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708Y1 -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 Google Patents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08Y1
KR200241708Y1 KR2020010014867U KR20010014867U KR200241708Y1 KR 200241708 Y1 KR200241708 Y1 KR 200241708Y1 KR 2020010014867 U KR2020010014867 U KR 2020010014867U KR 20010014867 U KR20010014867 U KR 20010014867U KR 200241708 Y1 KR200241708 Y1 KR 200241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rol
volume
control cap
ca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스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스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스밸리
Priority to KR2020010014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0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음량 상승조절 단자 및 음량 하강조절단자가 분할 형성된 메모리소자가 상측부에 내설되고, 하측부에 전원이 내설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측부를 커버링하는 상부커버, 상기 몸체부 하측부를 커버링하는 하부커버, 상기 몸체부 및 상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음량조절캡 수용부,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와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음량조절캡, 상기 음량조절캡의 위치복원수단 및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에 내설되고,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음량조절캡과 연결되어 상기 음량조절캡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메모리소자의 음량 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 단자와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량조절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음량조절캡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음량을 용이하게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Pen type Digital voice recoder}
본 고안은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컴퓨터의 음성정보를 저장하거나 컴퓨터의 음성정보를 컴퓨터로 저장하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 사용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종래의 자기테이프를 이용하는 방식의 녹음기를 대체하여 디지털 방식의 녹음기의 판매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녹음기는 메모리 제조기술의 발달에 의해서 크기가 소형화되고,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른 음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향후 폭발적인 수요가 예상된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녹음기는 메모리 반도체에서 디지털신호를 변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화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 음성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이어폰으로 음성정보를 청취하는 것은 물론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이어폰 없이도 음성정보를 재생하여 청취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녹음기는 디자인 형태면에서 펜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대한 특징 및 순번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부(10)가 구비된 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액정표시부(10) 하측에 구동멈춤버튼(12), 구동버튼(14), 모드선택버튼(16) 및 음량조절버튼(18) 등의 조작버튼이 순차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각 버튼(12, 14, 16, 18)을 음성정보 청취자가 선택적으로 손으로 푸싱(Pushing)하여 내부 메모리소자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서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음성청취 과정에 주변환경에 의해서 음성정보를 용이하게 청취할 수 없을 경우에는 음성 청취자는 음량조절버튼(18)을 손으로 푸싱함으로써 음량을 조절하여 음성정보를 청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음량조절버튼의 크기가 매우 작아 음성 청취자가 볼륨조절 버튼을 손으로 정확하게 푸싱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음성 볼륨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 청취자가 음량을 용이하게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음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음량조절캡 수용부의 배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음량조절캡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10 : 액정표시부
12 : 구동멈춤 버튼 14, 28 : 구동버튼
16, 30 : 모드선택 버튼 18 : 음량조절버튼
20 : 몸체부 22 : 상부커버
24 : 하부커버 26 : 음량조절캡
32 : 이어폰 연결부 100a, 100b : 음량조절캡 수용부
102 ; 슬롯 104 : 스프링
106 : 내부통 108, 110 : 스프링 수용홈
112 : 덮개 114 : 스위치 수용홈
116 : 음량조절 스위치 118 : 삽입돌기
120 : 접촉부 122 : 마이크
124 : 스피커 130 : 메모리소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음량 상승조절 단자 및 음량 하강조절단자가 분할 형성된 메모리소자가 상측부에 내설되고, 하측부에 전원이 내설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측부를 커버링하는 상부커버; 상기 몸체부 하측부를 커버링하는 하부커버; 상기 몸체부 및 상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음량조절캡 수용부;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와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한 후, 다시 원래 위 치로 복원되는 음량조절캡; 상기 음량조절캡의 위치복원수단; 및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에 내설되고,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음량조절캡과 연결되어 상기 음량조절캡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메모리소자의 음량 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 단자와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량조절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복원수단은,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내면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된 내부통과 상기 내부통 외면에 감긴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을 외부로 돌출 수용하도록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일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스프링 