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18B1 -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318B1
KR101395318B1 KR1020120133675A KR20120133675A KR101395318B1 KR 101395318 B1 KR101395318 B1 KR 101395318B1 KR 1020120133675 A KR1020120133675 A KR 1020120133675A KR 20120133675 A KR20120133675 A KR 20120133675A KR 101395318 B1 KR101395318 B1 KR 10139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lifting
ground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주)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츠 filed Critical (주)레츠
Priority to KR102012013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1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 F21V11/1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movable, e.g. flaps, slides
    • F21V11/183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movable, e.g. flaps, slides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야간에만 지상으로 돌출되어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는 개방된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켜 상기 조명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키고 주간에는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위치시키는 승강구동부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emotional scenery lighting apparatus of moving up and down}
본 발명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야간에만 지상으로 돌출되어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또는 실내에서 광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조명등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시켜 광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사한다. 조명은 이제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도구에서 머무르지 않고 도시의 야경을 새롭게 탄생시키고 각 조형물의 특성에 맞게 이미지를 재창조하기도 한다.
경관 조명은 구조물 등에 설치되어 조명될 대상물인 피사체 또는 피조사체의 특정 위치에 빛을 조명함으로써,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하거나 시선을 집중시켜 조명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관 조명에 의해 각종 광고물이나 조형물, 구조물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전혀 새로운 이미지의 창출이 가능한 것이며, 주야간에도 시인성 및 주목도를 향상시켜 보다 뛰어난 광고효과를 갖게 한다. 특히 경관 조명은 고층빌딩이나 다리, 공원 등에 설치되어 특정한 부분을 비추거나 그림이나 특정 모양을 만들어 내게 할 수 있다.
경관 조명을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006345호에 LED 경관조명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경관 조명등은 지면으로부터 2 ~ 3m의 길이를 가지도록 입설되며 부착방지 조성물이 도포 및 경화되어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사각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면에 장착되어 광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메시지 출력 모듈과, 상기 메시지 출력 모듈의 지지체에 결합되는 상부 기둥, 상부 기둥에 결합되는 LED 조명 모듈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경관 조명등은 지면 위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주간에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하여 야간에만 지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주간에 경관을 해치지 않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는 개방된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야간에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켜 상기 조명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키고 주간에는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위치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하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로드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로드가 드나들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구조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조명부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와, 상기 이동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부의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의 승강시 주위 환기를 위한 경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과 연결된 배수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카트리지와, 상기 승강카트리지 상부에 설치되어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와, 상기 승강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부로 빛을 발산하는 LED광원이 마련된 조명유닛과, 상기 투광부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구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구현부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다수의 투영체들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투영체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명유닛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이미지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이 나오는 조명부를 지중에 매설하고 승강구동부에 의해 야간에만 지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간에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보행로나 그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경관 조명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경관 조명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경관 조명장치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조명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는 크게 하우징(10)과, 조명부(30)와, 승강구동부와, 도어(2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지중에 매설된다.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설된다. 하우징(10)의 상단에는 하우징(10)의 외경보더 더 큰 외경을 갖는 지지턱(15)이 마련된다. 지지턱(15)은 지상으로 노출된다.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도어(20)가 결합된다. 도어(20)는 하우징(10)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도어(20)는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 가령, 하우징(1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15)에 결합홈(17)이 형성되고, 도어(20)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힌지결합부(21)가 마련된다. 힌지결합부(21)에는 고정핀(25)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지지턱(15)의 측면에는 결합홈(17)을 통과하는 삽입홀(19)이 마련된다. 삽입홀(25)은 지지턱(15)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0)의 힌지결합부(21)가 결합홈(17)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25)을 삽입홀(19) 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핀(25)을 힌지결합부(21)와 결합시킨다. 고정핀(25)의 단부에는 너트(27)가 체결된다.
상술한 도어(20)는 고정핀(2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후술할 조명부(30)가 상승하여 하우징(10) 내부로부터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어(20)가 열리고, 조명부(30)가 하강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실링부재가 하우징(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도어(20)를 하우징(10)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밀착수단으로 토션 스프링, 자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의 경우 고정핀(25)에 설치되어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도어(2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석은 도어(20)와 하우징(10)의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하우징(10)과 도어(20)를 밀착시킨다. 자석은 도어(20)나 하우징(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자석이 도어(20)에 설치된 경우 자석의 무게가 도어(20)에 회전모멘트를 제공함으로써 도어(20)가 신속하게 닫힐 수 있다.
지상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조명부(30)는 승강카트리지(31)와, 승강카트리지(31) 상부에 설치되어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33)와, 승강카트리지(31) 내부에 설치되며 투광부(33)로 빛을 발산하는 LED광원이 마련된 조명유닛(40)과, 투광부(3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구현부를 구비한다.
