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92B1 - 관 이음구 - Google Patents

관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92B1
KR100981192B1 KR1020090018765A KR20090018765A KR100981192B1 KR 100981192 B1 KR100981192 B1 KR 100981192B1 KR 1020090018765 A KR1020090018765 A KR 1020090018765A KR 20090018765 A KR20090018765 A KR 20090018765A KR 100981192 B1 KR100981192 B1 KR 10098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layer
copper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776A (ko
Inventor
주원섭
Original Assignee
주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섭 filed Critical 주원섭
Priority to KR102009001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 끝 내부 둘레에 삽입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관, 일측 끝 외부 둘레에 상기 삽입단턱에 삽입되는 결합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관, 상기 제1관과 상기 제2관이 서로 이음 연결되면서 이음 연결된 부분에 형성된 이음부, 상기 이음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밀부, 상기 기밀부을 감싸고 있고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되어 있으며 한쪽 끝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판이음구, 상기 동판이음구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부러지는 걸림고리, 그리고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판이음구의 한쪽 끝 외부 둘레에 형성된 마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 및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고 방수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이음부에 접착 고정된 기밀층을 포함한다.
관, 삽입단턱, 결합단턱, 분기관, 기밀층, 동판이음구

Description

관 이음구{pipe coupler}
본 발명은 관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배관은 가정, 빌딩,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해 시가지 내 도로 밑에 그물 모양으로 깔려 있는 관을 말하며, 상수관은 정수사업장으로부터 각 건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도를 이루는 관을 말한다.
이와 같은 관은 통수량이 큰 곳에서는 콘크리트 관을 주로 사용하며, 통수량이 비교적은 적은 곳에서는 콘크리트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한 PVC,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주물로 성형된 관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상ㅇ관중 콘크리트로 성형된 관의 경우에는 상호 이음되는 부분을 시멘트 등으로 실링처리를 하여 한 쌍의 관이 서로 이음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작업성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수밀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관은 배관 작업시 연통방향이 상호 연결할 경우, 종래에는 상기 하수배관을 연통 가능하게 상호 대응하도록 접합시킨 상태에 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열융착 과정을 거쳐 접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시공을위해 관을 상호 열융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관 연결작업도 장시간을 요구하게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물로 성형되는 관의 경우 대부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한 쌍의 관을 접합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커플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이음시키는 구조로서, 이 경우에도 시공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관이 열에 의해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늘어나거나 휘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부분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틈새를 형성하여 이음하였다.
그러나, 지상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관의 이음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와 같이 이음부분이 약해져 파손되면서 관 주변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이음부분의 틈새를 통하여 관 내부로 침투하여 생장되면서 관을 막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식물 뿌리가 관을 막게 되면 뿌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관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맨홀을 통하여 이음부분까지 자주차 등을 투입시켜 뿌리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약해진 이음부분으로 상ㅇ하수가 누수되어 지반 침하를 가속시킬 뿐만 아니라 하수의 경우에는 토양 및 지하수 오염과 같은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관이 이음된 부분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이음부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관 이음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관 이음구는, 제1 관 및 제2 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관 이음구에 있어서, 상기 이음된 부분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밀부, 상기 기밀부을 감싸고 있고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되어 있으며 한쪽 끝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판이음구, 상기 동판이음구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부러지는 걸림고리, 그리고 상기 동판이음구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홈과 중첩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 및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고 방수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이음부에 접착 