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60Y1 -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60Y1
KR200241660Y1 KR2020010010977U KR20010010977U KR200241660Y1 KR 200241660 Y1 KR200241660 Y1 KR 200241660Y1 KR 2020010010977 U KR2020010010977 U KR 2020010010977U KR 20010010977 U KR20010010977 U KR 20010010977U KR 200241660 Y1 KR200241660 Y1 KR 200241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hamber case
duct
op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종
김범진
Original Assignee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60Y1/ko

Links

Landscapes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열교환기와 덕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 및 급기구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감싸주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챔버 케이스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개구부와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챔버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 플랜지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 플랜지의 양단측에서 돌출되어 전열교환기의 플랜지에 걸림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환기덕트나 급기덕트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 케이스의 돌출부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Chamber case for connecting duct of heat exchaging}
본 고안은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열교환기와 환기 및 급기덕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주거하는 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물에는 냉난방 장치를 시설하고 있으며, 특히 주택에 있어서는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성에너지의 필요성으로부터 한냉지용(寒冷地用)을 중심으로 냉난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고기밀·고단열 주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적은 에너지로 안정된 온습도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 개발에 의하여 가능해져 이제까지 주택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상기한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은 전열교환기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통로와 급기통로를 통하여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교차되면서 배기 및 급기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게 하는 구조로서, 동절기에는 실내의 난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급기되는 차가운 공기를 예열시키는 작용을 하고, 또 하절기의 경우에는 실내의 냉방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급기되는 더운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서 실내를 환기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은 통상 건물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천정 슬라브와 상기 천정 슬리브와는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내장 설치되는 실내의 천정 마감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은 천정 슬라브와 천정 마감재 사이에 전열교환기를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환기구와 급기구에 단순히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급기구에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를 직접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을 때에는 환기 시스템의 설치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천정 슬라브에 하향으로 돌출된 들보에 근접하여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돌출된 환기구와 급기구에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를 직접 연결할 수 없게 되어 환기 시스템의 설치작업에 많은 지장이 초래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의 설치 위치가 들보에 너무 근접하게 설치되어 전열교환기와 들보에 형성되는 공간이 'ㄱ'자형으로 된 엘보우를 삽입시킬 수 없을 때에는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를 연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을 주택건물에 천정에 설치함에 전열교환기가 천정 슬라브에 돌출된 들보에 근접하여 설치될 때에도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급기구에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를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정 슬라브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는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가 연결되는 환기구와 급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배기구와 외부 공기를 실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흡기구가 형성된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 및 급기구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감싸주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챔버 케이스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개구부와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챔버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 플랜지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 플랜지의 양단측에서 돌출되어 전열교환기의 플랜지에 걸림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환기덕트나 급기덕트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 케이스의 돌출부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연결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챔버 케이스 2 : 전열교환기
3 : 환기덕트 4 : 급기덕트
5 : 천정 슬라브 6 : 천정 마감재
11 : 개구부 12 : 돌출부
13 : 부착 플랜지 14 : 걸림돌부
15 : 연결부 16 : 챔버
51 : 들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챔버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챔버 케이스(1)는 그 일측에 전열교환기(2)의 환기구 또는 급기구 중 어느 하나만을 감싼 채 전열교환기(2)에 밀착되는 개구부(11)와, 상기 개구부(11)를 전열교환기(2)에 밀착상태로 부착하였을시 전열교환기(2)의 일측으로 튀어나오게 돌출되는 돌출부(12)가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 케이스(1)의 개구부(11) 주연부에는 전열교환기(2)에 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부착 플랜지(13)의 양단 끝부분 즉, 개구부(11)와 돌출부(12)의 경계부위에 전열교환기(2)의 플랜지에 걸어줄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 돌출된 걸림돌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측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돌출부(12)측은 전열교환기(2) 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개구부보다 두텁게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 끝부분에는 환기덕트(3) 또는 급기덕트(4)를 연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연결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12) 내부에는 개구부(11)와 연결부(15)를 연통시키는 빈 공간의 챔버(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전열교환기(2)를 천정 슬라브(5)와 천정 마감재(6)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 상기 전열교환기(2)의 일측 즉, 환기구(21)와 급기구(22)가 돌출된 부분이 천정 슬라브(5)에 돌출된 들보(5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상태로서 상기 전열교환기(2)와 들보(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매우 좁아 엘보우(도시 없음)를 삽입시킬 수 없을 때에는 덕트배관공사가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와 같이 전열교환기(2)가 들보(51)에 가깝게 설치되어 덕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엘보우를 전열교환기(2)와 들보(51) 사이에 설치할 수 없을 때 환기구(21)와 급기구(22)를 환기덕트(3)와 급기덕트(4)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덕트배관공사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2)의 환기구(21)와 급기구(22)쪽이 들보(51)에 근접하여 설치될 때에는 상기 전열교환기(2)를 천정 슬라브(5)에 부착시키기에 앞서 우선 2개의 챔버 케이스(1)를 전열교환기(2)의 환기구(21)와 급기구(22)를 각각 감싸도록 대칭상으로 부착하는데, 이때 대칭상으로 부착되는 챔버 케이스(1) 각각은 그에 형성된 개구부(11)가 환기구(21) 및 급기구(22)를 각각 수용하도록 하면서 걸림돌부(14)를 전열교환기(2)의 플랜지에 걸림되게 하면서 부착 플랜지(13)를 전열교환기(2)에 밀착시킨 다음 볼트 및 나사못으로 부착 플랜지(13)를 나사조립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열교환기(2)를 천정 슬라브(5)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전열교환기(2)의 환기구(21) 및 급기구(22)를 수용하도록 고정 부착된 챔버 케이스(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2) 끝부분에 형성된 연결부(15)는 들보(51)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엘보우와 같은 덕트연결부재(6a)(6b)를 연결부(15)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 케이스(1)의 연결부(15)에 연결된 덕트연결부재(6a)(6b)를 상기 들보(51) 밑으로 배관되는 환기덕트(3) 및 급기덕트(4) 각각에 연결시키게 되면 전열교환기(2)의 환기구(21)는 챔버 케이스(1)와 일측 덕트연결부재(6a)에 의하여 환기덕트(3)에 연결되고, 또 급기구(22)는 챔버 케이스(1)와 타측 덕트연결부재(6b)에 의하여 급기덕트(4)에 연결되므로서 환기 시스템의 덕트배관공사를 순조롭게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챔버 케이스(1)의 개구부(11)측 두께를 전기한 실시예의 개구부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 것으로, 이 실시예의 챔버 케이스(1)는 상기 전열교환기(2)가 들보(51)에 너무 가깝게 설치되어 전열교환기(2)와 들보(51)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을 때 상기 챔버 케이스(1)의 개구부(11)가 전열교환기(2)와 들보(51) 사이의 좁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서 환기구(21)와 환기덕트(3) 및 급기구(22)와 급기덕트(4)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전열교환기(2)에는 환기구(21)로 환기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23)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급기구(22)로 공급하는 흡기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주택건물의 천정에 전열교환기의 환기 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 천정 슬라브에 고정 설치되는 전열교환기의 환기구 및 급기구측이 들보에 근접하여 설치될 때 상기한 환기구 및 급기구를 수용하는 챔버 케이스를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미리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전열교환기의 환기구 및 급기구를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환기 시스템의 환기 및 급기덕트의 배관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천정 슬라브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는 환기덕트 및 급기덕트가 연결되는 환기구와 급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배기구와 외부 공기를 실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흡기구가 형성된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 및 급기구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감싸면서 전열교환기에 밀착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챔버 케이스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개구부와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챔버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어 전열교환기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 플랜지와;
    상기 챔버 케이스의 개구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 플랜지의 양단측에서 돌출되어 전열교환기의 플랜지에 걸림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환기덕트나 급기덕트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 케이스의 돌출부 끝부분에서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KR2020010010977U 2001-04-18 2001-04-18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KR200241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77U KR200241660Y1 (ko) 2001-04-18 2001-04-18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77U KR200241660Y1 (ko) 2001-04-18 2001-04-18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60Y1 true KR200241660Y1 (ko) 2001-10-26

