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765Y1 -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765Y1
KR200240765Y1 KR2020000035531U KR20000035531U KR200240765Y1 KR 200240765 Y1 KR200240765 Y1 KR 200240765Y1 KR 2020000035531 U KR2020000035531 U KR 2020000035531U KR 20000035531 U KR20000035531 U KR 20000035531U KR 200240765 Y1 KR200240765 Y1 KR 200240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cap
detergent
l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기
박근수
허욱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주)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텍 filed Critical (주)폴텍
Priority to KR2020000035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6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로, 세정제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용기(120)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캡부(110)로 구성되되;
상기 캡부(110)에는 상면 중앙에 물에 용해된 세정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 1유출구(111)와, 상기 제 1유출구로 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유출구(112)와, 상기 제 2유출구로 부터 굴곡되는 굴곡부(113)와, 하단 내면의 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3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120)에는 외면 사방향으로는 캡부의 돌기(13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캡부와 하부용기를 분리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고, 값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낮고, 그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취급, 운반 및 사용에 따른 파손 우려를 배제하여 포장비를 절감하고 포장규격을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An Instrument to Put Detergent which is able to recycle}
본 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급수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에 세정제를 넣어 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 용기 속의 일정 공간에서 세정액이 일정량 서서히 용해되어 있다가 저수조의 물이 변기통으로 쏟아져 들어갈 때 상기한 용기 속에 일정량 용해되어 있는 세정제가 함께 들어가 변기를 세척해 주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낮은 세정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변기 세정제 용기는 저수조내의 수류변화에 움직이지 않고 저수조의 바닥면에 안정되게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유리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리제 세척제 용기는 합성수지용기에 비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과 용기의 취급 운반 도중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세정제의 유통, 출하를 위한 제품의 포장단계에서는 용기간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칸막이를 설치해야 하므로 포장물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의 상승요인이 더욱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제품들은 소모성의 일회용 용기이므로 환경오염은 물론 폐기 처리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낮고,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원재료를 값싼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등의 플라스틱으로 사용하여 몰드성형(molding)방식으로 제조되며, 캡부(110)와 하부용기(120)를 분리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100)에 있어서,세정제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용기(120)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캡부(110)로 구성되되;상기 캡부(110)에는 상면 중앙에 물에 용해된 세정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 1유출구(111)와, 상기 제 1유출구로 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유출구(112)와, 상기 제 2유출구로 부터 굴곡되는 굴곡부(113)와, 하단 내면의 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32)가 각각 형성되며;상기 하부용기(120)에는 외면 사방향으로는 캡부의 돌기(13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가 저수조 내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용기 110, 210: 캡부
111, 211: 제1유출구 112, 212: 제2유출구
113, 213: 굴곡부 120, 220: 하부용기
121, 221: 수용부 130: 결합부
131: 걸림턱 132: 돌기
231: 원형걸림턱 232: 원형걸림턱
140: 세정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가 저수조 내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용기(100)는 캡부(110)의 최상단 중앙에는 복수개의 제1유출구(111) 즉, 하부용기(120) 안으로 물이 들어가서 하부용기(1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제(140)를 물에 용해하여 용기(1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유출구로 제1유출구(111)와 그 제1유출구(111)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유출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유출구(111)의 크기와 수는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캡부(110)의 중단부 아래로는 하부용기(120)와의 결합에 용이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113)의 네 모서리에는 제2유출구(112) 즉, 하부용기(120) 내부의 세정제(140)를 용해하기 위해 물이 들어가는 곳 및 용해된 세정제가 용기(100) 밖으로 배출하는 제2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부(110)의 하단은 하부용기(120)와 결합되는 결합부(130)로서, 캡부(110)의 하단 내면(내面)에는 하부용기(120)의 상부 외면(外面)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1)을 밀어 올리면서 결합하기 위한 돌기(1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100)는 기본적으로 세정제(14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1)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용기(12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하부용기(120)의 최상단의 외면(外面)사(四)방향에는 