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58Y1 - 포켓식 앨범 대지 - Google Patents

포켓식 앨범 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58Y1
KR200234058Y1 KR2020010007019U KR20010007019U KR200234058Y1 KR 200234058 Y1 KR200234058 Y1 KR 200234058Y1 KR 2020010007019 U KR2020010007019 U KR 2020010007019U KR 20010007019 U KR20010007019 U KR 20010007019U KR 200234058 Y1 KR200234058 Y1 KR 200234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ransparent film
pocket
paper
b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권
Original Assignee
황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미경 filed Critical 황미경
Priority to KR2020010007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58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켓식 앨범 대지에 관한 것으로서, 원지의 표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원지와 투명필름 사이에 사진을 끼워 넣어 보관하는 포켓식 앨범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접착부(14)(14`)(16)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부는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18)(18')(20)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므로, 투명필름의 접착부가 약간 떨어지더라도 포켓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투명필름의 접착시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지 및 필름이 비정상적으로 구겨지지 않게 하고, 사진을 포켓의 내부에 자유로운 방향으로 배치하여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켓식 앨범 대지{pasteboard for a pocket type album}
본 고안은 포켓식 앨범 대지에 관한 것이다.
사진을 배열/보관할 수 있는 앨범은 외부의 표지와 이에 제본된 종이나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을 합성한 다수의 앨범 대지로 구성되고, 상기 앨범 대지는 코너식, 자착식, 포켓식으로 나누어 진다.
종래 상기 포켓식 앨범 대지는, 두겹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중간에 불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가진 세겹의 필름을 열 접착하여 제조하거나, 종이의 양면에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부분 접착한 구조이다. 상기 포켓식 앨범 대지는 빠른 시간 내에 사진들을 배열하고 사진들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된다.
종래 포켓식 앨범대지의 하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지(1)의 표면에는 투명필름(2)이 결합되는데, 상기 투명필름(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1접착부(3)(3`)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필름(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2접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착부와 제2접착부는 대체로 상기 투명필름의 변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원지(1)와 투명필름(2) 사이에 사진을 끼울 때는, 상기 투명필름을 약간 들어 상기 원지와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사진을 밀어 넣게 된다.
그런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포켓식 앨범 대지에 있어서는, 사진을 끼울 때 투명필름(2)을 과도하게 들게 되면 접착부가 떨어지게 되고, 한번 떨어진 접착부는 다시 붙지 않게 되어 포켓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명필름을 원지에 접착할 때 접착제가 번지게 되어, 원지 및 필름이 비정상적으로 구겨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투명필름의 접착부가 약간 떨어지더라도 포켓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명필름의 접착시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켓식 앨범대지는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진을 포켓의 내부에 자유로운 방향으로 배치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포켓식 앨범 대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 및 도5는 도3의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에 사진이 배열된 상태도,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 및 이에 사진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0은 도9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11 내지 도15는 도9의 포켓식 앨범대지에 사진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지 12 : 투명필름
14, 14` : 제1접착부 16 : 제2접착부
18, 18` : 제1점착부 20 : 제2점착부
22 : 중간점착부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앨범 대지는, 원지의 표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원지와 투명필름 사이에 사진을 끼워 넣어 보관하는 포켓식 앨범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접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부는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에 의해 둘러 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필름의 중간부에는 포켓에 삽입되는 사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중간점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점착부는 다수개로 되어 있고, 이 다수의 중간점착부는 사진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정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을 끼우는 입구방향측을 '상측'이라 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지(10)의 표면에는 투명필름(12)이 결합되고, 상기 원지(10)의 표면과 투명필름(12)의 표면 사이에는 사진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투명필름(1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공지의 접착제(permanent glue)에 의해 접착된 제1접착부(14)(14')가 원지의 길이(L)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필름(1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공지의 접착제(permanent glue)에 의해 접착된 제2접착부(16)가 원지의 폭(W)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접착부(14)(14`)는 공지의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가 도포된 제1점착부(18)(18')에 의해 둘러 싸이고, 상기 제2접착부(16)는 공지의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가 도포된 제2점착부(20)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점착제는 핫 멜트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지(10)는 인쇄용지나 양면의 색이 동일한 카드보드이다. 