승강카트리지(31)는 내부가 빈 중공 구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승강카트리지(31)의 내부에는 격벽(35)이 설치되어 내부를 2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 승강카트리지(31)는 외경이 하우징(31)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3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승강카트리지(31)의 상면에는 투광부(33)가 설치된다. 투광부(33)는 광학부재로 이루어진다. 광학부재는 빛을 확산 또는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광부(33)는 승강카트리지(31) 상면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가이드통(34)에 지지된다.
조명유닛(40)은 승강카트리지(30)의 상부공간부에 설치된다. 조명유닛(40)은 격벽에 설치된 경통(41)과, 경통(41)의 내부에 설치된 LED광원(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경통(41)은 가이드통(34)과 일직선으로 위치한다. 경통(41) 내부의 LED광원에서 발생된 빛은 투광부(33)를 통해 지상으로 발산된다.
이미지구현부는 투광부(3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현되는 이미지는 각종 그림, 로고, 도형, 기호, 문자 등일 수 있다.
이미지구현부는 회전판(50)과, 회전판(51)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다수의 투영체들(51)과, 회전판(50)을 회전시켜 투영체들(51) 중 어느 하나를 조명유닛(40)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이미지선택부를 구비한다.
회전판(50)은 회전축(5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회전판(51)에는 이미지가 형성된 다수의 투영체들(51)이 설치된다. 각 투영체(51)는 투명필름에 이미지가 인쇄된 구조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투영체(51)는 4개가 마련된다. 이러한 투영체들(51)은 어느 하나가 이미지선택부에 의해 빛이 발산되는 조명유닛(40)의 전면에 위치한다.
이미지선택부는 격벽(35)에 설치된 모터(55)와, 모터(55)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6)와, 회전판(50)에 결합된 회전축(53)과, 회전축(53)에 설치되며 구동기어(56)와 치합하는 종동기어(57)로 이루어진다. 회전축(53)은 하단이 격벽(3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단은 승강카트리지(3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미지선택부의 모터(55)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는 야간에 조명부(30)를 상승시켜 조명부(30)를 지상으로 돌출시키고 주간에는 조명부(30)를 하강시켜 하우징(10) 내부로 위치시킨다.
승강구동부는 로드(60)와, 실린더(61)와, 리드스크류(63)와, 모터(65)를 구비한다.
로드(60)는 하단이 하우징(10)의 바닥에 고정된다. 로드(60)는 하우징(1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로드(60)의 상부는 실린더(61)의 하부에 삽입된다. 로드(60)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로드(60)의 상면 중앙에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나사홀에 리드스크류(63)가 나사결합한다.
실린더(61)는 승강카트리지(31)의 하부에 형성된다. 실린더(61)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로드(60)가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린더(61)의 내경은 로드(6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실린더(61)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로드(60)가 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리드스크류(63)는 실린더(61) 내부에 설치된다. 리드스크류(6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리드스크류(63)는 로드(60)의 나사홀에 결합된다. 리드스크류(63)의 하단에는 스토퍼(64)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63)는 승강카트리지(31)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65)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모터(65)는 승강카트리지(31)의 하부공간부에 설치된다.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65)는 전원이 인가되면 리드스크류(6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실린더(6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도 4와 같이 조명부(30)가 승강된 상태에서 모터(65)가 리드스크류(63)를 정회전시키면 로드(60)와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63)는 회전하면서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명부(30)가 하강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조명부(30)가 하강된 상태에서 모터(65)가 리드스크류(63)를 역회전시키면 로드(60)와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63)는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명부(30)가 상승한다.
제어부는 승강구동부의 모터(65), 이미지선택부의 모터(55), LED광원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제어부는 승강카트리지(3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승강구동부의 모터(65) 구동을 제어하여 조명부(30)를 승강시킨다. 가령, 야간에는 조명부(30)를 상승시켜 LED광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빛을 지상으로 조사하고, 주간에는 조명부(30)를 하강시켜 하우징(10) 내부에 수용시킨다.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또는 설정된 조건에 의해 조명부(30)를 승강시키고 LED광원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가령, 일몰 시간 및 일출 시간에 맞춰 조명부(30)를 승강시키거나, 조도센서를 설치하고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조명부(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부(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미도시)를 설치하여 조명부의 이동을 제어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감지부로 각종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30)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조명부(30)의 위치가 감지되고, 이 결과 값에 따라 제어부는 조명부(30)의 이동을 감지한다. 이동감지부에 의해 제어부는 조명부(3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30)의 승강시 주위 환기를 위한 경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고부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는 도어(20)나 조명부(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주위 환기를 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경고용 인디케이터를 설치할 수 있다. 경고용 인디케이터로 승강카트리지(31)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경고용 LED(70)가 적용된다. 조명부의 승강시 제어부는 경고용 LED(70)에 전원을 인가하여 경고용 LED(70)를 발광시킴으로써 주변에 있는 보행자들에게 경고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수단이 마련된다. 수분제거수단으로 하우징(10)의 바닥과 연결된 배수라인(80)과, 배수라인(80)에 설치된 체크밸브(85)를 구비한다.
