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90Y1 -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90Y1
KR200243590Y1 KR2020010012745U KR20010012745U KR200243590Y1 KR 200243590 Y1 KR200243590 Y1 KR 200243590Y1 KR 2020010012745 U KR2020010012745 U KR 2020010012745U KR 20010012745 U KR20010012745 U KR 20010012745U KR 200243590 Y1 KR200243590 Y1 KR 200243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ata
web server
web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갑
홍현기
최종수
Original Assignee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9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웹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거하여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휴대형 게임 시스템은 롬의 특성상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기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형 게임 소프트웨어의 탑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게임기가 고가이고 다양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롬팩을 구입해야 하므로 게임기의 주된 수요 대상인 유소년 층에게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C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은 게임 소프트웨어를 운용하기 위한 하드웨어로 PC와 인터넷 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장소의 제약을 받게 되며, 노트북과 무선 랜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는 있지만 고가의 장비 구입에 따른 부담이 장벽으로 남게 되므로 구입 능력이 있는 사용자로 그 수요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웹 서버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아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고정된 하드웨어 형태의 게임 시스템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수시로 업그레이드하고, 인터넷을 통한 웹 게임과 같이 대화형 게임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Web based interactive mobile game system}
본 고안은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거하여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게임 시스템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휴대형 게임 시스템과, PC 기반의 게임 프로그램 및 인터넷 기반의 웹 게임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전술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휴대형 게임 시스템으로는 일본의 '세가' 회사가 롬팩(ROM Pack)에 게임을 저장하여 TV 모니터로 실행을 시켰던 비디오 게임기를 대표적으로 지목할 수 있는 데, 이 게임기는 반드시 TV 모니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휴대성에 상당한 제약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닌텐도', '반다이', '남코' 등의 회사에서 게임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TV 모니터 대신에 TFT(Thin film Transisor),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내장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롬의 특성상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기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형 게임 소프트웨어의 탑재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게임기가 고가이고 다양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롬팩을 구입해야 하므로 게임기의 주된 수요 대상인 유소년 층에게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반다이'에서 휴대 전화기에 연결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다운/업 할 수 있는 게임기를 개발중에 있는 데, 이 게임기는 반드시 휴대 전화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PC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 게임 시스템은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두어 개발된 게임이기 때문에 게임의 내용과 방향의 수정 보완이 용이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의 구성 및 실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고속 인터넷망의 발달로 상호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게임(Interactive game)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스스로 게임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게임 소프트웨어를 운용하기 위한 하드웨어로 PC와 인터넷 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장소의 제약을 받게 되며, 노트북과 무선 랜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는 있지만 고가의 장비 구입에 따른 부담이 장벽으로 남게 되므로 구입 능력이 있는 사용자로 그 수요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청소년 층 이상의 연령에서 대부분 보유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는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형 게임기의 기능이 일부 포함되어 판매되기도 하는 데,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게임의 경우에는 PC 기반의 게임 소프트웨어를 어느 정도 실행시킬 수는 있지만 장시간 이용하는 게임의 특성상 통신비가 부담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웹 서버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아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고정된 하드웨어 형태의 게임 시스템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수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웹 게임과 같이 대화형 게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키 입력부(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3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키 입력부, 20. 제어부,
30. 메모리부, 40. 표시부,
50. 직렬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 60. 직렬 송수신부,
70. 인터넷 PC, 80. 웹 서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웹 서버와 통신 선로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PC와 게임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상의 데이터 흐름에 맞춰주는 데이터 처리부와; 실행중인 게임의 그래픽 내용, 상기 웹 서버와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게임 실행중에 발생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기 위한 명령,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각종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인가받은 각종 명령에 따라 해당 작업을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에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적외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RF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상기 인터넷 PC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은, 직렬 송수신부(60)와, 직렬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50)와, 메모리부(30)와, 표시부(40)와, 키 입력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직렬 송수신부(60)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웹 서버(80)와 통신 선로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PC(70)와 게임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렬 송수신부(60)가 인터넷 PC(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둘째, 적외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셋째, RF(Radio Frequency)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첫 번째 방법은 RS-232C 케이블로 직렬 송수신부(60)와 인터넷 PC(7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두 번째 방법은 직렬 송수신부(60)와 동일한 적외선 송수신부를 인터넷 PC(70)에 별도로 구비시켜 적외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세 번째 방법은 직렬 송수신부(60)와 동일한 RF 무선 송수신부를 인터넷 PC(70)에 별도로 구비시켜 RF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직렬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50)는 직렬 송수신부(60)의 제작 형태에 따라 제어부(20)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상의 데이터 흐름을 맞춰 준다.
