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08Y1 -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08Y1
KR200242608Y1 KR2020010012956U KR20010012956U KR200242608Y1 KR 200242608 Y1 KR200242608 Y1 KR 200242608Y1 KR 2020010012956 U KR2020010012956 U KR 2020010012956U KR 20010012956 U KR20010012956 U KR 20010012956U KR 200242608 Y1 KR200242608 Y1 KR 200242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speaker
groove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진
김길수
문석화
임종우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08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무선 단말기에 진동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진동모터에 의해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모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요지는 덮개(100)에 진동모터(10)가 내삽되기 위한 제1홈(12)을 형성하고, 진동모터(10)의 상면에는 접점판(11)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의 모터탄성편(13)에 진동모터(10)의 접점판(11)이 접촉되도록 하며, 상부커버(300)의 고정돌기(112)에 덮개(100)의 고정홀(111)이 외삽되어 진동모터(10)를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진동모터(10)의 조립이 용이하고, 인쇄회로 기판(200)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촉각을 지나치게 자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무선 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VIBRATOR INSTALLATION STRUCTUR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MOBILE UNIT}
본 고안은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용이한 진동모터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단말기는 착신을 알려주기 위하여 부저 외에도진동모터(VIBRATOR)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진동모터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으로 용접되어 설치되는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설치가 불편하고,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의 납땜이 약화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모터가 동작하게되면 진동모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단말기의 몸체 전체가 떨리게 된다. 따라서, 책상 위에 무선단말기가 올려져있는 상태에서는 책상이 울림판 역할을 하여 드르륵하는 잡음이 발생하게되고, 휴대한 상태에서도 무선단말기 자체가 진동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촉각을 지나치게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모터의 조립이 용이한 설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덮개 200 : 인쇄회로기판
300 : 상부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1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고무로 된 덮개(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진동모터(10)를 수납하기 위한 제1홈(12)과 스피커(20)를 수납하기 위한 제2홈(22)과 부저(30)를 수납하기 위한 제3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홈(31)의 일측면에는 부저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부저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22)의 바닥에는 스피커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1스피커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0)의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고정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1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모터접점판(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20)의 상면에는 두 개의 스피커탄성편(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탄성편(21)에 접촉되기 위한 스피커접점판(24)과 상기 모터접점판(11)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모터탄성편(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부저(30)가 납땜으로 용접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홀(2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30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111)에 따른 다수의 고정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음이 출력되기 위해 상기 제1스피커홀(23)에 따른 제2스피커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홀(291)에 따라 중공홈이 있는 다수의 돌출봉(3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10)가 상기 덮개(100)의 제1홈(12)에 내삽되고, 상기 스피커(20)가 상기 제2홈(22)에 내삽되며, 상기 부저(30)가 상기 제3홈(41)에 내삽되고, 상기 덮개(100)가 상기 상부커버(300)에 상기 고정홀(111)과 고정돌기(112)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홀(291)을 관통하여 상기 돌충봉(390)에 너트가 조여져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상부커버(300)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터(10) 설치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터(10)를 인쇄회로 기판(200)에 납땜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모터(10)의 상면에 모터접점판(11)을 형성시키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 일측에 모터탄성편(13)을 형성하여 진동모터(10)와 인쇄회로기판(200)을 연결시키고, 고무로된 덮개(100)에 형성된 제1홀(12)에 진동모터(10)를 내삽시켜 단말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무선단말기는 상부커버(300)와, 키패드와 부저(30)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도2 참조 : 200)과, 무선부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과, 미들커버(도시하지 않음)와, 하부커버(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고, 진동모터(10)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상부커버(300) 사이에 설치된다.
