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116Y1 - 관접속구 - Google Patents

관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16Y1
KR200243116Y1 KR2019980021004U KR19980021004U KR200243116Y1 KR 200243116 Y1 KR200243116 Y1 KR 200243116Y1 KR 2019980021004 U KR2019980021004 U KR 2019980021004U KR 19980021004 U KR19980021004 U KR 19980021004U KR 200243116 Y1 KR200243116 Y1 KR 200243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groove
port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103U (ko
Inventor
민신웅
Original Assignee
민신웅
주식회사 아세아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신웅, 주식회사 아세아조인트 filed Critical 민신웅
Priority to KR2019980021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16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철제 접속구의 걸림턱에 맞춰 넓은 폭으로 형성된 관의 접속홈에 후강판제 접속구로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접속상태가 시종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후강판제 관 접속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에 체결부(5)가 반원형 본체와는 일체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2)의 내측단은 걸림턱(3)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을 접속홈의 폭(b)에 끼어들어갈 수 있도로 부분적으로 타발하여 돌기(4)를 형성하고, 목 부분(6)에는 외향 돌출형 리브(7)를 형성한 관 접속구이다.

Description

관 접속구
본 고안은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데 쓰이는 관 접속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두꺼운 주철제 관 접속구에 맞춰 관의 접속단에 부여한 접속홈에 그 홈보다도 작은 두께의 후강판제 접속구로 연결하더라도 접속홈과 접속구와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관의 접속상태를 돈독히 할 수 있고, 본체의 양단에서 체결부로 이어지는 목 부분의 강도를 높여 관의 접속상태를 시종 온전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강판제 관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강관 혹은 합성수지관 중에는 접속단에 접속구의 걸림턱이 들어 가서 걸리게 하는 접속홈을 형성한 것이 있다. 이같이 접속홈을 가진 관을 접속하는 접속구는 한결같이 주철제이다. 주철제 관 접속구는 본체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걸림턱의 두께가 후강판으로 제조가능한 관 접속구의 걸림턱보다는 대략 배 가량 두껍다. 그래서 후강판제 관 접속구로 주철제 접속구로 접속하도록 제조된 관을 접속하면 그 걸림턱의 두께와 접속홈의 폭 사이에는 상당한 접속공차가 남게 된다. 이 접속공차는 관접속 후 관이 축방향으로 신축될 때, 특히 관이 늘어날 때에 관의 접속상태가 느슨해져서 틈이 생겨 누수, 누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주철제 접속구로 연결하도록 제작된 관을 후강판제 접속구로 안전하게 접속하려면 본래 주어진 두께의 걸림턱을 그 자체에서 어떤 형태로든 부족한 칫수를 보완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에 부응할만한 후강판제 접속구는 아쉽게도 아직껏 출현된 적이 없다.
한편, 후강판제 접속구에서 관을 접속한 후에 발생빈도가 높은 것 중의 하나는 관을 조여주는 접속구의 힘이 경시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점이다. 이는 관의 접속단으로 새어나오는 관의 내부압력, 토압, 외력 등에 의하여 본체에서 체결부로 이어지는 목 부분이 펴져 관을 조인 상태가 느슨해 지므로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고안은 주철제 접속구의 걸림턱에 맞춰 넓은 폭으로 형성된 관의 접속홈에 후강판제 접속구로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접속상태가 시종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후강판제 관 접속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강판제 관 접속구의 양측벽에 형성된 각 위치의 걸림턱의 전체 폭이 관 접속단의 접속홈의 폭에 버금가는 칫수로 부분적으로 외향 타발하여 접속홈과의 공차를 최소화하고 목 부분에 리브를 형성하여 휨응력을 강화한 관 접속구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 접속구의 평면도
도 2는 부분 절개 정면도
도 3은 접속홈이 주어진 접속단끼리 접속구로 연결한 경우의 부분단면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구 2 : 측벽
3 : 걸림턱 4 : 돌기
6 : 목 부분 7 : 리브
도 1 및 도 2에서, 후강판제 반원형 접속구(1)의 양 측벽(2)의 내측단 부분이 관의 접속단에 형성된 접속홈에 거는 걸림턱(3)에 있어서 이를 외측을 보고 부분적으로 타발하여 돌기(4)을 형성 한다.
이들 돌기(4)는 측벽(2)의 내면에서 돌기(4)의 외면까지의 칫수가 관의 접속홈보다는 약간 작은 정도의 칫수로서, 일률적으로 타발하고 원주길이는 특별히 제한할 까닭은 없다.
그리고 접속구(1)에서 체결부(5)로 이어지는 목 부분(6)에는 외부 돌출형 리브(7)를 형성한다. 이 리브(7)는 접속구(1) 본체에서 체결부(5)에 이르는 체결부 전반에 걸쳐 타발하여 형성한 것이다. 다만 리브(7)의 높이는 체결부(5)의 외면, 즉 상면에 체결되는 보울트의 머리 또는 너트에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도 3에서, 접속단에 접속홈(b)이 형성된 관(a,a')을 동축선상에서 마주보도록 배열하고 각 관(a,a')의 접속단에 각 걸림턱(3)이 당해 위치의 접속홈(b)에 기어 들도록 접속구(1)를 씌우면 기왕부터 존재하던 걸림턱(3)의 내면은 접속홈(b)의 접속단쪽에 닿아 걸리고 돌기(4)의 외면은 접속단과는 반대쪽인 접속홈(b)의 외측에 닿거나 거의 닿을 정도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구(1)로 관을 접속하면 접속구(1)가 접속홈(b)의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 그래서 주철제 접속구용으로 주어진 접속홈(b) 일지라도 주철제 접속구의 걸림턱보다도 얇을 수 밖에 없는 후강판제 접속구이더라도 주철제 접속구처럼 확실하게 관을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리브(7)로 보강된 목 부분(6)은 휨에 대한 응력이 커져서 체결부(5)가 펴진다든가 굽혀지는 것이 방지되어 관 접속상태가 시종 일관되게 온전한 형태로 유지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후강판제 관 접속구는 주철제 접속구의 두꺼운 걸림턱의 칫수에 맞춰 넓은 폭으로 형성된 관의 접속홈에 후강판제 접속구로 도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체결부에 주어진 리브는 목 부분의 강도를 높여주므로 관 접속상태를 시종 안정되게 유지시키는데 일조한다.

