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210Y1 - 배터리 홀더 - Google Patents

배터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210Y1
KR200244210Y1 KR2020010015051U KR20010015051U KR200244210Y1 KR 200244210 Y1 KR200244210 Y1 KR 200244210Y1 KR 2020010015051 U KR2020010015051 U KR 2020010015051U KR 20010015051 U KR20010015051 U KR 20010015051U KR 200244210 Y1 KR200244210 Y1 KR 200244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orage space
case
bracke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흥근
Original Assignee
전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흥근 filed Critical 전흥근
Priority to KR2020010015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210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 배터리가 양극과 음극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배터리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 홀더는 케이스와 브라켓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배터리의 납작한 양면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오프닝이 형성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전자기기에 결합된다. 브라켓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홀더{BATTERY HOLDER}
본 고안은 배터리 홀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리듐 셀 배터리와 같은 박형의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홀더에 관한 것이다.
리듐 셀 배터리는 다양한 사이즈로 출시되고 있으며,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듐 셀 배터리는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된 배터리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배터리(1)는 도 7 및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전자기기(인쇄회로기판(PCB))에 장착되는 배터리 홀더(100)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이 배터리(1)를 수용하기 위한 종래 배터리 홀더(100)는 양극과 음극이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상기 홀더(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배터리 홀더(100)는 장착되는 전자기기(일반적으로 PCB)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터리 홀더(100)의 메커니즘은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집적화에 대하여 대치되는 것이다. 즉, 이 배터리 홀더(100)가 전자기기에 수평으로 설치되면 그 설치면적이 다른 부품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배터리 홀더(100)에 수용되는 배터리(1)는 이 배터리(1)의 외주면에 약간 걸쳐지는 훅(130)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그 고정이 완벽하지 않아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배터리 홀더(10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배터리(1)의 양극과 음극에 접촉되는 터미널(110,120)에서 상기 배터리(1)의 하부에 위치되는 터미널(120)은 안정적으로 접촉되지만, 상부에 위치되는 터미널(110)은 상기 배터리(1)의 외주면 근처에 접촉되므로 접점이 매우 작아 파손에 따른 제품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듐 셀 배터리(rithium cell battery)와 같이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터리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배터리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킴과 동시에 장착후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하여 배터리 홀더로부터 배터리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전원의 점접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터리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라인 3-3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제 1 및 제 2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배터리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
도 6은 도 5b의 상태에서 배터리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 배터리 홀더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터리 홀더에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배터리 5 : PCB
10 : 배터리 홀더 20 : 케이스
22 : 수납공간 24 : 오프닝
26 : 수납공간 바닥 내측면 28 : 수납공간 바닥 외측면
44 : 리브 50 : 제 1 브라켓
54 : 제 1 포션 56 : 돌기
60 : 제 2 포션 80 : 제 2 브라켓
82 : 단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 배터리가 양극과 음극이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배터리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 홀더는 케이스와 브라켓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배터리의 납작한 양면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오프닝이 형성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전자기기에 결합된다. 브라켓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외측면이 전자기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면이 결합되는 전자기기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포션 및; 상기 제 1 포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내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 1 포션의 돌기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포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포션을 상기 오프닝의 반대편에서 지지하기 위한 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배터리의 음극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브라켓을 구비할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포션 및; 상기 제 1 포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내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 1 포션의 돌기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포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배터리의 음극과 3접점으로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배터리 홀더에 의하면, 배터리의 고정이 배터리 홀더에 수납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배터리의 고정을 확실하게 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접하는 접점을 넓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접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나사, 홀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배터리 홀더의 기본적인 구성 및 설치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라인 3-3을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홀더(10)는 케이스(20)와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0)는 배터리(1)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22)을 갖고 PCB(5)와 같은 전자기기에 결합된다. 이 수납공간(22)은, 도 5a 및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터리(1)의 납작한 양면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오프닝(24)이 형성된다. 이 수납공간(22)은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가 일정량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납공간(22)은 상기 오프닝(24)으로부터 상기 배터리(1)가 삽입되는 깊이로 바닥을 갖고, 앞면(40)과 뒷면(30)을 갖는다. 상기 바닥은 내측면(26)과 외측면(2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바닥 외측면(28)이 상기 PCB(5)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 홀더(10)를 상기 PCB(5)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케이스(20)의 바닥 외측면(28)에 핀(46)을 구성하여 상기 PCB(5)에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형태의 리브나 보스 등을 사용하여 상기 PCB(5)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술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의 단자들(68,90)이 상기PCB(5)에 납땜되므로 상기 배터리 홀더(10)는 상기 PCB(5)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수납공간(22)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수납공간(22)의 뒷면(30)과 앞면(32)의 각 양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의 폭과 대응되도록 슬롯(34,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의 단자(68,90)가 상기 케이스(20)의 바닥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홀(40,42)이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브라켓(40)의 단자(68)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40)은 상기 케이스 바닥에 형성된 리브(39)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하였다.