체크밸브(85)는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하우징(10) 내부에 고인 수분은 배수라인(80)을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 수분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자갈(91)과 모래(93)를 이용하여 투수층(9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카트리지(31)의 외측에 기밀링(95)이 설치될 수 있다. 링 형태의 기밀링(95)은 승강카트리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기밀링(95)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기밀링(95)은 야간에 비가 오는 경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카트리지(31)의 상승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기밀링(95)이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카트리지(31)가 하강하게 되면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압력을 높이므로 하우징(10)의 바닥에 고인 수분을 배수라인(8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결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하우징을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벽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기층을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온도변화를 감소시켜 결로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도어
30: 조명부 31: 승강카트리지
33: 투광부 40: 조명유닛
50: 회전판 51: 투영체
60: 로드 61: 실린더
63: 리드스크류 65: 모터

Claims (7)

  1. 개방된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야간에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켜 상기 조명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키고 주간에는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위치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카트리지와, 상기 승강카트리지 상부에 설치되어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와, 상기 승강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부로 빛을 발산하는 LED광원이 마련된 조명유닛과, 상기 투광부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구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하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로드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로드가 드나들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구조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조명부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와, 상기 이동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부의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승강시 주위 환기를 위한 경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과 연결된 배수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구현부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다수의 투영체들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투영체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명유닛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이미지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KR1020120133675A 2012-11-23 2012-11-23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KR10139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75A KR101395318B1 (ko) 2012-11-23 2012-11-23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75A KR101395318B1 (ko) 2012-11-23 2012-11-23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318B1 true KR101395318B1 (ko) 2014-05-19

Family

ID=508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75A KR101395318B1 (ko) 2012-11-23 2012-11-23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11B1 (ko) * 2020-03-04 2020-12-2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KR102546463B1 (ko) * 2022-05-19 2023-06-23 금탑해양산업(주) 사석 투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139A (en) * 1990-02-20 1991-01-08 Goggia Steven J Pop-up landscape light
KR20100050033A (ko) * 2008-11-04 2010-05-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지하 매설용 원격제어 조명장치
KR20100089718A (ko) * 2009-02-04 2010-08-1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제어기를 이용한 승하강식 볼라드
KR20120043413A (ko) * 2010-10-26 2012-05-04 신영철 높이가 조절되는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139A (en) * 1990-02-20 1991-01-08 Goggia Steven J Pop-up landscape light
KR20100050033A (ko) * 2008-11-04 2010-05-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지하 매설용 원격제어 조명장치
KR20100089718A (ko) * 2009-02-04 2010-08-1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제어기를 이용한 승하강식 볼라드
KR20120043413A (ko) * 2010-10-26 2012-05-04 신영철 높이가 조절되는 볼라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11B1 (ko) * 2020-03-04 2020-12-2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KR102546463B1 (ko) * 2022-05-19 2023-06-23 금탑해양산업(주) 사석 투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606B1 (ko) 엘이디 표시부 및 조명부를 구비한 교통표지판
KR100962309B1 (ko)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KR101395318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감성 경관 조명장치
KR100966728B1 (ko) 도로 교통표지판
KR200461469Y1 (ko) 홍보용 표시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주
CN202813067U (zh) 一种照明装置
JP2004143924A (ja) 発光手摺装置
KR20080098265A (ko) 조명 블럭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473683Y1 (ko) 다기능 블라인드
KR100649464B1 (ko) 라이트를 가진 신호등거치대
KR100921746B1 (ko) 광고물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광고대
RU79111U1 (ru) Маячок сигнальный
JP2005347169A (ja) 浮遊照明具
KR200243105Y1 (ko) 횡단보도용 교통안내장치
KR102176932B1 (ko) 다기능 면발광장치
KR100748619B1 (ko) 회전식 구체 광고판
KR20110019109A (ko) 회전 조형물을 갖는 가로등
KR200412605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장치
KR102505362B1 (ko) 셔터장치
JP2015162157A (ja) 防犯装置
KR102565106B1 (ko) 경관조명시스템
CN206328703U (zh) 通信工程用警示装置
KR102023283B1 (ko) 지주에 안내문구가 나타나는 가로등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