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40Y1 - 앨범 - Google Patents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40Y1
KR200291340Y1 KR2020020020449U KR20020020449U KR200291340Y1 KR 200291340 Y1 KR200291340 Y1 KR 200291340Y1 KR 2020020020449 U KR2020020020449 U KR 2020020020449U KR 20020020449 U KR20020020449 U KR 20020020449U KR 200291340 Y1 KR200291340 Y1 KR 200291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album
photo
adhesive memb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순
Original Assignee
정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순 filed Critical 정미순
Priority to KR2020020020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40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되는 대지 상에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에서 나타나는 절단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앨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과, 상기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이 연결되도록 최대한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부위에 부착되는 접착부재(34)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그림이나 사진(32) 각각의 배면에 부착되는 대지(40)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 접착되고 대지(40)가 접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의 측면을 감싸고 최상단과 최하단 대지들(40)을 덮는 앨범덮개(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의 절단부위를 최대한 근사치로 밀착시킨 후 절단부위에 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서로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의 배면에 대지를 부착하여 앨범대지를 완성한다. 이에 따라, 앨범을 펼칠 경우에 서로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에서 절단부위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앨범{ALBUM}
본 고안은 앨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되는 대지 상에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에서 나타나는 절단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앨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앨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혀진 다수의 대지들(20)과, 다수의 대지들(20)이 적층된 앨범대지(28)의 측면에 부착되는 접착테이프(24)와, 앨범대지(28)의 상단과 하단 및 측면을 감싸는 앨범덮개(30)를 구비한다.
다수의 대지들(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면지(10, 11, 12)를 각각 반으로 접은 후, 기본면지(10)의 a면과 기본면지(11)의 b면을 접착하여 구성하고, 또 기본면지(11)의 c면과 기본면지(12)의 d면을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기본면지들(10, 11, 12)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철된 대지들(20)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24)를 도포하거나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제본하여 앨범대지(28)를 완성하게 된다. 제본되어 완성된 앨범대지(28)의 상단과 하단 및 측면은 앨범덮개(30)를 이용하여 감싸게 된다.
완성된 앨범대지(28)에 그림이나 사진(22)을 부착하게 된다. 이 때, 사진이나 그림(22)의 폭이 기본면지(10, 11, 12)의 a면, b면, c면 및 d면 각각보다 클 경우에는 사진이나 그림(22)을 기본면지(10, 11, 12)의 a면, b면, c면 및 d면 각각의폭에 맞게 절단되어 부착된다. 이는, 접철된 기본면지(10, 11, 12)의 구부러진 부위에서 발생되는 사진이나 그림(22)에 주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되는 사진이나 그림(22)의 크기는 기본면지(10, 11, 12)의 크기보다 작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앨범은 대지들(20) 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그림이나 사진(22)의 경우에 앨범을 펄칠 경우 앨범의 중심부위에서 경계선이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하여 그림이나 사진(22)을 기본면지(10, 11, 12)보다 작게 절단하여 기본면지(10, 11, 12)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림이나 사진(22) 사이의 갭(W)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앨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이나 사진(22)의 중심부(A)에서 분리영역 즉, 서로 대향하는 대지들(20) 사이의 갭(W)이 발생되어 그림이나 사진의 중간부위가 절단되어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되는 대지 상에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에서 나타나는 절단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앨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앨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혀진 대지들 간의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혀진 대지들의 측면에 부착되는 접착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이 접착부재에 의해 최대한 근접되게 밀착되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접착부재에 의해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에 대지를 부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앨범대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40 : 대지 22, 32 : 그림 또는 사진
24 : 접착재 28, 38 : 앨범대지
30, 50 : 앨범덮개 34 : 접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과, 상기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이 연결되도록 최대한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부분을 덮도록 부착되는 접착부재(34)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서로 연결된 상기 그림이나 사진(32) 각각의 배면에 부착되는 대지(40)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 접착되고 대지(40)가 접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의 측면을 감싸고 최상단과 최하단 대지들(40)을 덮는 앨범덮개(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앨범에서 상기 접착부재(34)는 접착제 및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과,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을 최대한 근사치로 밀착되도록 접착되는 접착부재(34)와, 접착부재(34)에 의해 밀착되어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의 배면에 부착되는 대지들(40)과, 다수의 대지들(40)이 적층된 앨범대지(38) 중 상단에 위치하는 대지(40)의 전면과 하단에 위치하는 대지(40)의 배면을 덮으며 접착부재(34)가 부착된 앨범대지(38)의 측면을 감싸는 앨범덮개(50)를 구비한다.
