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40Y1 -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 Google Patents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40Y1
KR200241440Y1 KR2020010013161U KR20010013161U KR200241440Y1 KR 200241440 Y1 KR200241440 Y1 KR 200241440Y1 KR 2020010013161 U KR2020010013161 U KR 2020010013161U KR 20010013161 U KR20010013161 U KR 20010013161U KR 200241440 Y1 KR200241440 Y1 KR 200241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ire
hollow
gas supply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묵
Original Assignee
강기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묵 filed Critical 강기묵
Priority to KR2020010013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40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관(10) 내에 전장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15); 연결관(10)의 일단(10a)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5)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16); 및 연결관(10)의 타단(10b)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50)의 내주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5)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가스안전밸브(51)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connecting tube provided with a gas safety valve}
본 고안은 연결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서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가스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하는중에, 상기 차량이 이동되어, 상기 연결관이 해체 또는 파손되어서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있는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대한 통상의 가스공급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서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가스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연결관(1)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2)의 유출구(2a)에 일단(1a)이 탈착가능하도록 연결구(8)가 상기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1b)이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3)의 유입구(3a)에 형성된 플랜지(4)와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타단에 플랜지(5)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와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 사이의 거리는 길고, 가변적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1')과 그리고 상기 다수의 관(1')을 연결하는 다수의 관절부(6)를 가지고 있으며, 이 관절부(6)들 각각은 베어링(7)을 내장하여 상기 관(1')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수의 관(1')들이 겹쳐질 수 있게 되어서,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될 수 있으며, 보관 및 이동이 또한 용이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2)에서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3)에 가스를 연결관(1)을 통하여 공급하는 중에, 차량 운전자가 부주의하게차량을 출발시키거나, 차량의 이동잠금수단에 고장이 발생되어 차량이 이동되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연결관(1)이 파손되거나, 상기 가스저장탱크(3) 또는 상기 가스공급탱크(2)와의 연결이 해제되어서,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있는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어, 가스충전소 부근의 화재를 유발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서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가스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하는 중에, 상기 연결관이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대한 연결이 부주의하게 해제되어도,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송 가능한 가스 공급탱크와 고정형 가스 저장탱크를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관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이송 가능한 가스 공급탱크와 고정형 가스 저장탱크를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 고안의 연결관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연결관 내의 가스공급탱크측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 고정구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연결관의 가스저장탱크측에 형성된 플랜지 내에 장착되어 있는 가스안전밸브에 대한 저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와이어의 고정구와 도 4의 가스안전밸브가 와이어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이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플랜지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관에 있어서, 연결관 내에 전장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연결관의 일단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 및 연결관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의 내주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가스안전밸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가스안전밸브는 가스저장탱크측에 큰 중공원통형부 그리고 가스공급탱크측에 작은 중공원통형부를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큰 중공원통형부 내주면 복수 개소에 일정 간격을 갖고서 돌출 되어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중공원통형부들 간의 직경 차로 인하여 형성된 계단부에 시트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은 중공원통형부의 가스공급탱크측이 연결관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끼워져서 가스공급압에 저항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 및 상기 탄성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이송 가능한 가스 공급탱크와 고정형 가스 저장탱크를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 고안의 연결관에 대한 개략도 이고, 도 3은 도 2의 연결관 내의 가스공급탱크측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고정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연결관의 가스저장탱크측에 형성된 플랜지 내에 장착되어 있는 가스안전밸브에 대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와이어의 고정구와 도 4의 가스안전밸브가 와이어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에 도시된 연결관(10)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종래의 연결관과 같이,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20)의 유출구(20a)에 일단(10a)이 탈착가능하도록 연결구(80)가 상기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10b)이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30)의 유입구(30a)에 형성된 플랜지(40)와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타단에 플랜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0)은 종래의 연결관과 같이, 다수의 관(10')과 그리고 상기 다수의 관(10')을 연결하는 다수의 관절부(60)를 가지고 있으며, 이관절부(60)들 각각은 베어링(70)을 내장하여 상기 관(10')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수의 관(10')들이 겹쳐질 수 있게 되어서,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될 수 있으며, 보관 및 이동이 또한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0) 내에는 전장에 걸쳐 와이어(1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5)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0)의 일단(10a)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와이어 고정구(16)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연결관(10)의 타단(10b)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50)의 내주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가스안전밸브(5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구(16)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중공형 원통형부(16a); 상기 와이어(15)와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고, 가스공급탱크측의 단부가 폐쇄되어 상기 중공형 원통형부(16a)내에 배치되는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 상기 제 1 및 제 2 중공형 원통형부(16a, 16b)를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해, 가스공급탱크측에서 일단이 상기 제 1중공형 원통형부(16a)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2개의 고정봉(16c), 그리고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의 내부 공간에 일단이 억지끼워맞춤되어 삽입되는 와이어(15)를 2개의 볼트(16e)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 외주부에 일정 간격 두고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2개의 횡방향 관통구멍(16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랜지(50)의 