수용홈 및 제 2 스프링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수용홈과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홈 및 제 2 스프링 수용홈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프링이 일단 및 타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음량조절캡 내면에 형성된 제 1 내설홈과 및 제 2 내설홈으로 이루어지는 내설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는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하측부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에 돌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음량조절캡 내면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음량조절스위치는 상기 음량조절캡의 회전에 의해서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의 음량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 상승조절 단자 및 음량 하강조절단자가 분할 형성된 메모리소자가 상측부에 내설되고, 상기 메모리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하측부에 내설되는 몸체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은 상부커버(22)에 의해서 커버링(Covering)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0)의 하측은 하부커버(24)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22)의 소정부에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4)를 자켓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걸이(34)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커버(22)와 몸체부(20)의 결합부에는 구동버튼(28), 모드선택버튼(30) 및 이어폰 연결부(32)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 상단부 및 상부커버(22) 상단부는 음량조절캡(26)과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4)의 체결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음량 상승조절 단자 및 음량 하강조절단자가 분할 형성된 메모리소자(130)가 내설되는 몸체부(20) 상부에는 소정깊이 단차진 제 1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22)의 상부에도 링형상의 덮개(112)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소정깊이 단차진 제 2 음량조절캡 수용부(100b)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음량조절캡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내면 소정부와 제 2 음량조절캡 수용부(100b) 내면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의 슬롯(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102)에는 표면에 탄성 스프링(104)이 감겨진 원통형상의 내부통(106)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통(106) 외면에 감겨진 스프링(104)의 일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소정부에 관통 형성된 제 1 스프링 수용홈(108)에 절곡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104)의 타단은 제 1 스프링 수용홈(108)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소정부에 관통 형성된 제 2 스프링 수용홈(110)에 절곡 삽입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와 제 2 볼륨 조절캡 수용부(100b) 하부면에는 각각 스위치 수용홈(114a, 11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수용홈(114a, 114b) 내부에는 물리적 외압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전하여 음량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하는 음량조절 스위치(11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양측부에 스위치 수용홈(114a, 114b)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핀형상의 한쌍의삽입돌기(118a, 118b)와 각 삽입돌기(118a, 118b)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몸체부(20)에 내설된 메모리소자의 음량 상승조절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음량을 조절하는 한쌍의 접촉부(120a, 120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통(106)과 상부커버(22)의 덮개(112) 사이에 마이크(122) 및 스피커(12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여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100b)와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음량조절캡(26)에 대해서 살펴보면, 음량조절캡(26)은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100b)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음량조절캡(26) 내면 일측부 및 타측부에는 각각 제 1 스프링 수용홈(108)에 삽입 돌출된 스프링(104)의 일단부가 걸려 물리적 외압에 의해서 유동된 후 다시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제 1 내설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설홈(200)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2 스프링 수용홈(110)에 삽입 돌출된 스프링(104)의 타단부가 수용되어 동일작용을 수행하는 제 2 내설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량조절캡(26) 내면에 서로 마주보며 음량조절캡 수용부(100a, 100b)의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114a, 114b)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된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삽입돌기(118a, 118b)가 수용되는 한쌍의 삽입돌기 수용홈(204a, 20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량조절캡(26)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조절캡(26)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음성 녹음기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는 과정에 음량을 높이거나 낮추고자 할경우에는, 음성정보 청취자는 음량조절캡(26)을 손으로 잡고 압력을 가하여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음량조절캡(26) 표면에는 돌출부(20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성정보 청취자의 손이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그리고, 음량조절캡(26)이 회전하게 되면, 음량조절캡(26) 내면에 형성된 제 1 내설홈(200) 및 제 2 내설홈(202) 내부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104)의 일측 단부는 음량조절캡(26) 내면의 제 1 내설홈(200) 또는 제 2 내설홈(202)의 턱에 의해서 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스프링(104)의 양끝 단부의 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음량조절캡(26) 내면에 형성된 삽입돌기 수용홈(204a, 204b)에 삽입돌기(118a, 118b)가 내설되어 있으므로 음량조절캡(26)의 회전에 의해서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접촉부(120a, 120b)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접촉부(120a, 120b)는 몸체부(20)의 상측부에 내설된 메모리소자(130)의 음량 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 단자와 접촉하게된다. 