상부캡부(110)와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걸림턱(131)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1)과 돌기(132)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캡부(110)와 하부용기(120)의 결합뿐만 아니라 분리가 가능하므로 최초 수용부(121)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제(140)를 모두 사용한 후 상기 캡부(110)와 하부용기(120)를 분리하여 다시 세정제(140)를 넣고 재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정제 용기의 성형방법 및 사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세정제 용기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성형방법에 따른다. PE, PP 및 PET등의 플라스틱 원재료 펠렛(Pellet)또는 분말을 첨가제와 혼합한 후 상하가 분리된 금형의 하부에 원료를 채우고, 그 위해 상부 금형을 결합하고, 금형으로부터 과잉의 원재료와 공기를 제거하고 가열 압축하여 본 고안의 용기를 캡부(110)와 하부용기(120)로 분리하여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된 본 고안의 세정제 용기(100)는 하부용기(120)의 수용부(121)에 겔타입의 고형세정제(140)를 1/2만큼 채운 후 캡부(110)의 돌기(132)와 하부용기(120)의 걸림턱(131)을 결합하여 용기(100)를 완성한다. 완성된 세정제 용기(100)는 변기의 저수조 내부에 넣어 용기(100)에 들어 있는 세정제(140)이가 물에 용해되어 있다가, 변기 저수조 내부의 물이 변기로 빠져나갈 때 함께 배출되어 오랜동안 기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청결한 변기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제 용기가 캡부(110)와 하부용기(12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즉 이들의 결합은 캡부(110) 하단의 돌기(132)와 하부용기(120) 상단의 걸림턱(131)의 조립으로 결합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의 세정제 용기의 구조와 형태는 수용부(121)의 구조나 상기한 돌기(132) 및 걸림턱(131)을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즉, 도면 중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정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용기(200)가 원형의 수용부(221)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용기(220)와 캡부(210)를 연결하는 결합부에서, 상기 캡부(210)의 최하단부 내면(內面)에서 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는 원형돌기(232)와 하부용기(220)의 상단 외면(外面)에 캡부(210)의 원형돌기(232)와 결합하는 원형걸림턱(231)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그 작용효과는 상기한 용기(100)와 유사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세정제 용기(100; 200)를 변기의 세정제 용기에 관하여만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용기(100; 200)는 수용부(121; 221)에 탈취제를 넣어 냉장고의 탈취제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의하면, 캡부와 하부용기를 분리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고, 값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낮고, 그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취급, 운반 및 사용에 따른 파손 우려를 배제하여 포장비를 절감하고 포장규격을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세정제 용기에 있어서,
    세정제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용기(120)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캡부(110)로 구성되되;
    상기 캡부(110)에는 상면 중앙에 물에 용해된 세정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 1유출구(111)와, 상기 제 1유출구로 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유출구(112)와, 상기 제 2유출구로 부터 굴곡되는 굴곡부(113)와, 하단 내면의 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3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120)에는 외면 사방향으로는 캡부의 돌기(13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KR2020000035531U 2000-12-19 2000-12-19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KR200240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31U KR200240765Y1 (ko) 2000-12-19 2000-12-19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31U KR200240765Y1 (ko) 2000-12-19 2000-12-19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65Y1 true KR200240765Y1 (ko) 2001-09-25

Family

ID=7309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531U KR200240765Y1 (ko) 2000-12-19 2000-12-19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3003A (en) Dome-bottomed container
US8317042B2 (en) Lightweight container
MXPA03011689A (es) Tonel de material sintetico.
EP1114780B2 (en) One-piece dosing cap
KR200240765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세정제 용기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2040542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병과 블록 세트
US11813786B2 (en) Preform and container adapted for accommodating an insert piece, with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production
KR101219062B1 (ko) 절약형 유체 용기
AU613737B2 (en) Container or drum
RU2008142750A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3207377A (en) Dispensing closure
JPH11130035A (ja) 薄肉容器
JP7334013B2 (ja) 合成樹脂製容器、中間容器体、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US20110101034A1 (en) Fluid dispenser containing a baffle
US11014731B2 (en) Container with reinforced bottom
HUT72722A (en) Multi-chamber plastic container
JP2006341861A (ja) 容器
CN113056424A (zh) 带有倒出元件的塑料容器
US20170129648A1 (en) Stackable wip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2317915B1 (ko)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JP2942210B2 (ja) 液体タンク
JP2002179143A (ja) 弁当箱とコンビニで販売される弁当箱の回収方法
JP2564043Y2 (ja) 詰め替え用液体収納袋
JP7249796B2 (ja) スパウト付き容器及び容器用スパウ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