예를 들어, 직렬 송수신부(60)가 인터넷 PC(7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직렬 송수신부(60)와 인터넷 PC(70) 사이의 송수신 신호 레벨이 ±12볼트이기 때문에 제어부(20)의 3볼트 전압으로 맞춰주게 되고, 적외선 및 RF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반송파에 의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함으로 수신된 데이터에서 반송파를 제거하거나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반송파를 싣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40)는 제어부(20)가 처리하는 각종 게임의 그래픽 내용, 웹 서버(80)와의 데이터 전송 상태와 게임 시스템 내에서 진행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 그래픽 상태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RAM(Random Acess Memory)과 달리 주 전원이 제거되어도 각 셀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게임 시스템의 건전지 교환시에도 별도의 백업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게임의 내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웹을 통한 게임 프로그램의 내용 및 데이터가 제어부(20) 자체에 내장된 부트 로더(Boot Loader) 프로그램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다양한 게임 및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20)는 키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동작키의 상태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표시부(40)에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한다.
키 입력부(10)는 가상 캐릭터 모드 및 게임 모드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키 입력부(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키 입력부(10)는 5개의 동작키로 구성되는 데, 각 키에 대한 기능은 각각의 모드에서 가지고 있는 기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인터넷 PC(7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뎀 또는 랜 카드를 장착한 일반적인 PC로써 통신 선로를 통하여 웹 서버(80)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을 인터넷 PC(70)에 연결하여 인터넷 PC(7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웹 서버(80)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다. 그리고, 다운 받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게임을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을 진행시키는 중에 웹 서버(80)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받는 경우에는 업그레이드된 게임 프로그램으로 게임을 진행시키고, 웹 서버(80)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받지 않는 경우에는 맨 처음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으로 게임을 진행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상 캐릭터를 양육하는 프로그램을 기본 값으로 가지고 있는 데, 게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임 시스템 자체의 다운로더 프로그램에 의해 웹 서버(80)로부터 새로운 게임을 다운받아 대치될 수 있다.
게임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3과 같이, 표시부(40)에 제조회사의 배너 광고가 일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되는 데,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는 웹 서버(80)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 받을 때 의뢰한 광고가 될 수 있다.
이후에는 가상 세계의 표준 시간 설정 모드로 전환하여 도 4와 같이, 표시부(40)에 가상 세계의 표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을 표시하면, 키 입력부(10)를 통해 인가받은 설정 값으로 시, 분 및 요일을 설정한 후, 세트키 입력에 따라 시간 설정을 완료한다. 여기서, 시간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게임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부(40)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릭터의 알이 숨쉬고 있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 시간의 부화 기간이 지난 후에 캐릭터를 부화시킨다. 부화 기간 중에 웹 서버(8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장차 태어나게 될 캐릭터의 종류, 성격 등에 따른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는 데, 사용자에게는 다운받은 캐릭터의 모습은 보여주지 않고 단지 알의 건강 상태를 검사한 결과를 웹 서버(80)에서 보여준다.
한편, 부화 기간 중에 웹 서버(80)에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게임 시스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캐릭터(기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캐릭터)로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러나, 웹 서버(8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받지 않으면 캐릭터는 유년기 상태의 모습만을 유지하게 된다.
부화 기간 중에 웹 서버(80)에 접속하지 않고 게임 시스템 자체의 캐릭터를 가지고 게임을 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 소정 시간의 부화 기간이 끝나면 도 6과 같이 기본 값으로 설정된 캐릭터를 탄생시키게 되는 데, 도 6에서 도시한 캐릭터는1단계 발육 상태인 유년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캐릭터는 표시부(40)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여러가지 표정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릭터가 부화되면, 캐릭터를 양육시키게 되는 데, 캐릭터를 양육시키기 위해서 도 7과 같이 표시부(40)의 좌측 상단에 캐릭터 양육에 필요한 캐릭터 양육 메뉴들을 키 입력부(10)를 통해 인가받은 키 입력에 따라 차례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된 양육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받은 메뉴로 들어가 선택받은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캐릭터를 양육시키게 되는 데, 양육 메뉴에서 캐릭터의 건강을 체크하기 위한 건강 체크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체중, 허기 계수, 지능 지수, 체력 지수, 감성 지수 등과 같은 캐릭터의 현재 건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웹 서버(80)에 접속해서 캐릭터의 건강 상태를 검진받는 등 지속적인 웹 서버(80)와의 접속을 유지해야 감성 지수가 상승하는 데, 그렇지 않으면 캐릭터는 갑자기 병이 나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오랜 시간 웹 서버(80)와 접속을 중단하였을 경우에는 게임 시스템 자체에서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웹 서버(80)에 접속하여 병원 메뉴를 이용한다.
