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309Y1 - 홀딩 도어 - Google Patents

홀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309Y1
KR200242309Y1 KR2020010011746U KR20010011746U KR200242309Y1 KR 200242309 Y1 KR200242309 Y1 KR 200242309Y1 KR 2020010011746 U KR2020010011746 U KR 2020010011746U KR 20010011746 U KR20010011746 U KR 20010011746U KR 200242309 Y1 KR200242309 Y1 KR 200242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ding door
unit plate
rail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식
Original Assignee
채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정식 filed Critical 채정식
Priority to KR2020010011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309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구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홀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훼손없이 설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도 홀딩 도어의 하단부가 바닥부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틈새없는 완벽한 차단효과와 외관상의 미려함을 살리는 유용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좁고 긴 두겹의 얇은 판이 접합되어 7개의 격실을 가지되, 양단 가장자리부 격실의 측면 중앙에 세로로 긴 홈부를 구비한 단위 플레이트(41)와, 두 개의 격실과 내측면 두 모서리부가 절개되어 있는 연결부재(50) 및 상기 연결부재(50)의 상,하부에 씌워지는 연결부재캡(52), 아령모양의 단면을 갖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 격실 및 연결부재(50)의 일측 격실에 끼움되어 연결하는 연결구(51)와,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의 상단 격실로 삽입되며, 하부에 네 개의 고정용 돌기(62)를 형성하고,
중앙에 상부 가이드 롤러(61)에 일체화되어 하부로 돌출된 연결볼트(64)에 스프링(63)을 삽착, 하단에 너트(65)를 구비한 상단마감부재(60)와,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의 하단 격실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마감부재(60)와 동일한 형태의 고정용 돌기와 이동롤러(71)를 구비한 하단마감부재(70)와, 최외측 단위 플레이트(41) 일측에 구비되며, 손잡이(42)를 구비하고, 단층진 요철을 형성한 가동프레임(40)과, 상기 가동프레임(40)의 요철과 맞춤,끼움되는 홈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벽체고정을 위한 고정용 흡반(11)을 구비한 고정프레임(10)이 조립되어 일체화되고, 상기상단마감부재(60)의 가이드 롤러 (61)를 수용하는 하부격실과, 고정캡 너트(21)를 관통해 고정용 흡반(11)과 일체화된 장볼트(22)가 나사결합되는 상부격실로 이루어진 상부레일(20)과, 상기 하부 이동롤러(71)가 이동하는 돌기 형태의 레일본체(31)를 형성하고, 바닥부에 매설되도록 하는 매입형 하부레일(33) 또는 양측 하향 경사부(32)를 형성한 돌출형 하부레일(34) 상을 접철식으로 이동하되, 벽면 훼손없이 흡착,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드릴 천공이나 못을 박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벽면 훼손을 방지하며, 해체 후에도 벽체나 천장 등에 못자국 등을 남기지 않고, 외관상 미려함을 살리는 효과가 있으며, 홀딩 도어가 바닥부와 이격됨이 없이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칸막이의 목적에 부합되는 완벽한 차폐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홀딩도어 하단에 매립형 또는 돌출형 하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 상에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뿐 아니라, 홀딩 도어의 처짐을 받쳐주어 홀딩 도어 하단부 훼손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키며, 더욱이,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홀딩 도어의 실용성 및 사용성 증대를 통한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단순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홀딩 도어 {folding doors}
본 고안은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구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홀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훼손없이 설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도 홀딩 도어의 하단부가 바닥부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틈새없는 완벽한 차단효과와 외관상의 미려함을 살리는 유용한 것이다.