고정된 기밀층을 포함하고, 상기 동판이음구와 상기 걸림고리는 동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는 메인관의 기설정된 지점에 분기관이 이음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이음 부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관 이음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걸림턱, 상기 분기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걸림턱과 결합되어 있는 분기결합턱, 중앙부에 상기 분기관이 관통하는 분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통공 주위에는 상기 분기간의 둘레에 접촉되는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기기밀층, 상기 제1 기밀층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분기관통공과 연결되어 통하는 분기동판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동판관통공 주위에는 상기 밀착층과 접촉하는 압착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기동판이음구, 그리고 상기 제1 기밀층 및 상기 제1 분기동판이음구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첩되어 있는 제1 마감층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관 및 상기 분기관을 감싸고 있는 제2 분기기밀층, 상기 제2 분기기밀층을 감싸고 있으며 양쪽 끝이 서로 중첩되는 제2 분기동판이음구, 상기 제2 분기동판이음구에 접착되며, 상기 제2 분기동판이음구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제2 분기마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관 이음구는 하나 이상의 관이 상호 이음 연결되면서 이음된 외경에 접착층으로 기밀층이 부착 형성되면서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기밀층을 압착 고정하도록 양측끝단이 상호 중첩된 동판이음구의 걸림고리가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면서 이음부의 이음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 이음구는 고정부의 동판이음구가 동으로 이루어지면서 동의 성분에 의하여 식물 뿌리가 이음부 부분을 회피하여 생장하기 때문에 관 내부로로 침투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 이음구는 관이 상호 이음된 이음부의 외경에 기밀층이 형성되면서 기밀층을 압착 고정하도록 동판이음구가 기밀층을 감아돌린 후 걸리고리가 고정홈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마감층이 중첩되어 걸림고리가 걸려 고정된 고정홈의 외 부로 마감층이 형성되면서 비숙련자도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이음부에 대한 누수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 이음구는 이음부에 형성된 기밀층을 동으로 이루어진 동판이음구로 압착고정되면서 동판이음구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관에 밀착됨에 따라 다양한 곡률반경을 갖는 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 선을 따라 관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다.
도 1 내도 도 4를 참고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10)는 제1관(110), 제2관(120), 이음부(130), 기밀부(140), 동판이음구(150), 걸림고리(160), 그리고 마감층(170)을 포함한다.
제1관(11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 내부 둘레에 삽입단턱(11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단턱(111)은 제1관(110)의 내부 둘레가 단차가 지면 서 형성된다. 제2관(120) 또한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 외부 둘레에 삽입단턱(111)에 삽입되는 결합단턱(12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단턱(121) 또한 제2관(120)의 외부 둘레가 단차가 지면서 형성된다.
결합단턱(121)이 삽입단턱(111)에 삽입되면서 제1관(110)과 제2관(120)은 서로 연결되며 연결된 부분에 이음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음부(130)에서 이음된 제1관(110)과 제2관(120)은 관의 수축, 팽창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기밀부(140)는; 접착층(141) 및 기밀층(142)을 포함한다.
접착층(141)은 접착력이 있는 것으로 이음부(130)의 둘레에 도포되어 있다. 기밀층(142)은 접착층(141) 위에 위치하여 접착층(141)의 접착력에 의하여 이음부(130)의 둘레에 접착 고정된다. 이러한 접착층(141)과 기밀층(142)은 여러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기밀층(142)은 방수 코팅처리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밀층(142)은 직물이나 편물과 같이 직조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천연섬유, 화학섬유를 기계적으로 얽히게 하여 시트모양의 웹(web)을 형성한 후, 합성수지 바인더로 접착하거나, 기계적인 방법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바인더 없이 얽히게 하거나, 섬유자체가 가지고 있는 열용융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하여 만든 평면구조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기밀층(142)을 부직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면 다양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동판이음구(150)는 기밀층(142) 외측에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되게 감 겨져 기밀층(142)을 압착 고정한다. 동판이음구(150)의 한쪽 끝에는 고정홈(151)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판이음구(150)의 다른 쪽 끝에는 걸림고리(160)가 형성되어 있다. 동판이음구(150)의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될때 걸림골리(160)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홈(151)이 상부에 위치한다. 하부에 위치한 걸림고리(16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첩된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동판이음구(150)는 특유한 적색 광택을 가진 금속으로 전성(展性) ㅇ연성(延性) ㅇ가공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강도가 있으며, 열 및 전기의 전도율은 은에 이어 2번째로 크고 결정은 등축정계(等軸晶系)인 동(구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은 가열하면 어두운 빛깔의 산화제이구리 CuO가 되고, 10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적자색인 산화제일구리 Cu2O가 된다. 황,염소,인과도 직접 화합한다.