상기 원지(10)는 색지, 인쇄된 용지, 특수지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은 상기 원지(10)의 일측면에만 부착되거나, 원지의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지의 양측면에 투명필름이 부착되는데, 상기 원지(10)의 타측면에 부착된 투명필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투명필름(12)은 원지(10)의 폭(W)과 동일한 폭으로 되고, 그 재질을PVC로 할 수도 있으나 인열강도가 높고 공해가 적으며 경제적인 폴리플로필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착부(14)(14`)와 제2접착부(16)는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제1접착부(14)(14`)와 제2접착부(16)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점착부(18)(18')와 제2점착부(20)도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분리되어 있으나,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투명필름(1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제2접착부(16)의 주위에 점착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에서는, 사진을 끼울 때 투명필름을 과도하게 들어 제1접착부가 떨어지더라도 투명필름은 제1점착부를 통해 다시 붙게 되므로 포켓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앨범대지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접착제(permanent glue)는 수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제2접착부(14)(16)를 둘러 싸고 있는 제1, 제2점착부(18)(20)의 점착제는, 수성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막아 주므로 원지 및 필름이 비정상적으로 구겨지는 현상('우는 현상'이라고도 함)을 방지한다. 이때, 수성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는 핫 멜트 점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필름(12)의 중간부에는 포켓에 삽입되는 사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공지의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가 도포된중간점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점착부(2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두개의 중간점착부(22)(22)가 사진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중간점착부에 의해 두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져 그 양측에 각각 포켓(S1)(S2)이 형성된 구조이다. 나머지 구성은 도2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3의 실시예의 포켓식 앨범대지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포켓에 각각 제1사진(P1)(P1)을 끼워 배열하거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사진(P2)을 양 포켓에 걸쳐 배열한다. 도5와 같이 배열된 사진(P3)은 사진의 뒷면이 중간점착부에 점착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사진을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도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지(110)의 폭(W1)이 큰 앨범에서는 원지의 길이(L1) 방향으로 다수의 중간점착부(122)를 2열로 배열하여 3개의 포켓(S3)(S4)(S5)을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사진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즉, 도6에서는 제3사진(P3)를 원지(110)의 폭(W1) 방향으로 배열하여 제3사진(P3)의 뒷면이 2열의 중간 점착부(122)에 점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고, 도7에서는 하나의 포켓(S3)에는 상기 제1사진(P1)이 끼워져 배열되고 다른 두개의 포켓(S4)(S5)에는 상기 제2사진(P2)의 뒷면이 중간 점착부(122)에 점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며, 도8에는 상기 제2사진(P2)이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중간점착부(122)에 그 뒷면이 점착된다.
상기 도6 내지 도8에서, 투명필름(112), 제1접착부(114)(114`) 및 제2접착부(116), 제1점착부(118)(118') 및 제2점착부(120)는 도3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3 내지 도8의 구성에서, 상기 중간점착부(22)(122)는 직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나, 둥근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9 및 도10은 원지의 길이 방향으로 투명필름이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배열된 대지에 본 고안의 적용된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지(210)의 표면에는 원지의 길이(L2) 방향을 따라 3단으로 투명필름(212)(312)(412)가 배열된다.
상기 각 투명필름(212)(312)(41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공지의 접착제(permanent glue)에 의해 접착된 제1접착부(214, 214') (314, 314') (414, 414')가 원지의 길이(L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필름(41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공지의 접착제(permanent glue)에 의해 접착된 제2접착부(416)가 원지의 폭(W2)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접착부(214, 214') (314, 314') (414, 414')는 공지의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가 도포된 제1점착부(218, 218`) (318, 318') (418, 418`)에 의해 둘러 싸이고, 상기 제2접착부(416)는 공지의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가 도포된 제2점착부(420)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투명필름(212)(312)의 하측에는 상기 제1점착부(218, 218`) (318, 318')에 정렬하여 내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점착제(pressure-sensitive glue)에 의해 점착 연장된 제2점착부(220, 220`) (320, 320')가 형성되어, 투명필름의 양측 제1점착부(218, 218`) (318, 318') 사이로 사진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원지(210) 및 투명필름(212)(312)(412)의 폭(W2)이 좁고 사진을 원지의길이(L2) 방향으로 한줄로 배열하고자 하면, 상기 제2점착부만 형성하여 사진의 하측으로 받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원지(210) 및 투명필름(212)(312)(412)의 폭(W2)이 길고 사진을 원지의 길이 방향으로 두줄로 배열하고자 하면, 상기 투명필름(212)(312)의 제2점착부(220, 220`) (320, 320')사이 중간에는 소정길이의 제3점착부(221)(321)를 정렬/형성한다.
상기 투명필름(312)에 형성된 제2, 제3점착부(320)(320`)(321)은 투명필름(212)에 형성된 제2, 제3점착부(220)(220')(221)보다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필름(212)(312)의 제3점착부(221)(321)의 상측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중간점착부(222)(322)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필름(412)의 제2점착부(420)의 중간 상측에도 점착제가 도포된 중간점착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점착부는 원지에 점착제가 도포되며, 사진의 가장자리를 잡아 주거나 사진이 이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2개의 투명필름 중에서 하측에 배열된 투명필름의 상측가장자리는, 상측에 배열된 투명필름의 하측가장자리 위로 겹쳐지게 연장되는 겹침부(D)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겹침부(D)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투명필름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사진이 끼워지는 중에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9의 실시예의 포켓식 앨범대지에 사진이 끼워져 배열된 상태가 도11 내지 도15에 도시되어 있다.