또한, 메모리소자(130) 내부에서는 순간적으로 쇼트(Short)현상이 발생하여 평상시의 고전압신호(1)가 저전압신호(0)로 변환되게 되고, 메모리소자(130)의 마이콤(Micom)은 미리 내장된 음량 레벨로 음성정보를 음성 청취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음성 청취자가 음량조절캡(26)에 대한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음량조절캡(26) 내면에 형성된 제 1 내설홈(200) 및 제 2 내설홈(202) 내부에 내설된 스프링(104)의 양끝 단부는 스프링(104)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제 1 내설홈(200) 및 제 2 내설홈(202)의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음량조절캡(26) 내면에 형성된 삽입돌기 수용홈(204a, 204b)에 내설된 삽입돌기(118a, 118b)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접촉부(120a, 120b)도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몸체부(20)의 상측부에 내설된 메모리소자(130)의 음량 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 단자와 음량조절 스위치(116)의 접촉부(120a, 120b)의 접촉도 해제됨으로써 쇼트(Short)현상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량조절캡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음량조절 스위치의 접촉부를 메모리소자의 음량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하강조절 단자와 접촉하게 하여 음량을 용이하게 정확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는, 음량조절캡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음량을 용이하게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음량 상승조절 단자 및 음량 하강조절단자가 분할 형성된 메모리소자가 상측부에 내설되고, 하측부에 전원이 내설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측부를 커버링하는 상부커버;
    상기 몸체부 하측부를 커버링하는 하부커버;
    상기 몸체부 및 상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음량조절캡 수용부;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와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음량조절캡;
    상기 음량조절캡의 위치복원수단; 및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에 내설되고,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음량조절캡과 연결되어 상기 음량조절캡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메모리소자의 음량 상승조절 단자 또는 음량 하강조절 단자와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량조절 스위치;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수단은,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내면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된 내부통과 상기 내부통 외면에 감긴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을 외부로 돌출 수용하도록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일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스프링 수용홈 및 제 2 스프링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수용홈과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홈 및 제 2 스프링 수용홈 외부로 돌출된 상기스프링이 일단 및 타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음량조절캡 내면에 형성된 제 1 내설홈과 및 제 2 내설홈으로 이루어지는 내설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는 상기 음량조절캡 수용부 하측부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에 돌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음량조절캡 내면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음량조절스위치는 상기 음량조절캡의 회전에 의해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KR2020010014867U 2001-05-21 2001-05-21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KR200241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7U KR200241708Y1 (ko) 2001-05-21 2001-05-21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7U KR200241708Y1 (ko) 2001-05-21 2001-05-21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08Y1 true KR200241708Y1 (ko) 2001-10-29

Family

ID=7310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67U KR200241708Y1 (ko) 2001-05-21 2001-05-21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17B1 (ko) 2016-08-26 2017-08-09 주식회사 이소닉 볼펜형 보이스 레코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17B1 (ko) 2016-08-26 2017-08-09 주식회사 이소닉 볼펜형 보이스 레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09B2 (en) Wireless in-ear headphones
US20180234756A1 (en) Charging of wireless earbuds
US20100166208A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headphone apparatus
JP3500993B2 (ja) 音響変換装置
JP2010157897A (ja) ヘッドホン装置及び再生装置
KR101323854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그 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어폰
JPH08195997A (ja) 音響再生装置
KR200241708Y1 (ko)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CN112019965A (zh) 一种转接系统及方法
KR100326973B1 (ko)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US9729956B2 (e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module, sound output unit and method for switching audio output
US20050213775A1 (en) Sound source transmitting device
KR200293414Y1 (ko) 이어폰 소켓
CN213815540U (zh) 一种音频播放设备
CN1249865C (zh) 多极插头
CN211959485U (zh) 一种入耳式降噪耳机
JP2003297501A (ja) ジャック
KR200363850Y1 (ko) 디지털 녹음 청진기
KR100346156B1 (ko) 다기능 피씨 카메라
JP2005268123A (ja) 電子機器
JP2002222587A (ja) 音声再生装置
KR200397204Y1 (ko) 음악 재생 장치
KR200347249Y1 (ko) 휴대용 오디오 내장형 안경
JP2001203477A (ja) 電子機器
KR200218633Y1 (ko) 다기능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