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944Y1 - 포켓식 앨범 대지 - Google Patents

포켓식 앨범 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944Y1
KR200240944Y1 KR2020010014738U KR20010014738U KR200240944Y1 KR 200240944 Y1 KR200240944 Y1 KR 200240944Y1 KR 2020010014738 U KR2020010014738 U KR 2020010014738U KR 20010014738 U KR20010014738 U KR 20010014738U KR 200240944 Y1 KR200240944 Y1 KR 200240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transparent film
embossing
paper
book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권
Original Assignee
황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미경 filed Critical 황미경
Priority to KR2020010014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944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켓식 앨범 대지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와, 사진을 끼우도록 투명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된 포켓부를 가진 포켓식 앨범 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연장되어 상기 제본부를 덮고, 상기 제본부와 상기 포켓부의 경계부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엠보싱 띠(38)를 이루되, 상기 엠보싱 띠는 원지와 투명필름 사이에 접착층(48)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지가 얇더라도 엠보싱 띠의 강도가 높고 대지를 넘길 때에 원활하게 구부려지는 효과가 있으며, 투명필름을 원지에 부착하는 부위에는 점착제를 사용하여도 엠보싱 띠가 투명필름을 잡아 주므로 사진 등을 용이하게 포켓 내에 배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켓식 앨범 대지{pasteboard for a pocket type album}
본 고안은 포켓식 앨범 대지에 관한 것이다.
사진을 배열/보관할 수 있는 앨범은 외부의 표지와 이에 제본된 종이나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을 합성한 다수의 앨범 대지로 구성되고, 상기 앨범 대지는 코너식, 자착식, 포켓식으로 나누어 진다.
종래 상기 포켓식 앨범 대지는, 두겹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중간에 불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가진 세겹의 필름을 열 접착하여 제조하거나, 종이의 양면에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부분 접착한 구조이다. 상기 포켓식 앨범 대지는 빠른 시간 내에 사진들을 배열하고 사진들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된다.
종래 포켓식 앨범대지의 하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대지(10)는,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12)와, 사진을 끼우도록 투명필름(14)이 부착되어 형성된 포켓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본부(12)와 상기 포켓부(16)의 경계부에는 제본후 대지를 용이하게 접혀 넘기도록 엠보싱 띠(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본부(12)에는 바인더의 핀(도시 안됨)이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12a)이 상기 엠보싱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16)는 원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22)에 상기 투명필름(14)이 접착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포켓부(16)의 입구는 상기 엠보싱 띠 측으로 트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22)는 다수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중간에 형성되어 칸막이의 역할을 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엠보싱띠(18)는 상기 원지(20)에 파형단면으로 줄무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앨범 대지(10)는 다수개를 모아서 구멍(12a)을 통하여, 바인더를 결합하여 철하게 되는데, 포켓부(16)를 잡고 넘기면 엠보싱 띠(18) 부분이 구부려져 앨범 대지(10)를 용이하게 넘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포켓식 앨범대지에 의하면, 원지(20)에만 엠보싱이 형성되므로 종이의 중량(두께)이 150 g/m2이상으로 두꺼워야 하며, 또한 엠보싱이 약하게 형성되면 대지를 넘기기가 힘들게 되고, 엠보싱이 너무 강하게 형성되거나 종이의 강도가 약하면 원지가 파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지가 얇더라도 엠보싱 띠의 강도가 높고 대지를 넘길 때에 원활하게 구부려지는 포켓식 앨범 대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포켓식 앨범 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 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 다수개를 제본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 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 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8에서 화살표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앨범 대지 32 : 제본부
