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105Y1 -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05Y1
KR200243105Y1 KR2020010016183U KR20010016183U KR200243105Y1 KR 200243105 Y1 KR200243105 Y1 KR 200243105Y1 KR 2020010016183 U KR2020010016183 U KR 2020010016183U KR 20010016183 U KR20010016183 U KR 20010016183U KR 200243105 Y1 KR200243105 Y1 KR 200243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oll
traffic
pedestrian crossing
coupl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Priority to KR2020010016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05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교통경찰의 캐릭터 인형(20)과, 상기 캐릭터 인형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30)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캐릭터 인형(20)은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일측 팔(21)을 가지며, 상기 일측 팔의 손에는 안내표지가 달린 안내로드(54)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부(12)는 상기 캐릭터 인형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재의 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재의 통에는 캐릭터 인형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안내로드(54)가 걸리지 않도록 소정 길이의 슬롯홈(12a)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의력이 결여된 어린이들에게는 횡단보도의 통행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통행인에게 친밀감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apparatus for guiding traffic for a pedestrian crossing}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횡단보도에서 차량의 신호위반이나 보행자, 특히 어린이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고예방을 하기 위해 학생들이 등교하거나 집으로 돌아갈 때, 학교 앞 횡단보도에 학부모나 학생들이 휴대용 깃발로서, 학생들의 통행을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안내원이 휴내용 깃발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통행을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데는 문제가 있고, 안내원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가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 일 경우,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 시설만으로는 장애인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횡단보도의 신호를 자동으로 안내하는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1-1836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공개번호 제2001-1836호는 측벽에 수평방향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신호대와, 신호등을 제어하면서 선택적으로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어패널과, 상기 신호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패널의 전기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감속회전하는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의 좌우로 슬라이드운동하여 길을 안내하는 프로텍트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패널이 스피커와 구동모터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신호등의 적색등이나 녹색등이 켜질 때마다 자동으로 음성메세지와 프로텍트 로드를 작동시켜 통행인에게 안내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실용공개번호 제2001-1836호는 프로텍트 로드가 파이프 형태의 신호대에 결합되어 무인으로 작동되므로, 주의력이 결여된 어린이들에게는 횡단보도의 통행을 효과적으로 안내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들에게 횡단보도의 통행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통행인에게 친밀감을 갖게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깃대부의 상세도,
도4는 도2의 구동부의 상세도,
도5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6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
도9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중간부
12a : 슬롯홈 20 : 캐릭터 인형
21 : 팔 30 : 구동수단
52 : 안내표지 54 : 안내로드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는, 통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교통경찰의 캐릭터 인형과, 상기 캐릭터 인형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은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캐릭터 인형은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일측 팔을 가지며, 상기 일측 팔의 손에는 안내표지가 달린 안내로드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부는 상기 캐릭터 인형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재의 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재의 통에는 캐릭터 인형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안내로드가 걸리지 않도록 소정 길이의 슬롯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야간 등 필요시에 상기 캐릭터 인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릭터 인형의 조명은 캐릭터의 외측에 광원을 설치하거나 캐릭터의 내측에 광원을 설치하여 조명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회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와, 일측은 상기 캐릭터 인형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내표지는 그 표식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반사시트나 LED 등으로 발광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이고, 도2는 도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태의 몸체(10)의 내부에는 교통경찰의 캐릭터 인형(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릭터 인형의 하측에는 이 캐릭터 인형을 회동구동하는 구동수단(3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30)은 도5에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몸체(10)는, 상부(11)와 중간부(12)와 하부(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각형의 통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중간부(12)는, 상기 캐릭터 인형(20)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보이도록 투명재질(예를들면, 투명 아크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12)의 원주면에는 상기 캐릭터 인형의 회동에 따라 후술하는 안내로드가 걸리지 않으면서 회동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슬롯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11) 및 하부(13)는 광고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13)는 상기 구동부를 보이지 않게 가리는 역활을 한다. 