더욱이, 순수한 건조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보통의 공기 중에서는 습기로 인해서 녹이 슬어, 주로 염기성탄산구리 CuCO3, Cu(OH)2로 이루어지는 녹청(綠靑)을 생성하게된다.
또한 염분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순수한 물에는 녹지 않으나, 염분이 있는 물에는 녹는다. 특히 암모늄염은 이 성질이 뚜렷하며, 공기를 단절하고 구리에 묽은 황산을 가하거나 또는 끓이거나 해도 반응하지 않으나, 공기 중에서는 서서히 녹는다.
마감층(170)은 기밀층(122)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동판이음구(150) 가 중첩된 외측 부분에 기밀접착층(171)으로 접착 고정되어 동판이음구(151)의 중첩된 부분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관에 분기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에 분기관이 결합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도 도시한 VI-VI 선을 따라 관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20)는 메인관(210), 분기관(220), 그리고 분기이음부(230)를 포함하는 관로부, 제1 분기기밀부(240),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 제1 마감층(260), 제2 분기기밀부(270), 제2 분기동판이음구(180), 그리고 제2 분기마감층(290)을 포함한다.
관로부의 메인관(210)은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지점에 분기결합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결합공(211)의 둘레에는 메인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관로부의 분기관(220) 한쪽 끝에는 분기결합턱(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결합턱(221)은 분기결합공(211)에 삽입되면서 메인걸림턱(212)과 결합된다. 분기결합턱(221)이 메인걸림턱(212)에 결합되면서 메인관(210)과 분기관(220)은 서로 연결되며 연결된 부분에 분기이음부(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기이음부(230)에서 이음된 메인관(210)과 분기관(220)은 관의 수축, 팽창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분기기밀부(240)는 분기이음부(230)의 둘레에 복수 형성되며, 제1 분기 접착층(241), 제1 분기기밀층(243), 그리고 밀착층(244)을 포함한다.
제1 분기접착층(241)은 접착성을 가지고 있으며 분기이음부(230)의 둘레에 도포되어 있다. 제1 분기기밀층(243)은 가운데 부분에 분기관(220)이 관통하는 분기관통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관통공(242)의 둘레에는 복수의 밀착층(2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층(244)은 분기관(220)의 외부 둘레 밀착되어 있다. 제1 분기기밀층(243)의 재질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기밀층(1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은 제1 분기기밀부(240)를 감싸고 있으며 양쪽 끝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의 중앙에는 분기관(220)이 관통하는 분기동판관통공(2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동판관통공(251)의 둘레에는 압착관(254)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관(254)은 밀착층(244) 위에 위치하며 밀착층(244)은 분기관(220)의 외부 둘레에 압착시키게 된다.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의 한쪽 끝에는 복수의 제1 분기고정홈(25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의 다른 쪽 끝에는 제1 분기고정홈(252)에 삽입되어 구부러지는 제1 분기걸림고리(2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가 중첩 시 제1 분기고정홈(252)이 형성된 한쪽 끝이 제1 분기걸림고리(253)가 형성된 다른 쪽 위에 위치한다. 하부에 위치한 제1 분기걸림고리(253)는 제1 분기고정홈(2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첩된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제1 분기마감층(260)은 제1 분기기밀층(242)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제1 분기동판이음구(250)가 중첩된 외측 둘레에 제1 기밀접착층(261)으로 접착 고정되어 제1 동판이음구(250)의 중첩된 부분에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제2 분기기밀부(270)는 분기관(220) 및 압착관(254)에 겹처 복수 층으로 형성되며 제2 분기접착층(271)및 제2 분기기밀층(272)을 포함한다.
제2 분기접착층(271)은 분기관(220) 및 압착관(254)의 외부 둘레에 분포되어 있으며 접착성을 갖는다.
