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20Y1 - 천막용 지주받침대 - Google Patents

천막용 지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20Y1
KR200242620Y1 KR2020010013179U KR20010013179U KR200242620Y1 KR 200242620 Y1 KR200242620 Y1 KR 200242620Y1 KR 2020010013179 U KR2020010013179 U KR 2020010013179U KR 20010013179 U KR20010013179 U KR 20010013179U KR 200242620 Y1 KR200242620 Y1 KR 200242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onnector
support
support bas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20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용 지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천막용 지주의 하단에 조립되는 지주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지주받침대(1)를 구성하는 베이스(2)의 상면에 연결구(5)를 양분되도록 구성하고 연결구(5)의 중심부에 나사홈(6)과 절개부(3)를 형성하며, 상기의 나사홈(6)에 나사못(8)을 체결하여 연결구(5)가 좀 더 벌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연결구(5)의 양측면에는 걸림턱(4)을 형성하고 절개부(3)의 하단에는 양분된 연결구(5)에 탄성이 부여되도록 홈(7)을 형성한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주받침대의 구성요소를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산 및 취급할 때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천막용 지주에 조립할 때 보다 더 간편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조립상태에서 연결구의 양측면이 천막용 지주의 공간부 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막용 지주받침대{A prop fulcrum for a tent}
본 고안은 천막용 지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천막용 지주의 하단에 조립되는 지주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천막용 지주받침대(30)는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31)에나사공(32)을 구비한 연결구(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의 나사공(32)을 통해 결합되는 나사못(34)이 조립되도록 나사공(35)이 형성된 고정편(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주받침대(30)는 베이스(31)와 나사못(34), 고정편(36)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비싸고, 뿐만 아니라 고정편(36)이 매우 작기 때문에 분실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천막용 지주(37)와 지주받침대(30)를 조립할 때 베이스(31)에 형성된 연결구(33)를 천막용 지주(37)의 하단에서 결합하고 천막용 지주(37)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8)으로 고정편(36)을 끼운 다음, 나사공(32)을 통해 나사못(34)을 고정편(36)의 나사공(35)에 체결하였다.
이렇게 하면 베이스(31)와 고정편(36)이 나사못(34)에 의해서 일체로 체결, 고정되며, 결국에 고정편(36)은 천막용 지주(37)의 구멍(38)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고정편(36)에 의해서 천막용 지주(37)와 지주받침대(30)가 조립되므로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주받침대(30)는 베이스(31)에 형성된 연결구(33)를 천막용 지주(37)의 하단에서 결합하고 또 지주(37)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8)으로 고정편(36)을 끼운 다음, 나사공(32)을 통해 나사못(34)을 고정편(36)의 나사공(35)에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따라서 천막용 지주에 지주받침대를 조립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받침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나사홈과 절개부와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결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지주에 조립할 때 작업성이 우수하고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천막용 지주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천막용 지주와 지주받침대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천막용 지주와 지주받침대를 결합한 단면도
도 3은 천막용 지주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천막용 지주받침대를 분해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주받침대 2: 베이스
3: 절개부 4: 걸림턱
5: 연결구 6: 나사홈
7: 홈 8: 나사못
본 고안은 천막용 지주받침대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지주받침대(1)를 구성하는 베이스(2)의 상면에 연결구(5)가 양분되도록 구성하고 연결구(5)의 중심부에 나사홈(6)과 절개부(3)를 형성하며, 상기의 나사홈(6)에 나사못(8)을 체결하여 연결구(5)가 좀 더 벌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한 연결구(5)의 양측면에는 걸림턱(4)을 일체로 형성하고 절개부(3)의 하단에는 양분된 연결구(5)에 탄성이 좀 더 많이 부여 될 수 있도록 홈(7)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20은 천막용 지주, 21은 걸림구멍을 22는 천막의 골조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막용 지주받침대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막용 지주(20)에 지주받침대(1)를 조립함에 있어서, 천막용 지주(20)의 단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지주받침대(1)를 구성하는 연결구(5)를 끼운다.
이때 연결구(5)를 내측으로 눌러주면 절개부(3)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끼울 때 용이하며, 절개부(3)의 하단에 홈(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조립을 하기 위하여 연결구(5)를 내측으로 눌러줄 때 힘이 적게 들고 또 끼워진 후에 어느정도의 복귀력이 생기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천막용 지주(20)의 공간부에 지주받침대(1)를 구성하는 연결구(5)를 끝까지 끼우면 연결구(5)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4)이 천막용 지주(2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멍(21)으로 돌출되므로 천막용 지주(20)와 지주받침대(1)가 완전하게 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구(5)를 구성하는 나사홈(6)으로 나사못(22)을 체결하면 나사못(22)이 연결구(5)를 좀 더 벌려주게 되므로 걸림턱(4)이 걸림구멍(21)으로 더 확실하게 끼워져 빠지지 않게 되고, 또한 연결구(5)가 양측면이 천막용 지주(20)의 공간부 내면에 밀어주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 나사못(8)을 빼지 않는 한 연결구(5)가 오무려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주받침대의 구성요소를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산 및 취급할 때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천막용 지주에 조립할 때 보다 더 간편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조립상태에서 연결구의 양측면이 천막용 지주의 공간부 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지주받침대(1)를 구성하는 베이스(2)의 상면에 연결구(5)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구(5)의 중심부에 나사홈(6)과 절개부(3)를 형성하고 양측면에 걸림턱(4)과 하단에는 연결구(5)에 탄성이 부여 되도록 홈(7)을 형성하며, 나사홈(6)에는 나사못(8)을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용 지주받침대.
KR2020010013179U 2001-05-07 2001-05-07 천막용 지주받침대 KR200242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79U KR200242620Y1 (ko) 2001-05-07 2001-05-07 천막용 지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79U KR200242620Y1 (ko) 2001-05-07 2001-05-07 천막용 지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20Y1 true KR200242620Y1 (ko) 2001-10-12

Family

ID=7308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79U KR200242620Y1 (ko) 2001-05-07 2001-05-07 천막용 지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1357C (zh) 卡子
KR960001085Y1 (ko) 끈 고정구
US5104072A (en) Insert type of disengageable underground conduit holder
US6354719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bulb holder of a decorative light string
US6517302B2 (en) Modular clip
KR200242620Y1 (ko) 천막용 지주받침대
JP2594635Y2 (ja) 組合せクリップ
KR200428109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JP4421471B2 (ja) スナップ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KR200419194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KR20038054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100090085A (ko) 가구용 체결구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KR200413192Y1 (ko) 텐트폴 연결구
KR200224016Y1 (ko) 설비구조용 프로파일의 조립구조
KR200266491Y1 (ko) 탁자 상판용 지지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0237507Y1 (ko) 척추경 나사못의 다축로드 고정구
KR200384122Y1 (ko)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KR200278307Y1 (ko) 절첩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연결구
KR900003687Y1 (ko) 전화기의 콘센트
KR890007387Y1 (ko) 텐트용 골조
KR200351040Y1 (ko) 가구용 도어의 코너 연결구조
KR200189144Y1 (ko) 귀걸이형 무선 이어폰 클립 체결구조
KR200258351Y1 (ko) 테이블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827

Effective date: 20090526

EXTG Extingu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