제 1 브라켓(50)과 제 2 브라켓(8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배터리(1)의 양극과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전자기기인 상기 PCB(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50,80)은 상기 배터리(1)의 양극과 음극이 상기 PCB(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인 상기 배터리(1)의 양측과 음극이 수직되는 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 1 브라켓(50)은 메인 포션(52), 제 1 포션(54) 및 제 2 포션(60)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포션(54,60)은 상기 수납공간(22)에 수용된 배터리(1)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 포션(52)에는 상기 배터리(1)의 양극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단자(64)가 중심부분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케이스 바닥에 형성된 홀(40)을 통하여 PCB(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68)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분에 형성된 단자(64)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브라켓(50)이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단자(64)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배터리(1)가 놓이는 방향으로 약간 튀어 나오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와 상기 단자(64)의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절개 리브(6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포션(54)은 상기 수납공간(22)의 오프닝(24)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2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공간(22)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1)가 상기 수납공간(22)의 오프닝(24)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포션(60)은 상기 제 1 포션(54)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22)의 바닥 내측면(26)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1)가 상기 수납공간(22)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1)가 상기 제 1 포션(54)의 돌기(56)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포션(60)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포션(60)에는 상기 제 1 포션(54)의 돌기(56)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부(62)가 형성된다. 제 1 포션(54)과 제 2 포션(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를 고정할뿐만아니라 상기 제 1 포션(54)의 돌기(56)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누름부(58)를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1)를 상기 수납공간(22)으로부터 분리시킬때에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제 1 포션(54)을 지지하는 리브(44)가 형성된다. 이 리브(44)는 상기 오프닝(24)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포션(54)을 상기 오프닝(24)의 반대편에서 지지하여 상기 제 1 브라켓(5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배터리(1)의 분리시 상기 제 1 브라켓(5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브라켓(80)은 상기 제 1 브라켓(50)과 반대되도록 상기 수납공간(22)의 앞면(32)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1)의 음극에 접촉되고 상기 PCB(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제 2 브라켓(80)의 하측에는 상기 PCB(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90)가 형성되고, 중심부분에는 상기 배터리(1)의 음극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단자(8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82)는 상기 수납공간(22)에 수용된 배터리(1)의 음극과 3접점으로 접촉되도록 절개(84)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분에 형성된 단자(82)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브라켓(80)이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단자(82)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배터리(1)가 놓이는 방향으로 약간 튀어 나오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와 상기 단자(82)의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절개 리브(86)가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홀더(10)는 도 9의 종래 배터리 홀더(100)에 비하여 PCB(5)상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이 훨씬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배터리(1)를 배터리 홀더(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먼저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를 상기 제 1 브라켓(50)의 제 1 포션(54)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홀더(10)의 수납공간(22)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제 1 포션(54)은 탄성적으로 약간 뒤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를 계속 밀어 넣으면 상기 제 1 포션(54)이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상기 배터리(1)가 상기 제 1 포션(54)의 돌기(5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1)는 상기 제 2 포션(60)의 탄성부(62)와 상기 제 1 포션(54)의 돌기(56)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고정되므로 외부에서 작용되는 충격등에도 상기 배터리 홀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배터리(1)를 상기 배터리 홀더(10)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브라켓(50)의 제 1 포션(54)에 형성된 누름부(58)를 뒤로 젖히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58)를 뒤로 젖히면 상기 배터리(1)는 상기 제 2 포션(60)의 탄성부(62)에서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수납공간(22)으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홀더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홀더에 의하면,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홀더를 전자기기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이 수직되게 하여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전자기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의 고정이 배터리 홀더에 수납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배터리의 고정을 확실하게 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접하는 접점을 넓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접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납작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납작한 면상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납작한 양면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오프닝이 형성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케이스 및;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외측면이 전자기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면이 결합되는 전자기기는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포션 및;
    상기 제 1 포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내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 1 포션의 돌기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포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포션을 상기 오프닝의 반대편에서 지지하기 위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배터리의 음극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의 오프닝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포션 및;
    상기 제 1 포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내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 1 포션의 돌기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포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배터리의 음극과 3접점으로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KR2020010015051U 2001-05-22 2001-05-22 배터리 홀더 KR200244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51U KR200244210Y1 (ko) 2001-05-22 2001-05-22 배터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51U KR200244210Y1 (ko) 2001-05-22 2001-05-22 배터리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210Y1 true KR200244210Y1 (ko) 2001-10-29

Family

ID=7306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51U KR200244210Y1 (ko) 2001-05-22 2001-05-22 배터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2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299B2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onic devices
US7983064B2 (en) Power adapter
US6623293B1 (en) Battery holder having means for securely retaining battery in position
US7247031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its assembling process
US7371108B2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battery holder
US772700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battery
US20040033717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US8501336B2 (en) Battery box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H07153437A (ja) 最小限の配線を持った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用電池パック
JP2007005078A (ja) ボタン電池ホルダ
JP2002093393A (ja) 弾性接点を備える機器
KR200244210Y1 (ko) 배터리 홀더
JP4773136B2 (ja) 電池ホルダ
US20040145872A1 (en) Battery-locking mechanism
JP3668924B2 (ja) 電池ホルダー
JP2619334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501739B2 (ja) 電池ホルダ
JP3262221B2 (ja) 保持構造
KR1008025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용 피씨비 패키지
KR20080032283A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02005364A1 (en) Receptacle for battery-using equipment
JPH0427194Y2 (ko)
JP3693863B2 (ja) 電子機器
JP4625628B2 (ja) 電池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