흔히 대중 음식점이나 사무실의 칸막이용이나 주택의 거실과 주방 사이, 또는 욕실과 화장실의 구분을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는 기존의 홀딩 도어는 상부 레일에만 롤러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플레이트의 자중으로 인해 상당량 처짐이 발생하여 롤러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만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상, 하부에 레일을 설치한 경우에도 시간의 차이가 조금 있을 뿐 자중으로 인한 처짐을 궁극적으로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기존의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시킨 접속부를 연결구로 연결하게 되어서 각 플레이트의 접속부위에 상당한 폭의 틈새가 발생하여 차폐를 이루려는 목적에 미진하였고,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설치에 있어서, 상부 레일과 좌, 우 프레임을 단단한 벽체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설치 및 해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고장시 보수가 어려워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해체 후에도 벽체와 천장에 못자국 등이 그대로 흉하게 남기 때문에 벽면을 보수하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단부에만 일반적인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홀딩 도어의 경우에는, 이를 바닥부가 평활하지 못한 곳에 사용하게 되었을 때, 바닥부 상에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울퉁불퉁한 바닥부와의 마찰로 인해 하단부가 쉽게 마모되며, 홀딩도어의 처짐현상을 가속화하여 그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하부 바닥부 상에 공간을 마련하고, 이에 하부 가이드레일을 매설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바닥부에도 공간확보를 위한 틈새와 손상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평평한 바닥부 상에는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홀딩 도어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홀딩 도어의 양측부 고정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에 고정용 흡반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타일 벽면상에 간단히 흡착시켜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드릴 천공이나 못을 박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벽면 훼손을 방지하고, 외관상 미려함을 살리는 홀딩 도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홀딩 도어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가이드롤러 내부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하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홀딩 도어가 바닥부와 이격됨이 없이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완벽한 차폐효과를 갖도록 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홀딩도어 하단에 매립형 또는 돌출형 하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 상에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뿐 아니라, 홀딩 도어의 처짐을 받쳐주어 홀딩 도어 하단부 훼손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키며, 더욱이,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홀딩 도어의 실용성 및 사용성 증대를 통한 품질향상에 기여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홀딩 도어의 설치 및 해체, 보수 등에 있어서도 벽면상에 단순히 흡착, 고정함으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취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단 마감부재 가이드롤러의 하강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단 마감부재 가이드롤러의 상승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단 고정 프레임의 조립상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단위 플레이트와 연결부재의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플레이트의 회동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 하부 레일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레일의 벽면고정 상태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하부 레일의 단면도
도 10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하부 레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 프레임 11 : 고정용 흡반 20 : 상부 레일
21 : 고정캡 너트 22 : 장볼트 30 : 하부 레일
31 : 레일 본체 32 : 하향 경사부 33 : 매립형 하부 레일
34 : 돌출형 하부 레일 40 : 가동 프레임 41 : 단위 플레이트
42 : 손잡이 50 : 연결 부재 51 : 연결구
52 : 연결부재캡 60 : 상단 마감부재 61 : 가이드 롤러
62 : 고정용 돌기 63 : 스프링 64 : 연결볼트
65 : 너트 70 : 하단 마감부재 71 : 이동롤러본체
72 : 회동축 73 : 롤러
본 고안은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구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홀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훼손없이 설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홀딩 도어의 하단부가 바닥부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틈새없는 완벽한 차단효과와 외관상의 미려함을 살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의 일부 절취 전체 사시도로에 보이는 바와 같이, 크게 단위 플레이트(41), 연결부재(50), 고정 프레임(10)과 가동 프레임(40), 상,하단 마감부재(60)(70) 및 상,하부 레일(20)(30)로 구성된다.