Claims (1)

  1. 양단에 체결부(5)가 반원형 본체와는 일체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2)의 내측단은 걸림턱(3)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을 접속홈의 폭(b)에 끼어들어갈수있도록 부분적으로 타발하여 돌기(4)를 형성하고, 목 부분(6)에는 외향 돌출형 리브(7)를 형성한 관 접속구.
KR2019980021004U 1998-10-31 1998-10-31 관접속구 KR200243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04U KR200243116Y1 (ko) 1998-10-31 1998-10-31 관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04U KR200243116Y1 (ko) 1998-10-31 1998-10-31 관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03U KR20000009103U (ko) 2000-05-25
KR200243116Y1 true KR200243116Y1 (ko) 2001-12-01

Family

ID=695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004U KR200243116Y1 (ko) 1998-10-31 1998-10-31 관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03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1263C (en) Pipe coupler
US3078108A (en) Split coupling
KR970009017B1 (ko) 환상 고정턱을 갖는 가스킷트
JP3646185B2 (ja) 管継手装置
KR900013238A (ko) 세경 배관 접속용 커넥터
WO2012128152A1 (ja) 管継手
WO2006114780A1 (en) A clamp
JP2007333108A (ja) 配管継手および配管継手装置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KR200243116Y1 (ko) 관접속구
CN111188955B (zh) 一种可实现快速连接的管卡及管卡组件
JP4747048B2 (ja) 継手
JP5490506B2 (ja) 管体接続金具
US20170299095A1 (en) Pipe joint
KR100772001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KR101035553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KR200216633Y1 (ko) 돌기형 슬라이딩 익스펜션 조인트
JP2015166601A (ja) 変換継手
JP3439613B2 (ja) 離脱防止型管継手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200179436Y1 (ko) 주철관 이탈방지용 압륜
JP4178307B2 (ja) ステンレス鋼管端部の電蝕防止構造、及び、ステンレス鋼管端部の電蝕防止用絶縁スリーブ
KR200212172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JP2009019652A (ja) 管継手
JP3071352U (ja) 電線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