제2 분기기밀층(272)은 제2 분기접착층(271) 위에 있으며 분기관(220) 및 압착관(254)에 겹처 접착고정되어 있다. 제2 분기기밀층(272)의 재질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기밀층(1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는 제2 분기기밀부(270)를 감싸고 있으며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되게 감겨져 제2 분기기밀층(272)을 압착 고정한다.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의 한쪽 끝에는 제2 분기고정홈(281)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의 다른 쪽 끝에는 제2 분기걸림고리(28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의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될때 제2 분기걸림골리(283)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분기고정홈(281) 부분이 상부에 위치한다. 하부에 위치한 제2 분기걸림고리(283)는 제2 분기고정홈(281)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첩된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제2 분기마감층(290)은 제2 분기기밀층(272)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가 중첩된 외측 부분에 제2 분기기밀접착층(291)으로 접착 고정되어 제2 분기동판이음구(280)의 중첩된 부분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며, 관 이음구 시공 방법은 관 이음단계(S10), 접착층 형성단계(S20), 기밀층 형성단계(S30), 동판이음구를 만드는 단계(S40), 동판이음구 설치단계(S50), 그리고 마감처리단계(S60)를 포함한다.
먼저 제1관(110)의 삽입단턱(111)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제2관(120)의 결합단턱(121)을 삽입하여 제1관(110) 및 제2관(120)을 상호 이음한다. 이렇게 제1관(110) 및 제2관(120)이 이음되면서 그 부분에 이음부(130)가 관 이음단계(S10)에서 형성한다.
그리고 관 이음단계(S10)에서 제1관(110) 및 제2관(120)이 상호 연결되면서 형성된 이음부(130)의 외부 둘레에 기밀층(142)을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층 형성단계(S20)에서 접착층(141)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렇게 접착층(141)이 형성된 상태에서, 접착층(141)의 외측으로 기밀층 형성단계(S30)에서 부직포 등을 복수 권회시켜 기밀층(142)을 형성한다.
동판이음구를 만드는 단계(S40)에서 동을 재료로 하여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을 만든다. 판 형상의 한쪽에 복수의 고정홈(151)을 형성하며, 판 형상의 다른 쪽 끝에는 고정홈(151)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고리(160)를 형성하여 동판이음구(150)를 만든다.
이음부(130)에 기밀층(142)이 형성되고 동판이음구(150)가 만들어지면 동판이음구 설치단계(S40)에서 기밀층(142)의 외측으로 동판이음구(150)를 감싸면서 양쪽 끝이 상호 중첩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고리(160)가 형성단 타측 끝 부분이 고정홈(151)이 형성된 일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동판이음구(150)가 중첩되면 걸림고리(160)를 고정홈(151)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걸림고리(160)를 중첩된 방향으로 구부려 동판이음구(150)의 양쪽 끝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동판이음구(150)가 동판이음구 설치단계(S40)에서 기밀층(142) 외측에 형성되면서 기밀층(142)을 압착시키면서 이음부(130)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동이판이음구 설치단계(S40)에서 양측단이 중첩되면서 걸림고리(160)가 고정홈(151)에 걸려 고정되면 마감처리단계(S50)에서 중첩되어 걸림고리(160)가 고정된 동판이음구(150)의 외측에 마감접착층(171)을 형성하여 마감접착층(171) 위에 마감층(170)를 형성하여 마감처리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 선을 따라 관을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관에 분기관이 결합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도 도시한 VI-VI 선을 따라 관을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 이음구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관 111: 삽입단턱
120: 제2관 121: 결합단턱
130: 이음부 140: 기밀부
141: 접착층 142: 기밀층
150: 동판이음구 151: 고정홈
160: 걸림고리 170: 마감층
20: 관 이음구 210: 메인관
211: 분기 결합공 212: 메인걸림턱
220: 분기관 221: 분기결합턱
230: 분기이음부 240: 제1 분기기밀부
241: 제1 분기접착층 242: 분기관통공
243: 제1 분기기밀층 244: 밀착층
250: 제1 분기동판이음구 251: 분기동판관통공
252: 제1 분기고정홈 253: 제1 분기걸림고리
254: 압착관 260: 제1 분기마감층
261: 제1 기밀접착층 270: 제2 분기기밀부
271: 제2 분기접착층 272: 제2 분기기밀층
280: 제2 분기동판이음구 282: 제2 분기고정홈
283: 제2 분기걸림고리 290: 제2 분기마감층
291: 제2 분기기밀접착층

Claims (3)

  1. 삭제
  2. 메인관의 기설정된 지점에 분기관이 이음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이음 부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관 이음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걸림턱,
    상기 분기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걸림턱과 결합되어 있는 분기결합턱,
    중앙부에 상기 분기관이 관통하는 분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통공 주위에는 상기 분기간의 둘레에 접촉되는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기기밀층,
    상기 제1 기밀층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분기관통공과 연결되어 통하는 분기동판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동판관통공 주위에는 상기 밀착층과 접촉하는 압착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기동판이음구, 그리고
    상기 제1 기밀층 및 상기 제1 분기동판이음구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첩되어 있는 제1 마감층
    을 포함하는 관 이음구.