그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단위 플레이트(41)는 차단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형은 좁고 긴 두겹의 얇은 판이 접합되어 7개의 격실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며, 양측 끝단에 위치한 격실은 연결구(51)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세로축을 따라 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위 플레이트(41) 측면에는 연결부재(50)가 구비되어 필요한 길이 만큼의 단위 플레이트(41)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접철되도록 하는데, 이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와 연결부재(50)를 결합하기 위해 아령형태의 단면을 가진 두개의 원기둥형 막대가 세로로 접합된 형태를 지니고 있는 연결구(51)가 구비되고, 이렇게 삽입, 연결되어진 연결부재(50)의 상,하부에는 연결부재캡(52)이 씌워져서 연결구(5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단 마감부재(60)는 단위 플레이트(41)의 가로측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사각판상 아래로 4개의 고정용 돌기(6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의 가운데 격실을 제외한 양측 4개의 격실에 삽입, 고정되어지고, 중앙부 하단에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41) 상단의 가운데 격실에 수납되며, 상부 가이드 롤러(61)와 상단 마감부재(60)를 관통해 구비되는 연결볼트 (64)의 하부에 스프링(63)이 삽착되고, 그 끝단에 너트(65)를 구비한 채 일체화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61)는 상부 레일(20)에 삽입되어져 본 고안을 여닫을 때 안내 역할을 하며, 연결볼트(64) 하부의 스프링(63)에 의해 하부 바닥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홀딩 도어와 바닥부를 이격없이 접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홀딩 도어의 길이에 맞게 바닥부가 평활한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연결볼트(64)에 삽착된 스프링(63)이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는 반면, 바닥부가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홀딩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하단부가 낯은 바닥측으로 처짐이 일어나드라도, 상부 레일(20)에 삽입되어져있는 가이드 롤러(61)의 연결볼트(64)는 스프링(63)이 압착된 상태로 올라감으로써, 홀딩 도어 하단부는 여젼히 바닥부와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단 마감부재(70)의 경우에는 상기 상단 마감부재(6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용 돌기(62)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플레이트(41) 하단 격실로 삽입, 고정되며, 중앙부 하단 중앙에 이동 롤러 본체(71)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못이 가운데 격실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 롤러 본체(71)는 그 내부의 중심부로 오목한 롤러(73)가 회동축(72)에 의해 관통되어져 체결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요에 맞게 단위 플레이트(41)와 연결부재(50)가 접철가능케 연속적으로 연결된 홀딩 도어의 일측에는 가동 프레임(40)이, 타측에는 고정 프레임(10)이 결합, 구비되는데, 이는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가동 프레임은 (40)의 경우 본 고안을 여닫을 때 사용 되도록 손잡이(42)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 프레임(10)의 홈부와 요철 결합되도록 양단측에서 안측으로 단층져 다단의 요철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가동 프레임(40)의 요철과 결합되는 홈부를 일측에 형성한 고정 프레임(10)은 벽체에 홀딩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흡반(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흡반(11)은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있어 손상없이 벽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보수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8 및 도9에서 보여지는 상부 레일(20)에 있어서는,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진 긴 사각통 형상으로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61)가 삽입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홈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고정캡 너트(21)가 씌워진다. 