36 : 포켓부 38 : 엠보싱 띠
40 : 원지 42 : 투명필름
44, 46 : 접착부 48 : 접착층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앨범 대지는,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와, 사진을 끼우도록 투명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된 포켓부를 가진 포켓식 앨범 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연장되어 상기 제본부를 덮고, 상기 제본부와 상기 포켓부의 경계부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엠보싱 띠를 이루되, 상기 엠보싱 띠는 원지와 투명필름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부의 입구는, 상기 엠보싱 띠에 직각방향 측으로 트이거나, 상기엠보싱 띠에 평행한 방향 측으로 트여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대지(30)는,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32)와, 사진을 끼우는 포켓부(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본부(32)와 상기 포켓부(36)의 경계부에는 제본후 대지를 용이하게 접혀 넘기도록 엠보싱 띠(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36)는 원지(40)의 양측에 투명필름(42)이 부착되어 포켓을 이루는데, 이 투명필름(42)은 상기 제본부(32)까지 연장되어 원지(40)를 거의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상기 제본부(32)에는 바인더의 핀(도5에 도시)이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32a)이 상기 엠보싱 띠(3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본부(32)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36)의 입구(E)는 상기 엠보싱 띠(38)에 직각방향 측으로 트여 있는데, 상기 입구(E)측을 제외한 나머지 3방향 변에는 상기 접착부(44)와 함께 ㄷ자를 이루는 접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 띠(38)는 원지(40)와 투명필름(42)사이에 접착층(48)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엠보싱 로라를 통과하면서 상기 원지(40)와 투명필름(42)이 파형단면으로 압착하면서 줄무늬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대지(30)의 상측 즉, 상기 포켓부(36)의 입구라인과 원지의 끝단 사이폭(W)에는 메모지 등을 부착하여 메모하도록 노출된 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원지(40)는 인쇄용지나 양면의 색이 동일한 카드보드이다. 상기 원지(40)는 색지, 인쇄된 용지, 특수지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지의 양측면에 투명필름이 부착된 구조이나, 상기 투명필름(42)은 상기 원지(40)의 일측면에만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필름(42)의 재질은 PVC로 할 수도 있으나, 인열강도가 높고 공해가 적으며 경제적인 폴리플로필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44)(46)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44)(46) 및 접착층(48)에 사용되는 접착제(또는 점착제)는 훗 맬트 타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타입의 접착제(또는 점착제)는 원지에 흡수되는 정도가 다르고 원지가 우는 결함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앨범 대지(3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를 모아서 상기 구멍(12a)에 바인더(50)의 핀(52)을 통과시켜 철하게 된다.
사용시 사용자는 상기 앨범 대지(30)의 포켓부(36)를 잡고 넘기게 되는데, 이때 엠보싱 띠(38) 부분이 구부려져 앨범 대지(30)를 용이하게 넘길 수 있게 된다.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대지(130)는,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132)와, 사진을 끼우는 포켓부(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제본부(132)와 상기 포켓부(136)의 경계부에는 제본후 대지를 용이하게 접혀 넘기도록 엠보싱 띠(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136)는 원지(140)의 양측에 투명필름(142)이 부착되어 포켓을 이루는데, 이 투명필름(142)은 상기 제본부(132)까지 연장되어 원지(140)를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즉, 상기 투명필름(142)은 원지와 동일한 폭과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제본부(132)에는 바인더의 핀(도5에 도시)이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132a)이 상기 엠보싱 띠(13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본부(132)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36)의 입구(E')는 상기 엠보싱 띠(138)에 평행한 방향으로 투명필름을 절개한 절개선에 의해 엠보싱 띠측으로 트여 있는데, 상기 입구(E')측을 제외한 나머지 3방향 변에는 ㄷ자를 이루는 접착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 띠(138)는 원지(140)와 투명필름(142)사이에 접착층(148)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엠보싱 로라를 통과하면서 상기 원지(140)와 투명필름(142)이 파형단면으로 압착하면서 줄무늬를 이루며 형성된다.