상기 하부(13)의 하단은 기초볼트 및 너트로 된 체결부재(42)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44)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13)의 상단은 체결부재(46)에 의해 중간부(1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13)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수단(30)의 후술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캐릭터 인형(20)이 회전자유롭게 안착하여 걸리는 안착대(4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48)은 중앙부가 절곡되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캐릭터 인형(20)의 발이 끼워지는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릭터 인형(20)은 포돌이 인형으로 되어 있고, 그 일측 팔(21)은 수평으로 옆으로 펼쳐지고, 상기 일측 팔(21)의 손에는 안내표지(52)를 가진 안내로드(54)가 상기 슬롯홈(12a)을 통하여 외부로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캐릭터 인형의 발(22)의 저면에는 상기 구멍(48a)에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지는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릭터 인형(20)에는 야간 등 필요시에 상기 캐릭터 인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발광체, 형광등 또는 전구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릭터 인형의 조명은 캐릭터의 외측에 광원을 설치하거나 캐릭터의 내측에 광원을 설치하여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안내표지(52)는 판으로 되어 있으며, 그 표식(정지, STOP)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반사시트나 LED 등으로 발광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로드(54)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인형의 손목에 고정되는 고정로드(55)와 상기 안내표지(52)가 결합된 표지로드(56)가 스프링(5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릭터 인형의 손목에는 너트부(58)가형성되고, 상기 너트부(58)에는 상기 고정로드(55)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로드(55)의 타단부 및 상기 표지로드(56)의 일단부에는 상기 스프링(57)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단이 진 돌출부(55a)(56a)가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32)와, 일측은 상기 캐릭터 인형의 발의 돌출부(22a)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의 종동축(32a)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감속기(32)는 케이스의 내부에 워엄 및 워엄기어가 내장된 구조이고, 상기 감속기의 종동축(32a)의 외주면에는 돌기(32b)가 형성되고, 이 돌기(32b)는 감속기의 케이스에 서로 90도 방향으로 부착된 근접 센서(61)(62)에 의해 감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근접센서 대신에 리미트 스위치나 광센서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32a)은 그 내부에 축방향으로 각형의 홈(32c)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각형의 홈(32c)에는 상기 연결부재(33)가 끼워져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캐릭터 인형(20)의 발의 돌출부(22a)에 밀착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33a)와, 상기 플랜지(33a)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형의 홈(32c)에 끼워지는 각형단부(33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에는 시각장애인을 안내함과 동시에 신호등의 고장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72 : 도5에 도시) 및 부저(74 : 도5에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72) 및 부저(74)는 도6에 도시한 신호등의 포스트(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포스트(1)에서 횡단보도의 폭방향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으로 바뀌어 안내로드(54)에 의해 통행인을 가로막을 때에 캐릭터 인형의 정면은 통행인 측, 즉 인도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으로 될 경우에 통행인이 캐릭터 인형을 바라보게 하여 안내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제어수단을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수단은 제어판넬로서 캐릭터 인형의 내부나,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내부에 결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AC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2)와, 신호등(3)의 적색 또는 녹색신호를 감지하는 신호등 신호감지부(84)와, 신호등의 신호를 음향으로 알리도록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등 음향신호발생부(86)와, 신호등의 고장을 음향으로 알리도록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등 고장 음향신호발생부(88)와, 신호등의 고장을 감지하는 신호등 고장 감지부(90)와, 야간에 캐릭터 인형의 조명등을 구동하는 야간조명 구동부(92)와, 캐릭터 인형을 회동시키도록 모터(3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94)와, 부저를 구동하는 부저 구동부(96)와, 교통안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8)에는 인터페이스(97)를 통해 원격관리제어부(99)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원격관리제어부(99)는 유, 무선통신을 제어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에서,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3)이 녹색에서 적색으로 바뀌면, 신호등 신호감지부(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8)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98)는 신호등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 발생부(86)를 통해 신호등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향(예를 들면, '적색등이 켜졌습니다. 건너가시면 안됩니다.')을 출력한다. 한편, 신호등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부(98)는 모터구동부(94)를 통하여 모터(31)을 구동함에 의해 캐릭터 인형(20)을 회전시켜, 안내로드(54)가 보행자를 가로막게 된다.