상기 고정캡 너트(21)는 상부 레일(20)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캡으로 상부 격실에 삽입될 부분에 나사가공이 되어 있어서 장볼트(22)와 나사결합되며, 가이드 롤러(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 (10)과 마찬가지로 장볼트(22)와 일체화된 고정용 흡반(11)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데, 기존의 홀딩 도어의 설치에 비해 빠르고 간편하며, 벽체와 천장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부 레일(20)의 벽체고정을 위한 고정용 흡반(11)은 콘크리트벽 등에 부착시 흡반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벽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홀딩 도어의 해체 및 이동이 필요시 고정용 흡반만 교체하면 홀딩 도어를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부레일(30)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매립형 하부 레일(33)과 돌출형 하부 레일(34)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먼저, 매립형 하부 레일(33)은 도 10a에서와 같이, 레일 중심부에 롤러가 움직이는 통로로서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레일본체(31)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부에 하부 레일(30)을 매설하여 설치함으로써, 걸림턱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돌출형 하부 레일(34)은 도 10b의 경우에서와 같이, 평활한 바닥부상에 그대로 접착,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다른 곳에 이동하여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돌출턱의 걸림에 의한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중심부 레일 양측에 하향으로 경사져 내려가는 경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부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부 천장부에 상부 레일(20)을 설치하고, 하부 바닥부에 용도에 맞게 매립형(33) 또는 돌출형(34)을 선택하여 하부레일(3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단위 플레이트(41)와 연결부재(5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길이에 맞게 연결구(51)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일측 단부에는 가동 프레임(40)을 연결시키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 프레임(10)을 도 4와 같이 연결시킨 후, 일체로 조립된 상단 마감부재(60)와 하단 마감부재(70)를 단위 플레이트(41)의 상, 하단부 격실에 삽입, 고정시키며, 연결 부재캡(52)을 연결 부재(50)에 씌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홀딩 도어는, 상부 레일(20)의 하단 격실에 가이드 롤러(61)를 삽입하고 고정캡 너트(21)를 닫은 후, 장볼트(22)를 체결, 그와 일체화된 고정용 흡반(11)을 양측 벽체에 흡착, 고정하며, 상기 단위 플레이트(41)에 연결된 고정 프레임(10) 역시 고정용 흡반(11)을 이용하여 벽체에 단순히 흡착,고정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홀딩 도어의 설치 및 조립을 완성한다.
이에, 본 고안의 작동 과정를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된 홀딩 도어의 손잡이(42)를 잡고 문을 폐쇄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단위 플레이트(41)와 연결부재(50)가 연결구(51)에 의해 나란하게 되므로 완벽한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대로 문을 개방할 경우에는 단위 플레이트(41)와 연결부재(50)가 연결구(51)에 의해 직교하게 되므로 단위 플레이트(41)는 접철되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레일(30)을 따라 롤러(73)가 움직이고, 상부 레일의 가이드 롤러(61)는 처짐을 방지하여 홀딩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은 홀딩 도어의 양측부 고정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에 고정용 흡반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타일 벽면상에 간단히 흡착시켜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드릴 천공이나 못을 박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벽면 훼손을 방지하며, 해체 후에도 벽체나 천장 등에 못자국 등을 남기지 않고, 플레이트에 그림이나 문양 등을 넣을 때에도 틈새가 없음으로 인해 선이 끊어지지 않아서 외관상 미려함을 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딩 도어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가이드롤러 내부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하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홀딩 도어가 바닥부와 이격됨이 없이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칸막이의 목적에 부합되는 완벽한 차폐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홀딩도어 하단에 매립형 또는 돌출형 하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 상에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뿐 아니라, 홀딩 도어의 처짐을 받쳐주어 홀딩 도어 하단부 훼손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키며, 더욱이,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홀딩 도어의 실용성 및 사용성 증대를 통한 품질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홀딩 도어의 설치 및 해체, 보수 등에 있어서도 홀딩 도어를 벽면상에 단순히 흡착, 고정하고, 탈리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Claims (4)

  1. 상,하부레일(20),(30) 및 좌,우측 고정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며, 인접하는 단위플레이트간에는 연결부재(50) 및 연결구(5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상, 하부레일상에서 절첩 및 개패되는 홀딩도어에 있어서,
    상기 단위플레이트(41)는, 상,하단부에는 단위플레이트의 격실에 끼움되는 고정돌기(62)만 구성된 상,하단 마감부재(60),(70)가 끼움된 단위플레이트(41)와