한편, 양육 메뉴에서 캐릭터에게 음식을 먹이기 위한 식사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단을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다양한 식단을 웹 서버(80)로부터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된 식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음식을캐릭터가 먹게 되는 데, 음식의 종류에 따라서 캐릭터가 많이 먹게 되면 병이 나게 되므로, 수시로 웹 서버(80)에 접속하여 캐릭터의 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받아 음식을 잘 조절해 줘야 한다.
한편, 양육 메뉴에서 캐릭터를 취침시키거나 기상시키기 위한 취침/기상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침과 기상을 선택받을 수 있는 메뉴를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받은 명령에 따라 캐릭터를 취침시키거나 기상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취침과 기상 중에서 취침을 선택하면, 도 10의 (다)와 같이, 취침중임을 나타내는 그래픽을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이때,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나)와 같이, 취침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아무런 키입력이 없으면 소정 시간 후에 (다)와 같이 취침중임을 나타내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캐릭터가 정상적으로 기상하여 동작하는 중에 기상 메뉴를 선택 명령이 있으면 아무런 반응없이 곧바로 메뉴 선택 전의 모드로 정상 복귀한다.
한편, 웹 서버(80)에 오랫동안 접속하지 않아 캐릭터를 기르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하지 못했을 경우나, 식사를 오랫동안 하지 못했을 경우나, 운동을 게을리 하여 비만해졌을 경우나, 예방 접종을 하지 않아 병에 걸렸을 경우나, 화장실 이용을 오랫동안 하지 못했을 경우 등 캐릭터 양육을 게을리 했을 때, 캐릭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이 나서 울게 되는 데, 이때 사용자는 캐릭터를 치료하기 위해 양육 메뉴에서 병원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육 메뉴에서 캐릭터를 치료하기 위한 병원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캐릭터의 아픈 상태에 따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가지 형태의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데, (가)와 같이 주사기 그림이 표시되면 게임 시스템 자체에서 치료 가능하므로 이를 선택하여 캐릭터를 치료하고, (나)와 같이 구급차가 지나가는 그림이 표시되면 반드시 웹 서버(80)에 접속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아픈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캐릭터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죽게 되고 게임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데, 게임 시스템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어도 모든 기억이 남기 때문에 캐릭터를 자주 병들게 하거나 죽게 하면 게임 메뉴에서 실행할 수 있는 게임 프로그램의 다운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양육 메뉴에서 게임을 실행시키기 위한 게임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웹 서버(80)에서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데, 가상 캐릭터 양육 게임에서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는 모드와 가상 캐릭터 양육 게임 자체를 지우고 새로운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드로 웹 서버(80)에서 분리하여 다운받을 수 있다. 게임 메뉴는 가상 캐릭터 양육 게임에서 실행할 수 있는 게임을 다운 받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다운 받은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 최소 1개부터 최대 3개의 프로그램을 게임 시스템에 기억시킬 수 있다.
한편, 캐릭터는 나이에 따른 표준 체중이 있는 데, 고기와 같은 지방질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표준 체중을 20% 이상 초과하여 비만이 된다. 웹 서버(80)에 정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면 표준 체중의 10% 이상 20% 미만 초과인 과체중 상태를 경고하기 때문에 이 때부터 운동을 정기적으로 시켜줘야 비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과체중 상태가 되면 게임 시스템의 건강 메뉴 중 체력 지수가 떨어지게되므로, 관리 소홀로 인하여 비만이 되면 캐릭터가 정상적인 움직임을 멈추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곤한 표정을 짖는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캐릭터를 운동시키기 위해 양육 메뉴에서 운동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육 메뉴에서 캐릭터를 운동시키기 위한 운동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선택받은 운동 명령에 따라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릭터를 운동시킴으로서, 정상적인 움직임으로 돌아오도록 한다. 그러나, 한번에 너무 많이 운동을 시키면 캐릭터가 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정기적인 운동을 통하여 체력 지수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한편, 캐릭터는 식사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변을 하고 계면쩍은 표정을 짓게 되는 데, 이때 사용자는 배변을 치우기 위해 양육 메뉴에서 화장실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육 메뉴에서 배변을 치우기 위한 화장실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선택받은 화장실 명령에 따라 캐릭터의 배변을 치우게 되면, 캐릭터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쁜 표정을 짓게 되는 데, 이때 하루 이상 배변을 치우지 않으면 병이 나게 되고, 병이 오래 지속되면 캐릭터가 죽게 된다.