덮개(100)는 스피커(20)와 진동모터(10)를 고정시키고, 부저(30)의 음을 단말기의 일측으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로 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진동모터(10)를 수납하기 위한 제1홈(12)과 스피커(20)를 수납하기 위한 제2홈(22)과 부저(30)를 수납하기 위한 제3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홈(31)의 일측면에는 부저음이 무선단말기의 일측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부저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음은 무선단말기의 전면으로 출력되도록 되어있고, 부저음은 측면으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2홈(22)의 바닥에는 스피커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1스피커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1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덮개(100)를 상부커버(300)에 고정시키기 위한다수의 고정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진동모터(1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모터접점판(11)이 형성되어 있고, 스피커(20)의 상면에는 두 개의 스피커탄성편(21)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일측면에 스피커탄성편(21)에 접촉되기 위한 스피커접점판(24)과 모터접점판(11)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모터탄성편(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00)에는 호출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부저(30)가 납땜으로 용접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상부커버(30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홀(29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300)는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되는 액정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창(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일측에는 덮개(100)의 고정홀(111)에 따른 다수의 고정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300)에는 스피커음이 출력되기 위해 덮개(100)의 제1스피커홀(23)에 따른 제2스피커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홀(291)에 따라 중공홈이 있는 다수의 돌출봉(39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공홈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터(10)의 설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동모터(10)가 덮개(100)의 제1홈(12)에 내삽되고, 스피커(20)가 제2홈(22)에 내삽되어 설치된다. 이후, 덥개(100)를 상부커버(300)에 설치하되 덮개(100)의 고정홀(111)에 상부커버(300)의 고정돌기(112)가 내삽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부저(30)가 용접된 인쇄회로 기판(200)을 상부커버(300)에 고정시키되, 인쇄회로기판(200)의 홀(291)을 관통하여 돌충봉(390)에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조여져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상부커버(3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된 부저(30)는 덮개(100)의 제3홈(41)에 내삽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터(10) 설치구조는 덮개(100)에 제1홈(12)을 형성하고 진동모터(10)의 상면에 접점판(11)이 인쇄회로기판(200)의 모터탄성편(13)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부커버(300)의 고정돌기(112)에 덮개(100)의 고정홀(111)이 외삽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진동이 무선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진동모터(10) 자체만 진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이 필요 없고, 인쇄회로 기판이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촉각을 지나치게 자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100)에 진동모터(10)가 내삽되기 위한 제1홈(12)을 형성하고, 진동모터(10)의 상면에는 접점판(11)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에는 모터탄성편(13)이 형성되어 접점판(11)과 모터탄성편(13)이 접촉되도록 하며, 상부커버(300)의 고정돌기(112)에 덮개(100)의 고정홀(111)이 외삽되어 진동모터(10)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모터(10)의 조립이 용이하고, 인쇄회로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촉각을 지나치게 자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1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고무로 된 덮개(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진동모터(10)를 수납하기 위한 제1홈(12)과 스피커(20)를 수납하기 위한 제2홈(22)과 부저(30)를 수납하기 위한 제3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홈(31)의 일측면에는 부저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부저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22)의 바닥에는 스피커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1스피커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고정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1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모터접점판(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20)의 상면에는 두 개의 스피커탄성편(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탄성편(21)에 접촉되기 위한 스피커접점판(24)과 상기 모터접점판(11)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모터탄성편(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부저(30)가 납땜으로 용접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홀(2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30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111)에 따른 다수의 고정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음이 출력되기 위해 상기 제1스피커홀(23)에 따른 제2스피커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홀(291)에 따라 중공홈이 있는 다수의 돌출봉(3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10)가 상기 덮개(100)의 제1홈(12)에 내삽되고, 상기 스피커(20)가 상기 제2홈(22)에 내삽되며, 상기 부저(30)가 상기 제3홈(41)에 내삽되고, 상기 덮개(100)가 상기 상부커버(300)에 상기 고정홀(111)과 고정돌기(112)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홀(291)을 관통하여 상기 돌충봉(390)에 너트가 조여져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상부커버(300)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KR2020010012956U 2001-05-04 2001-05-04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KR200242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56U KR200242608Y1 (ko) 2001-05-04 2001-05-04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56U KR200242608Y1 (ko) 2001-05-04 2001-05-04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218A Division KR100382282B1 (ko) 2001-05-04 2001-05-04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08Y1 true KR200242608Y1 (ko) 2001-10-12

Family

ID=730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56U KR200242608Y1 (ko) 2001-05-04 2001-05-04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534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힌지장치
GB2300074A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n external switch button
US20070072658A1 (en) Clam Type Mobile Phone
JP2001029887A (ja) バイブレータ保持装置及びバイブレータ取付け方法
JP3709350B2 (ja) 折り畳み型情報端末
KR100382282B1 (ko)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KR200242608Y1 (ko) 무선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 구조
JP2002281134A (ja) マイクユニット実装構造
JP4303199B2 (ja) バイブレータおよび交換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電子装置
JP3416584B2 (ja) 振動発生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JPH0955612A (ja) 無線機のアンテナ装置
JP2002299859A (ja) 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構造
JP2808973B2 (ja) 表示機能付き個別呼出用受信機
JP2001119773A (ja) 携帯機器
KR1004539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랫패널 스피커
JPH11275196A (ja) 通信端末装置
JPH10321109A (ja) リレーの実装構造
KR200355867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엘씨디 프레임
KR10026482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플렉시블 피씨비 구조
KR200335670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케이스와 터미널의 결합 구조
JP3408470B2 (ja) 電子機器
JPH11169790A (ja) 取付け部材付バイブモータ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KR100286160B1 (ko) 전자제품용 버저의 덮개.
KR100802504B1 (ko)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