내주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가스안전밸브(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저장탱크측에 큰 중공원통형부(55a) 그리고 가스공급탱크입구 측에 작은 중공원통형부(55b)를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큰 중공원통형부(55a) 내주면 4개소에 일정 간격을 갖고서 돌출 되어 형성된 슬라이드홈(55c)을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중공원통형부(55a, 55b)들간의 직경 차로 인하여 형성된 계단부(55d)에 시트부(55e)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은 중공원통형부(55b)의 가스공급탱크측이 연결관(10)의 타단(10b)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55); 상기 하우징(55)의 내부에 형성된 계단부(55d)에 형성된 시트부(55e)에 착좌(seat)되어 상기 연결관(10)을 가스저장탱크에 대하여 폐쇄하는 다이어프램(52); 상기 다이어프램(5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3);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53)을 수용하도록 오목부(54a)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55c)에 끼워져서 가스공급압에 저항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52) 및 상기 탄성스프링(53)을 지지하는 지지판(5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52)은 가스공급탱크측을 향한 면 중앙에 상기 와이어(15)와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는 중공 원통형 돌출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가스저장탱크측을 향한 면 중앙에 상기 탄성스프링(53)과 상기 지지판(54)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원통형 돌출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 원통형 돌출부(52a)는 중공부에 와이어(15)의 타단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고정시키는 볼트(52d)를 삽입 체결시키기 위한 관통구멍(52c)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돌출부(52b)의 선단부는 너트(52f)와 체결되도록 나사 가공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53)과 상기 지지판(54)을 관통하고 있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52b)는 선단부에 체결된 상기 너트(52f)와의 사이에 와셔(52e)를 개재시켜 상기 탄성스프링(53)과 상기 지지판(54)의 회전운동 및 방사상운동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판(54)은 탄성을 보유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54a) 및 그 절결부 양측에 작은 관통구멍(54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10)은 가스저장탱크(30)에 대한 가스의 충전 중에 상기 가스공급탱크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이 이동되어 상기 연결관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서 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안전밸브의 다이어프램(52)에 있는 와셔(52e)가 변형되면서 지지판(54)의 중앙 중공부로 이동되고, 탄성스프링(53)의 탄성작용에 의해 가스안전밸브의 하우징에 형성된 시트부에 상기 다이어프램(52)이 착좌되어서, 상기 가스저장탱크와 상기 가스공급탱크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한 상기 가스저장탱크에서의 가스방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서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가스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하는 중에, 상기 연결관이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대한 연결이 부주의하게 해제되어도,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을 제공하여 가스충전소의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일단이 차량에 탑재된 가스공급탱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가스충전소에 매립된 가스저장탱크에 플랜지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관에 있어서,
    연결관(10) 내에 전장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15);
    연결관(10)의 일단(10a)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5)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16); 및
    연결관(10)의 타단(10b)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50)의 내주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5)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가스안전밸브(51)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가스안전밸브(51)는 가스저장탱크측에 큰 중공원통형부(55a) 그리고 가스공급탱크측에 작은 중공원통형부(55b)를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큰 중공원통형부(55a) 내주면 복수 개소에 일정 간격을 갖고서 돌출 되어 형성된 슬라이드홈(55c)을 일체로 가지고 있고, 상기 중공원통형부(55a, 55b)들간의 직경차로 인하여 형성된 계단부(55d)에 시트부(55e)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은 중공원통형부(55b)의 가스공급탱크측이 연결관(10)의 타단(10b)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55);
    상기 하우징(55)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15)의 타단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다이어프램(52);
    상기 다이어프램(5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3);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53)을 수용하도록 오목부(54a)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55c)에 끼워져서 가스공급압에 저항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52) 및 상기 탄성스프링(53)을 지지하는 지지판(54)과 와셔(52e)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16)는,
    제 1중공형 원통형부(16a);
    상기 와이어(15)와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고, 가스공급탱크측의 단부가 폐쇄되어 상기 중공형 원통형부(16a)내에 배치되는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
    상기 제 1 및 제 2 중공형 원통형부(16a, 16b)를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해, 가스공급탱크측에서 일단이 상기 제 1중공형 원통형부(16a)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2개의 고정봉(16c); 그리고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의 내부 공간에 일단이 억지끼워맞춤되어 삽입되는 와이어(15)를 볼트(16e)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 2중공형 원통형부(16b) 외주부에 일정 간격 두고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2개의 횡방향 관통구멍(16d)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이어프램(52)의 상기 고정수단은 가스공급탱크측을 향한 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5)와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는 중공 원통형 돌출부(52a)이며,
    상기 중공 원통형 돌출부(52a)는 중공부에 와이어(15)의 타단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고정시키는 볼트(52d)를 삽입 체결시키기 위한 관통구멍(52c)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KR2020010013161U 2001-05-07 2001-05-07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KR200241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61U KR200241440Y1 (ko) 2001-05-07 2001-05-07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61U KR200241440Y1 (ko) 2001-05-07 2001-05-07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440Y1 true KR200241440Y1 (ko) 2001-10-12

Family

ID=7310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61U KR200241440Y1 (ko) 2001-05-07 2001-05-07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537A (en) Small-diameter pipe connector
KR920006405B1 (ko) 소구경 파이프의 접속용 커넥터
KR920005028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조인트
US20060175832A1 (en) Coupler
BRPI0613996A2 (pt) acoplamento de tubo
JPH0459511B2 (ko)
US5094481A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JP5455256B2 (ja) 壁貫通孔の領域における導管用管継手ならびに壁部材
KR200241440Y1 (ko)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KR100380040B1 (ko)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US5636517A (en) Brake booster
US6769673B2 (en) Apparatus for the gasification of liquids
US6871882B2 (en) Ball-and-socket fluid coupling with primary and secondary retainer structures
JPH0885444A (ja) ブレーキ用倍力装置
JPH09286318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06183866A (ja) アダプターを有する流体用クイックコネクタ
EP0846909B1 (en) Damping eccentric element for hydraulic systems
EP1137894A2 (en) Connection cartridge for air tanks
JP7433678B2 (ja) パイプ分岐用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KR100708910B1 (ko) 커플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JP3129513B2 (ja) 細径配管接続コネクター
JP2001140812A (ja) 流体式アクチュエータの配管接続構造
US6394503B1 (en) System for securing tubing
JPH09229276A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2006258155A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