상기 캐릭터 인형(20)의 회전각도는 감속기의 케이스에 부착된 근접센서(61)(62)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98)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블록도에서는 근접센서가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이 적색에서 녹색으로 바뀌면, 신호등 신호감지부(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8)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98)는 신호등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 발생부(86)를 통해 신호등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향(예를 들면, '녹색등이 켜졌습니다. 건너가셔도 됩니다.')을 출력한다. 한편, 신호등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부(98)는 모터구동부(94)를 통하여 모터(31)을 구동함에 의해 캐릭터 인형(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안내로드(54)가 차량을 막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릭터 인형(20)은 몸체(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비, 먼지등으로부터 보호되며, 투명한 재질의 중간부를 통해 외부에서 환히 보이므로, 어린이들의 주의를 끌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에 설정된 시각 등에 의해 야간이 되면, 야간 조명구동부(92)를 통해 캐릭터 인형(20)의 조명수단(발광체, 형광등 또는 전구등)을 켜서 조명함에 의해 캐릭터 인형을 보행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호등(3)이 고장나면, 신호등 고장 감지부(9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8)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98)는 신호등 고장신호에 따라 고장음 음향신호 발생부(88)를 통해 신호등 고장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향(예를 들면, '신호등이 고장났습니다. 주의하여 건너가세요.')을 출력한다. 또한, 신호등의 고장신호를 부저구동부(96)를 통해 부저(74)로 출력함에 의해 보행자에게 그 신호등의 고장을 알린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릭터 인형(120)이 포도대장으로 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는 외국인 방문이 많은 지역, 공항, 관광지, 유적지, 명승지, 외국인 상가 밀집지역등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로서, 몸체(210)의 상부(211)와 하부(213)의 외면을 축구공의 외면형상으로 둥글게 한 구성이다.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는 축구 경기장, 특히 월드컵경기장부근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도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의 외관도로서, 캐릭터 인형(120)이 포도대장으로 되어 있고, 몸체(210)의 상부(211)와 하부(213)의 외면을 축구공의 외면형상으로 둥글게 한 구성이다.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횡단보도 교통안내장치는, LED 전광시간 표시장치, 시각장애인을 위한 양방향 무선송수신장치, 자동감지에 의한 위치안내장치, 신호위반차량감시장치, 횡단보도 교통안내장치의 자기진단 및 원격감시 기능 무선송수신장치 등 다양한 장치와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에 의하면, 주의력이 결여된 어린이들에게는 횡단보도의 통행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통행인에게 친밀감을 갖게 한다.

Claims (3)

  1. 통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교통경찰의 캐릭터 인형과, 상기 캐릭터 인형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은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캐릭터 인형은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일측 팔을 가지며,
    상기 일측 팔의 손에는 안내표지를 가진 안내로드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부는 상기 캐릭터 인형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재의 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재의 통에는 캐릭터 인형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안내로드가 걸리지 않도록 소정 길이의 슬롯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야간 등 필요시에 상기 캐릭터 인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회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와,
    일측은 상기 캐릭터 인형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KR2020010016183U 2001-05-31 2001-05-31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KR200243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83U KR200243105Y1 (ko) 2001-05-31 2001-05-31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83U KR200243105Y1 (ko) 2001-05-31 2001-05-31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105Y1 true KR200243105Y1 (ko) 2001-10-29

Family

ID=7308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183U KR200243105Y1 (ko) 2001-05-31 2001-05-31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78B1 (ko) * 2014-05-08 2015-02-11 주식회사 가보테크 도로 표지 및 교통 안전표지의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655730B1 (ko) 2016-03-04 2016-09-08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101940956B1 (ko) 2018-07-14 2019-01-21 신대건 반응형 교통 경찰 마네킹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78B1 (ko) * 2014-05-08 2015-02-11 주식회사 가보테크 도로 표지 및 교통 안전표지의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655730B1 (ko) 2016-03-04 2016-09-08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101940956B1 (ko) 2018-07-14 2019-01-21 신대건 반응형 교통 경찰 마네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6576A (en) Remote control portable traffic control device and system
US20220148466A1 (en) Signaling device and system for increasing visibility of a mobile robot
US6422714B1 (en) Illuminated, solar powered, vehicle activated, traffic sign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2006233503A (ja) 歩行者誘導方法及び路面標示装置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0243105Y1 (ko)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KR200461469Y1 (ko) 홍보용 표시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주
KR101073692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장치
KR101797716B1 (ko)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KR200390560Y1 (ko) 엘이디 광고판이 내장된 펜스
KR102150539B1 (ko) 스마트 횡단보도 표지판
KR101395318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KR200239168Y1 (ko) 횡단보도상의 보행자 사고방지장치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KR101717198B1 (ko) 회전식 보행자 신호등
KR200378861Y1 (ko) 횡단보도상의 보행자 사고방지장치
KR100720061B1 (ko) 경고등
KR20070061389A (ko) 진동교통신호기
KR200242249Y1 (ko) 광고수단을 가진 신호기
KR102472223B1 (ko)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JPS60239894A (ja) 案内顕示装置
KR102106391B1 (ko) 도로 교통 신호 통제 시스템
KR20160130734A (ko) 도로 표지판을 이용한 운전자 졸음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