도8 및 도9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대지(230)는,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232)와, 사진을 끼우는 포켓부(2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본부(232)와 상기 포켓부(236)의 경계부에는 제본후 대지를 용이하게 접혀 넘기도록 엠보싱 띠(2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236)는 원지(240)의 양측에 투명필름(242)이 부착되어 포켓을 이루는데, 이 투명필름(242)은 상기 제본부(232)까지 연장되어 원지(240)를 거의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상기 제본부(232)에는 바인더의 핀(도5에 도시)이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232a)이 상기 엠보싱 띠(23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본부(232)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236)의 입구(E')는 상기 엠보싱 띠(238)에 평행한 방향우측(도8에서 볼때)으로 트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E')측을 제외한 나머지 3방향 변에는 상기 접착부(244)와 함께 ㄷ자를 이루는 접착부(2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 띠(238)는 원지(240)와 투명필름(242)사이에 접착층(248)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엠보싱 로라를 통과하면서 상기 원지(240)와 투명필름(242)이 파형단면으로 압착하면서 줄무늬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대지(230)의 우측 즉, 상기 포켓부(236)의 입구라인과 원지의 끝단 사이 폭(W1)에는 메모지 등을 부착하여 메모하도록 노출된 면을 이루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에 의하면, 원지와 투명필름을 함께 엠보싱하되 원지와 투명필름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엠보싱하므로, 원지가 얇더라도 엠보싱 띠의 강도가 높고 대지를 넘길 때에 원활하게 구부려지는 효과가 있으며, 투명필름을 원지에 부착하는 부위에는 점착제를 사용하여도 엠보싱 띠가 투명필름을 잡아 주므로 사진 등을 포켓내에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제본부와, 사진을 끼우도록 투명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된 포켓부를 가진 포켓식 앨범 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연장되어 상기 제본부를 덮고, 상기 제본부와 상기 포켓부의 경계부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엠보싱 띠를 이루되,
    상기 엠보싱 띠는 원지와 투명필름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입구는, 상기 엠보싱 띠에 직각방향 측으로 트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입구는, 상기 엠보싱 띠에 평행한 방향 측으로 트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KR2020010014738U 2001-05-19 2001-05-19 포켓식 앨범 대지 KR200240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38U KR200240944Y1 (ko) 2001-05-19 2001-05-19 포켓식 앨범 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38U KR200240944Y1 (ko) 2001-05-19 2001-05-19 포켓식 앨범 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944Y1 true KR200240944Y1 (ko) 2001-10-15

Family

ID=7310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38U KR200240944Y1 (ko) 2001-05-19 2001-05-19 포켓식 앨범 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59B1 (ko) * 2008-04-03 2009-09-16 전영찬 폴딩라인이 형성된 복사용지 및 제본물
KR100996432B1 (ko) 2010-02-10 2010-11-25 서덕운 책자형 사진앨범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59B1 (ko) * 2008-04-03 2009-09-16 전영찬 폴딩라인이 형성된 복사용지 및 제본물
KR100996432B1 (ko) 2010-02-10 2010-11-25 서덕운 책자형 사진앨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078A (en) Protective book cover
KR100196971B1 (ko) 절첩식 시트 제품
DE69708088T2 (de) Ordner mit einer tasche
US4758022A (en) Writing tablet with two-ply cover
CA2095586A1 (en) Pressure seal - eccentric z-fold library envelope
US5472237A (en) Adjustable book cover
KR200240944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EP0450216A1 (en) File folder
JPH0215663Y2 (ko)
JP4514924B2 (ja) 冊子状に開封できる封書
KR200278201Y1 (ko) 앨범 대지의 제본 구조
JPH0354927Y2 (ko)
KR0117145Y1 (ko) 앨범
GB2075915A (en) Book jacket
JP2551659Y2 (ja) ファイル表紙
JPS6039900Y2 (ja) 袋とじ地図帳
KR200234058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JPS6127754Y2 (ko)
JPS5935995A (ja)
JPH02280Y2 (ko)
JP2003025770A (ja) カード台紙
JPS5916205Y2 (ja) ブツクカバ−
JPS6113331Y2 (ko)
CA1221599A (en) Folders for documents
JPH051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