한편, 양육 메뉴에서 학습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웹 서버(80)로부터 다운받은 학습 자료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웹 서버(80)에 접속하여 학습 코너에 들어가면 웹 서버(8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다운받게 되는 데, 각 분야는 단계별로 심화 학습을 할 수 있게 하고, 다음 단계로의 진입은 이전 단계에서 배운 것을 간단하게 테스트함으로써 가능하다.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계속해서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되는 데, 자주 학습 관련 자료를 다운받게 되면 건강 메뉴 중 기능 지수가 상승하게 된다. 다운받는 학습의 내용은 주로 어학이나 수학 및 과학 상식에 해당하는 간단한 내용이 될 수 있다.
한편, 양육 메뉴에서 통신/접속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을 시도한다. 접속 시도 결과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접속이 안되면 이전 동작 상태로 복귀하고, 접속 시도 결과 일정 시간 내에 다른 게임 시스템과 접속되면, 접속된 게임 시스템끼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 데, 다른 게임 시스템과 접속을 시도하여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다른 게임 시스템이 같은 게임을 다운 받아야 한다.
본 고안의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고안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웹 서버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아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고정된 하드웨어 형태의 게임 시스템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수시로 업그레이드하고, 인터넷을 통한 웹 게임과 같이 대화형 게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다양한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웹 서버와 통신 선로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PC와 게임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상의 데이터 흐름에 맞춰주는 데이터 처리부와;
    실행중인 게임의 그래픽 내용, 상기 웹 서버와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게임 실행중에 발생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기 위한 명령,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각종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인가받은 각종 명령에 따라 해당 작업을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에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적외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RF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상기 인터넷 PC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KR2020010012745U 2001-05-02 2001-05-02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KR200243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45U KR200243590Y1 (ko) 2001-05-02 2001-05-02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45U KR200243590Y1 (ko) 2001-05-02 2001-05-02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033A Division KR20020080010A (ko) 2001-04-10 2001-04-10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90Y1 true KR200243590Y1 (ko) 2001-10-12

Family

ID=7306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745U KR200243590Y1 (ko) 2001-05-02 2001-05-02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800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디.아이.씨 휴대용 게임기의 게임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800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디.아이.씨 휴대용 게임기의 게임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Shah et al. Managing diabetes in the digital age
US109712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healthcare through social robotics
US20140331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enrichment of an animal
CN107633875A (zh) 一种智能饮食推荐系统及方法
US20130138450A1 (en) Digital health car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and monitoring patient health care for chronic diseases through 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asks
US20050220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ringup simulation in a mobile terminal
JP6982687B2 (ja) プリセットユーザプロファイルを用いた自動レーシングフットウェアシステム
JPH08506192A (ja) モジュラーマイクロプロセッサベース健康監視システム
CN107977856A (zh) 用户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服务器
US20190289822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JP2013509205A (ja) 健康の改善のために生理学的監視及び電子媒体を利用するシステム
US20160236096A1 (en) Wellness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 User
JPH10235019A (ja) 携帯型ライフゲーム装置及びそのデータ管理装置
KR102400714B1 (ko) 반려동물 토탈 케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243590Y1 (ko)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KR20020080010A (ko) 웹 기반의 휴대형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6913810B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202101980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1788249B1 (ko) 체지방 또는 혈당 관리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 서버 및 시스템, 그리고 이것들을 이용한 체지방 또는 혈당 관리 방법
CN108364673A (zh) 方案的执行监督方法及系统
Ferwerda et al. Tamagotchi++: A Serious, Personalized Game to Encourage Healthy Behavior
JP201015247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健康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369212A (zh) 信息管理装置、移动终端、信息管理方法及存储介质
AU2015415727B2 (en) Wearable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