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915B1 -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915B1
KR102317915B1 KR1020190103599A KR20190103599A KR102317915B1 KR 102317915 B1 KR102317915 B1 KR 102317915B1 KR 1020190103599 A KR1020190103599 A KR 1020190103599A KR 20190103599 A KR20190103599 A KR 20190103599A KR 102317915 B1 KR102317915 B1 KR 10231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sion
food
lunch box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426A (ko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엠테크
Priority to KR102019010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복수의 도시락 용기를 상하로 적층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충 결합 구조가 간단하며, 반복 사용 가능한 찬합식 형태의 도시락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의 틈새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시락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시락 용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의 반대편에 대응되고 측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부면에는 음식물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용기(10)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용기(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용기(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용기(10)의 제1 바닥면(101)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바닥면(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1 돌출부(110)에 대응하도록 제1 내벽부와 제2 수평부가 형성되어 적층 가능하게 되면서 내부의 음식물이나 국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Food spill prevention lunch box}
본 발명은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도시락 용기를 상하로 적층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충 결합 구조가 간단하며, 일회용 또는 반복 사용 가능한 찬합식 형태의 도시락에 있어서, 적층된 상태에서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의 틈새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 유출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외식산업은 급격한 성장세와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시락 판매를 통한 도시락 용기의 사용량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락은 용기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종횡으로 구획되며 커버 또는 뚜껑이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밥과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밥을 담는 용기와 반찬을 담는 용기 및 국이 담겨지는 용기가 각각 구비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사용 후에는 버려지게 된다.
도시락 판매를 통해 도시락 용기의 사용량도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폐기되는 도시락 용기 및 포장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많은 양의 생활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이 방치되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기물 처리 방식은 2차적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뿐만이 아니라,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의 수용면적에 한계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매립장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역적 갈등이나, 매립장 후보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의하여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어 매립 부지를 선정하는 데에 상당한 고충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도시락을 비롯한 소모성 용품들은 재사용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와 폐기물 처리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산업에 사용되는 부재들은 그 원료가 되는 부존자원의 매장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고갈상태가 됨으로 자원을 재활용하는 방안은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도시락의 경우 재사용하게 되면 자원의 초기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재를 생산하는 측면에서 경제성이 있다.
따라서, 보온재나 플라스틱재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도시락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와 매립장 부지선정에 관련된 제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재의 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일반적인 도시락, 특히 복수의 도시락이 적재되며 세트를 이루는 형태의 도시락은 대한민국특허 제10-1414529호 ‘자기찬합’이 알려져 있다.
이 도시락은 상판과 둥근 내향 절곡 단부로 형성되는 주연 상단부 및 주연 하단부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뚜껑과, 하향 절곡 주연단부를 가지는 바닥판과, 둥근 내향 절곡 단부로 형성되는 주연 상단부 및 주연 하단부를 가지는 외측벽과, 상기한 외측벽의 주연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는 주연 상단부와 상기한 바닥판에 접하는 주연 하단부를 가지는 내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복수의 본체 중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의 외측벽의 상기한 주연 하단부가, 하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본체의 내측벽 및 외측벽 각각의 주연 상단부와 접촉하여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복수의 본체가상호 분리 가능하게 포개 쌓기 체결되며, 상기한 뚜껑의 주연 하단부가 상기한 복수의 본체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본체의 내측벽과 외측벽 각각의 주연 상단부와 접촉하여 협지(挾止)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249002호 ‘찬합식 도시락 용기’가 얄려져 있다.
이 도시락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은 음식물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벽, 상기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내벽과의 사이에 결합틈을 형성하는 외벽, 및 상기 내벽의 상단부와 상기 외벽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음식물 수납 공간을 덮을 수 있는 덮개면 및 상기 덮개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테두리부의 하면에는 상기 측벽의 상부의 형상에 일치하게 상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측벽의 상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테두리부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 및 외벽이 형성하는 결합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도시락 용기들은 밥을 담는 용기와, 반찬을 담는 용기 및 국이 담겨지는 용기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으므로 유통 중에 용기 사이로 음식물이나 반찬의 국물이 새어 나와서 매우 불결하였다. 또한 새어 나오는 음식물이나 반찬의 국물이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 틈새로 스며들게 되어 부패됨으로써 악취를 발생하게 되어 재사용할 수 없이 폐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용기를 덮는 뚜껑 또는 용기 사이에 긴 원형의 고무재의 패킹을 삽입하여 반찬의 국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였으나 패킹 사이로 음식물이나 국물이 스며 들어가서 불결한 상태가 되므로 재활용을 위한 세척 작업이 번거롭고, 세척시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할 경우 부패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며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도시락 포장재는 폐기물의 발생을 저감하고 재원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게 되는데,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고무재의 탄성이 저하되어 패킹이 이탈됨으로써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며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도 있다.