    상단부에는 상부에 가이드 롤러((6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단위플레이트의 격실에 끼움되는 고정돌기((62)와 스프링(63)이 삽착,돌출된 연결볼트(64)를 가진 상단마감부재(60)가 끼움되고, 하단부에는 하단격실에 끼움되는 고정돌기(62)가 구성되고 저면 중앙부에는 레일 본체상을 이동하는 롤러, 회동축 및 본체로 이루어진 이동롤러(71)가 나사체결된 하단마감부재(70)가 끼움된 단위플레이트(41)가 교호로 배치,연결되어 하나의 홀딩도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부레일(20),(30) 및 좌,우측 고정프레임(10)의 일측 즉, 벽면 대접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벽체고정을 위한 고정용 흡반(11)이 다수 구비되며, 상부레일(20)의 양단부에는 일단에 고정용 흡반(11)을 가진 장볼트(22)가 고정캡너트(21)에 체결된 상태로 끼움되어 벽면 훼손없이 흡착,고정되어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은 하부 이동롤러(71)가 이동하는 돌기 형태의 레일본체(31)를 형성하고, 바닥부에 매설되도록 하는 매입형 하부레일(33) 이나 매입형 하부레일과 동일한 레일본체(31)를 구비하되 레일 양단부를 하향 경사부(32)로 형성한 돌출형 하부레일(34)을 구비하여 평활한 바닥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최좌측 단위 플레이트(41)의 일단에는, 중간부에는 손잡이(42)가 고정되며, 또, 길이방향으로 단층진 요철을 형성한 가동프레임(40)이 연결되고, 상기 가동프레임(40)의 요철과 맞춤,끼움되는 홈부를 형성하되 일측에 벽체고정을 위한 고정용 흡반(11)을 구비한 좌측고정프레임(10)이 서로 조립되어 일체화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도어.
KR2020010011746U 2001-04-24 2001-04-24 홀딩 도어 KR200242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746U KR200242309Y1 (ko) 2001-04-24 2001-04-24 홀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746U KR200242309Y1 (ko) 2001-04-24 2001-04-24 홀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309Y1 true KR200242309Y1 (ko) 2001-10-12

Family

ID=7310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746U KR200242309Y1 (ko) 2001-04-24 2001-04-24 홀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30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89B1 (ko) * 2010-03-22 2013-06-04 남이식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101565923B1 (ko) * 2014-02-12 2015-11-04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지지응력이 개선된 입설형 격납고 도어장치
KR101757594B1 (ko) * 2016-07-15 2017-07-28 주식회사 도매클럽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KR101818914B1 (ko) * 2017-05-11 2018-01-17 임명복 홀딩 도어
KR101916232B1 (ko) * 2016-05-31 2018-11-07 (주)이지폴딩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89B1 (ko) * 2010-03-22 2013-06-04 남이식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101565923B1 (ko) * 2014-02-12 2015-11-04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지지응력이 개선된 입설형 격납고 도어장치
KR101916232B1 (ko) * 2016-05-31 2018-11-07 (주)이지폴딩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757594B1 (ko) * 2016-07-15 2017-07-28 주식회사 도매클럽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KR101818914B1 (ko) * 2017-05-11 2018-01-17 임명복 홀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4695B2 (en) Moveable and demountable wall panel system
AU2003221131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panel use of architecture
KR200399127Y1 (ko) 건축용 벽체의 고정부재
KR200242309Y1 (ko) 홀딩 도어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WO2017021900A1 (en) Multipurpose beam for manufacturing a false ceiling and false ceiling and system to vary the configuration of an environment that includes such beam
KR100709271B1 (ko) 걸레받이
KR101060106B1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KR20150096065A (ko) 걸레받이
CN214785006U (zh) 一种装配式结构装修一体化绿色建筑
KR200459168Y1 (ko) 칸막이용 높낮이조절형 걸레받이
KR100205106B1 (ko) 시스템 천정 타일
CN213216669U (zh) 一种型材安装结构及淋浴房
KR101971133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KR200261357Y1 (ko) 거실 확장용 창틀 커버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200009307A (ko) 타일 결합체
KR101818914B1 (ko) 홀딩 도어
CN217206014U (zh) 一种适用于集成墙板的装配式暗门门套
JP2001207750A (ja) 戸袋付き引戸ユニット
KR20020030837A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326615Y1 (ko) 창문용 프레임
KR200317408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200182670Y1 (ko) 건축용 장식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