Family

ID=7309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977U KR200241660Y1 (ko) 2001-04-18 2001-04-18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0392A1 (en) Ventilation terminal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KR200241660Y1 (ko) 전열교환기의 덕트 연결용 챔버 케이스
CN217693944U (zh) 一种大容积中央空调散热型正压防爆柜
JP3002962B2 (ja) 住宅における換気暖房システム
KR200241661Y1 (ko)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JP7478586B2 (ja) 給気制御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2001012763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JPS5938490B2 (ja) 住宅用換気装置
JP2995028B2 (ja) 室内暖房構造
JP3133198B2 (ja) 空気調和機のユニット形気化式加湿器
JPH07208797A (ja) 空気調和機
CZ20002425A3 (en) Ventilation unit
US20080202617A1 (en) Air supply pipe
JP3558241B2 (ja) 高気密高断熱住宅の換気暖房システム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EP2017538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welling hause
JPS622423Y2 (ko)
KR100240842B1 (ko) 통합 천장 설비 시스템
JPH09269141A (ja) ダクト式空調装置
JPH11108394A (ja) 空調システム
JPH10266351A (ja) 空調換気システムと、この空調換気システムが取り付けられたユニット建物および住宅
KR200214357Y1 (ko) 냉난방용 공기배출 확산구
JP4017284B2 (ja) 浴室暖房機
AU2006272443B2 (en) Temperature modulating apparatus
JP2596318Y2 (ja) 空調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