KR 10-1414529 B1 (2014. 06. 26.) KR 20-0208422 B1 (2000. 10. 16.) KR 10-1249002 B1 (2013. 03.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시락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이나 국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편과 같은 패킹이나 결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도시락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 자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적층되는 도시락 세트를 이루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음식물이나 국물이 도시락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포 성형품과 사출 또는 소성 가공품으로 되는 부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락 세트에서 상기 부재가 결합되는 접촉면 사이의 틈새로 음식물이나 국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하며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포 성형품과 사출 또는 소성 가공품으로 되는 부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락 세트에서 발포 성형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로 인해 입자가 부풀려지면서 서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이 매끄럽게 개선되고, 결합되는 부재 사이의 접촉면으로 음식물이나 국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하며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복수의 도시락 용기를 상하로 적층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충 결합 구조가 간단하며, 일회용 또는 반복 사용 가능한 찬합식 형태의 도시락 용기에 있어서, 제1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면의 반대편에 대응되고 측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면에는 음식물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용기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용기의 제1 상부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용기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도시락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면에는 측벽을 따라 사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돌출부에 안착되는 제2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사방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제1 내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사방의 측벽과 함께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내측면과 제3 상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내측면과 제3 상부면에 대응하며 제2 용기의 제2 내벽부와 제3 수평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바닥면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제3 바닥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수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내측면과 제3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2 내벽부와 제3 수평부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상부면으로부터 사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수평부에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가 제1 용기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1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가 제1 용기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2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용기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3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용기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여 제2 용기에 형성되는 제1 내벽부와 제2 수평부, 그리고 제1 용기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대응하여 제2 용기에 형성되는 제2 내벽부와 제3 수평부에 의해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적층된 상태에서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의 틈새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무재의 패킹이나 결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도시락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 자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적층되는 도시락 세트를 이루는 복수의 용기 사이에서 음식물이나 국물이 도시락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용기와 제2 용기로 이루어지는 부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락 세트에서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결합되는 접촉면 사이의 틈새로 음식물이나 국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 제2 절곡부 및 제3 절곡부에 의하면 제1 용기를 제조 성형하는 과정에서 측벽을 마감할 수 있게 되어 도시락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접촉면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도시락 용기가 상하로 적층되며 결합되는 도시락에서 적충 결합 구조가 간단하며, 내부의 음식물이나 국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의 틈새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 유출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반복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락 세트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2의 A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락 세트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는 제1 용기(10), 제2 용기(20), 음식물 용기(30) 및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시락 용기는 동일 형상과 구조를 가지는 여러개가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시락 용기는 음식물 용기(30), 숟가락 및 젓가락 등과 같은 식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용기(10)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종횡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고, 제2 용기(20)는 상기 제1 용기(10)의 구획된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20)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는 밥, 반찬, 또는 국과 같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물 용기(30)가 뚜껑(40)이 씌워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되는 것이다.
제1 용기(10)는 제1 바닥면(101)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바닥면(10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면(101)의 반대편에 대응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면(111)에는 음식물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제1 용기(10)는 내장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상기 제1 바닥면(10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이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상부면(1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닥면(101)에는 복수의 도시락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측벽을 따라 사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안착되는 제2 바닥면(102)이 형성된다.
제2 용기(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용기(10)의 제1 상부면(111)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10) 상부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와 협력하여 내장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상기 제1 상부면(111)에 접촉되는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사방의 제1 내측면(121)에 접촉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제1 내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110)의 제2 상부면(112)에 접촉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제1 돌출부(110)는 복수의 도시락 용기가 적층될 때 내장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용기(10) 및 제2 용기(20)는 내구성 물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용기(10)는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1 용기(10)의 발포폴리스티렌보다 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용기(10)는 발포용 플라스틱, 예를 들면 EPS(Expanded Polystyrene), EPE(Expanded Polyethylene), 또는 EPP(Expanded Polypropylene)를 발포 성형(foaming)하여 제조되며, 제2 용기(20)는 발포용 플라스틱의 압출성형(extrusion moulding), 또는 금속 시트의 소성가공, 예를 들면 드로잉(drawing)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시락은 예를 들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식품 용기들에 의한 폐기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시락 용기는 식품을 학교, 직장, 야외 및 다른 목적지에서 재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부와 관련하여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용기(10)는 상기 제1 돌출부(110)가 사방의 측벽과 함께 연장되는 제2 돌출부(1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상부면(11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내측면(122)과 제3 상부면(11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내측면(122)과 제3 상부면(113)에 대응하며 제2 용기(20)의 제2 내벽부와 제3 수평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바닥면(102)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제3 바닥면(1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2 수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내측면(122)과 제3 상부면(113)에 접촉되는 제2 내벽부와 제3 수평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돌출부(120)와 상기 제2 돌출부(120)에 대응하는 제1 용기(10)의 구조는 내장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1 돌출부(110)로부터 2단계의 차단구조를 제공한다.