그림이나 사진(32)은 크기에 따라 절반으로 절단되어 분리된다.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을 펼쳐볼 수 있는 앨범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의 분리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보이도록 분리된 측면을 상호 최대한 근사치로 밀착시킨 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위의 배면에 접착부재(34)를 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은 접착부재(34)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접착부재(34)에 의해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접착부재(34)로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34)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부재(34)에 의해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32)의 배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 각각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대지(40)가 부착된다. 이를 위해, 그림이나 사진(32)의 배면이나 대지(40) 상에는 접착제(35)가 도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림이나 사진(32)의 배면에 부착되는 대지(40)에 의해 휨이나 구겨짐이 보강된다.
이와 같이, 접착부재(34)에 의해 분리부분이 없도록 최대한 밀착되어 연결되고 배면에 대지들(40)이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은 하나의 앨범대지(38)를 구성한다. 이러한, 하나의 앨범대지(38)를 다수개 적층하여 앨범대지(38)를 완성하게 된다. 이 때, 인접한 앨범대지(38)들 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앨범대지(38)의 대지들(40)에 도포된 접착제(3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접착부재(34)에 의해 분리부분 없이 서로 연결되고 대지들(40)이 부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이 적층된 앨범대지(38)는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펼쳐지는 앨범대지(38)의 측면에는 제 2 접착부재(37)를 부착된다.
또한, 접착부재(34)가 부착된 앨범대지(38)의 상단과 하단 및 측면은 앨범덮개(50)에 의해 감싸여진다. 이러한, 앨범덮개(5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외부환경으로부터 앨범대지(38)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을최대한 근사치로 밀착시켜 접착한 다음, 그림이나 사진(32)에 대지(40)를 부착하여 앨범대지(38)를 완성하기 때문에 앨범대지(38)를 펼치게 되더라도 절단된 부위에서 그림이나 사진(32)의 분리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보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은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의 절단부위를 최대한 근사치로 밀착시킨 후 절단부위에 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서로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의 배면에 대지를 부착하여 앨범대지를 완성한다. 이에 따라, 앨범을 펼칠 경우에 서로 연결된 그림이나 사진에서 절단부위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과,
    상기 절단된 그림이나 사진(32)이 연결되도록 최대한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부분을 덮도록 부착되는 접착부재(34)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그림이나 사진(32) 각각의 배면에 부착되는 대지(40)와,
    상기 접착부재(34)에 의해 접착되고 대지(40)가 접착된 그림이나 사진(32)의 측면을 감싸고 최상단과 최하단 대지들(40)을 덮는 앨범덮개(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34)는 접착제 및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KR2020020020449U 2002-07-08 2002-07-08 앨범 KR200291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49U KR200291340Y1 (ko) 2002-07-08 2002-07-08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49U KR200291340Y1 (ko) 2002-07-08 2002-07-08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40Y1 true KR200291340Y1 (ko) 2002-10-09

Family

ID=7307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449U KR200291340Y1 (ko) 2002-07-08 2002-07-08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4950B2 (en) 2003-11-11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intrusion detection rule in kernel level intrusion det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4950B2 (en) 2003-11-11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intrusion detection rule in kernel level intrusion det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376B2 (en) Frame type photograph mounting assembly
KR200291340Y1 (ko) 앨범
KR200416151Y1 (ko) 이중의 이형지를 구비한 코팅 필름
US6447013B1 (en) Volume with several pages without a binding made up by joining up the back faces of each pair of four page sheets
ES1049520U (es) Album fotografico.
US6389724B1 (en) Photograph mounting assembly
KR200395712Y1 (ko) 앨범
JP4592915B2 (ja) 粘着クリップ
KR200234058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KR200142119Y1 (ko) 앨범용 내지
KR200343086Y1 (ko) 앨범 대지의 구조
JP3084824U (ja) フレームシート・アルバム
KR200166170Y1 (ko) 포켓식 앨범 대지
KR200263165Y1 (ko) 앨범
JP3087258U (ja) フレームシート・アルバム
JP3013231U (ja) 写真用等台紙
KR101136125B1 (ko)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KR200200799Y1 (ko) 앨범대지
KR200257274Y1 (ko) 제본식 앨범의 대지
KR100346408B1 (ko) 앨범
KR200279626Y1 (ko) 플라스틱 카드에 사진을 전사하여 소형 미니앨범으로의제작
KR200332254Y1 (ko) 자착식 앨범 내지
KR200374357Y1 (ko) 사진책
KR200376392Y1 (ko) 포교용 달력
KR19990022593U (ko) 다단으로구성된앨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