도11에서는 상측의 투명필름(212)내에는 파노라마 사진인 제4사진(P4)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중간의 투명필름(312)내의 좌측에는 상기 제4사진의 반보다 큰 제5사진(P5)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하측의 투명필름(412)내의 좌측에는 상기 제5사진보다 약간 작은 제6사진(P6)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투명필름(312)의 우측과 투명필름(412)의 우측에는 상기 제5사진 크기의 제7사진(P7)의 긴쪽이 원지(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7사진(P7)은 투명필름(312)의 상측에서 끼우면 겹침부(D)에 의해 사진이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끼워지며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4, 제5, 제6사진(P4)(P5)(P6)은 중간점착부(222)(322)(422)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각 사진은 각 투명필름의 하측에 형성된 제2점착부에 의해 받쳐진다.
도12에서는 상측의 투명필름(212)내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6사진(P6)(P6)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투명필름(312) 및 투명필름(412)의 좌우측에는 상하로 걸쳐 상기 제7사진(P7)의 긴쪽이 원지(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13에서는 제6사진(P6)의 긴쪽이 투명필름(212)(312)(412)의 각각의 좌우측에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6사진(P6)은 중간점착부(222)(322)(422)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도14에서는 상측의 투명필름(212)의 좌측에는 제6사진(P6)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투명필름(212)(312)(412)의 우측에는 파노라마 사진 크기의 제8사진(P8)의 긴쪽이 상하로 걸쳐 원지(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투명필름(312)(412)의 좌측에는 제5사진 크기의 제9사진(P9)의 긴쪽이 상하로 걸쳐 원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15에서는 투명필름(212)(312)(412)의 각 좌측에는 중간점착부를 가리는 제10사진(P10)의 긴쪽이 원지(210)의 폭방향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고, 투명필름(212)(312)(412)의 우측에는 상기 제11사진(P11)의 긴쪽이 상하로 걸쳐 원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도11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필름을 3단으로 구성한 포켓식 앨범대지에는 다양한 크기의 사진을 원지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열하고 점착제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앨범대지에 의하면, 투명필름의 접착부가 약간 떨어지더라도 포켓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투명필름의 접착시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지 및 필름이 비정상적으로 구겨지지 않게 하고, 사진을 포켓의 내부에 자유로운 방향으로 배치하여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원지의 표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원지와 투명필름 사이에 사진을 끼워 넣어 보관하는 포켓식 앨범대지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접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부는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에 의해 둘러 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의 중간부에는 포켓에 삽입되는 사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중간점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점착부는 다수개로 되어 있고, 이 다수의 중간점착부는 사진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앨범대지.
KR2020010007019U 2001-03-15 2001-03-15 포켓식 앨범 대지 KR200234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19U KR200234058Y1 (ko) 2001-03-15 2001-03-15 포켓식 앨범 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19U KR200234058Y1 (ko) 2001-03-15 2001-03-15 포켓식 앨범 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58Y1 true KR200234058Y1 (ko) 2001-10-08

Family

ID=730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019U KR200234058Y1 (ko) 2001-03-15 2001-03-15 포켓식 앨범 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1262B2 (en) Album slip case with display retainer
US6401376B2 (en) Frame type photograph mounting assembly
WO2006020379A1 (en) Album page for displaying planar articles
KR200234058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US7290365B1 (en) 12×12 photograph insert page
US5275286A (en) Photo display package
US6389724B1 (en) Photograph mounting assembly
US6068298A (en) Loose-leaf sheet for a transparency storage book
US6511245B1 (en) Photograph album page and system
KR200166170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KR200240944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JPH0247029Y2 (ko)
JP2503470Y2 (ja) 簡易ホルダ―
KR200291340Y1 (ko) 앨범
JP2591482Y2 (ja) ポケット付き台紙
KR200142119Y1 (ko) 앨범용 내지
JPH06255285A (ja) アルバム用台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67977A (ja) アルバム用台紙
JP2517570Y2 (ja) 現像フイルム保存用台版
JP2005059345A (ja) アルバム
JPS589760B2 (ja) アルバム台紙
KR200270811Y1 (ko) 자착식 앨범 내지
JP2524524Y2 (ja) 見出しラベル積層体
JPH0737900Y2 (ja) ファイル用シート
JP3761354B2 (ja) 板状体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