  3. 제2항에서,
    상기 압착관 및 상기 분기관을 감싸고 있는 제2 분기기밀층,
    상기 제2 분기기밀층을 감싸고 있으며 양쪽 끝이 서로 중첩되는 제2 분기동판이음구,
    상기 제2 분기동판이음구에 접착되며, 상기 제2 분기동판이음구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제2 분기마감층
    을 더 포함하는 관 이음구.
KR1020090018765A 2009-03-05 2009-03-05 관 이음구 KR10098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65A KR100981192B1 (ko) 2009-03-05 2009-03-05 관 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65A KR100981192B1 (ko) 2009-03-05 2009-03-05 관 이음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940A Division KR100907252B1 (ko) 2007-09-18 2007-09-18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776A KR20090029776A (ko) 2009-03-23
KR100981192B1 true KR100981192B1 (ko) 2010-09-10

Family

ID=4069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765A KR100981192B1 (ko) 2009-03-05 2009-03-05 관 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47Y1 (ko) * 2001-05-25 2001-10-15 김학건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KR20030034722A (ko) * 2001-10-26 2003-05-09 연규석 관체용 체결구 및 그 체결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0381763Y1 (ko) * 2005-01-18 2005-04-18 맹민희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47Y1 (ko) * 2001-05-25 2001-10-15 김학건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
KR20030034722A (ko) * 2001-10-26 2003-05-09 연규석 관체용 체결구 및 그 체결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0381763Y1 (ko) * 2005-01-18 2005-04-18 맹민희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776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357B2 (ja) 多重パイプ保護管
KR101126728B1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KR100981192B1 (ko) 관 이음구
CA2338814A1 (en) P-trap for plumbing drainage systems
KR20090020151A (ko) 터널의 배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과 그것에 이용되는슬리브 소켓
KR100907252B1 (ko)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CN205078305U (zh) 一种组合式隧道纵向排水管
KR20020013686A (ko)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JP6097094B2 (ja) 給水管接続部の防蝕構造
CN107387921A (zh) 一种小型聚乙烯螺旋波纹管焊接接口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0236381Y1 (ko)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USRE29394E (en) Corrosion protective band for underground pipe joints with metal parts
KR200195784Y1 (ko) 주하수관에 분기 하수관 결합구
CN209494056U (zh) 管件建筑节点防水结构
KR100592336B1 (ko) 상하수도관 연결부위용 보호장치
CN103982707A (zh) 临场现铺混凝土包围柔管导流系统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KR20140001861U (ko) 하수관분기용 연결구
CN216590373U (zh) 一种管道系统用的螺纹打井水管
CN208058148U (zh) 一种建筑工程防水管道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1376239B1 (ko) 식물 재배용 나선 암거배수관
US20240011582A1 (en) Drainage system for post burial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