2016-03-07 (주) 태광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52B1 (ko) * 2007-09-18 2009-07-10 주원섭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81192B1 (ko) * 2009-03-05 2010-09-10 주원섭 관 이음구
KR101600525B1 (ko) * 2015-10-20 2016-03-07 (주) 태광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5147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US4641402A (en) Branch-off clip and assembly
NO840899L (no) Gjenisolering av roerskjoeter
EP0697129B1 (en) Side entry device for sealing wire bundles
KR200289528Y1 (ko) 발포재와 열수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357476Y1 (ko) 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0150916B1 (ko) 열수축관 공기주입밸브를 갖는 분기부재
JPH1089580A (ja) 管接続用カラー
JPH04507039A (ja) 環境的封止
AU640380B2 (en) Environmental sealing
CN210864107U (zh) 一种具有光纤快速对接功能的光纤热缩管
KR200286290Y1 (ko) 유체관 밀봉용 열수축시트구조체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457257B1 (ko) 수지관 융착용 연결시트의 성형방법 및 구조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50082121A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34216Y1 (ko) 수지관 융착용 다공 연결관
KR100408807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CA1286485C (en) Branch-off clip
KR20060078091A (ko) 관체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618

Effective date: 200502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18

Effective date: 20050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406

Effective date: 200604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511

Effective date: 200609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