도 5는 도 2의 A부와 관련하여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용기(10)는 상기 제1 돌출부(110)의 제2 상부면(112)으로부터 사방으로 돌출되는 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2 수평부에 상기 돌기(130)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도시락이 적층될 때 결합력을 높이며, 음식물이나 국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A부와 관련하여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가 제1 용기(10)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1 절곡부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 용기(10)가 발포 성형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로 인해 입자가 부풀려지면서 서로 연결될 때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되는 면을 은폐하여 외관을 매끄럽게 개선하고,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결합되는 틈새 사이로 음식물이나 국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도 2의 A부와 관련하여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가 제1 용기(10)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2 절곡부가 더 형성된다.
도 8은 도 2의 A부와 관련하여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는 제3 절곡부가 더 형성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용기(10)의 제2 바닥면(102)과 제2 바닥면(102) 및 제3 바닥면(103)에 밀착부재(51, 52, 5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51, 52, 53)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도시락 본체가 적층될 때 접촉면에서의 밀착력을 높여 내장된 음식물이나 국물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제1 용기 20: 제2 용기
30:음식물 용기 40: 뚜껑
51, 52, 53: 밀착부재 101: 제1 바닥면
102: 제2 바닥면 103: 제3 바닥면
110: 제1 돌출부 111: 제1 상부면
112: 제2 상부면 113: 제3 상부면
120: 제2 돌출부 121: 제1 내측면
122: 제2 내측면 130: 돌기
221: 제1 수평부 222: 제2 수평부
231: 제1 내벽부 232: 제2 내벽부
240: 수용홈 251: 제1 절곡부
252: 제2 절곡부 253: 제3 절곡부

Claims (6)

  1. 복수의 도시락 용기를 상하로 적층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충 결합 구조가 간단하며, 반복 사용 가능한 찬합식 형태의 도시락 용기에 있어서,
    제1 바닥면(101)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바닥면(10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면(101)의 반대편에 대응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면(111)에는 음식물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용기(10)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용기(10)의 제1 상부면(111)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음식물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용기(2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용기(10) 상부에 상기 제2 용기(20)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용기(10)는,
    상기 제1 바닥면(10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방의 측벽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상부면(1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복수의 도시락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면(101)에는 측벽을 따라 사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안착되는 제2 바닥면(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1 상부면(111)에 접촉되는 제1 수평부(221)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사방의 제1 내측면(121)에 접촉되는 제1 내벽부와,
    상기 제1 내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110)의 제2 상부면(112)에 접촉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1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10)의 제2 상부면(1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130)가 포함되며,
    상기 제2 용기(20)에는,
    상기 제2 수평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1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홈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용기(20)에는,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 용기(10)의 측벽과 함께 수직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1 절곡부(251)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용기(10)는,
    EPS(Expanded Polystyrene), EPE(Expanded Polyethylene) 및 EPP(Expanded 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발포 성형(foaming)하여 제조되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용기(20)는,
    압출 성형(Extrusion Moulding), 소성 가공 및 드로잉 가공(Drawing) 중 어느 하나의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제1 절곡부(251)는,
    상기 제1 용기(10)의 측벽에 형성되는 함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10)의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3599A 2019-08-23 2019-08-23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KR10231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99A KR102317915B1 (ko) 2019-08-23 2019-08-23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99A KR102317915B1 (ko) 2019-08-23 2019-08-23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26A KR20210023426A (ko) 2021-03-04
KR102317915B1 true KR102317915B1 (ko) 2021-10-26

Family

ID=7517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99A KR102317915B1 (ko) 2019-08-23 2019-08-23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9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67Y1 (ko) * 2005-05-10 2005-07-29 정해선 높이 조절용 다단식 김치용기
KR200473480Y1 (ko) * 2014-02-12 2014-07-04 박연옥 도시락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422Y1 (ko) 2000-05-22 2001-01-15 김보선 국물이 누설되지 않는 도시락 용기
KR101249002B1 (ko) 2011-09-28 2013-04-01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찬합식 도시락 용기
KR101414529B1 (ko) 2013-03-05 2014-07-03 김정수 지기 찬합
KR101882965B1 (ko) * 2016-05-31 2018-07-30 (주)신산이 파손기구가 설치된 발열 용기
KR102029767B1 (ko) * 2017-05-16 2019-10-08 배세진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67Y1 (ko) * 2005-05-10 2005-07-29 정해선 높이 조절용 다단식 김치용기
KR200473480Y1 (ko) * 2014-02-12 2014-07-04 박연옥 도시락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26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2700C (en) Latch mechanism for a plastic container
US5730313A (en) Splash-resistant food container
US3484015A (en) Insulating food container
CN101128367B (zh) 一种用于容器的盖和容器盖的系统
CA2879698C (en) Plastic container with fluted inner wall
CA2576661C (en) Plastic container
JP2006503767A (ja) 特に食品用の、容器と蓋のアッセンブリ
KR20130140146A (ko) 플라스틱 플랜지형 용기 및 이런 용기를 포함한 식품 포장팩
MXPA06011896A (es) Caja apilable para recipientes.
US20100147727A1 (en) Open-Topped Stackable Container
US20080264939A1 (en) Reduced material container
JP2000043840A (ja) 食品用容器
KR102317915B1 (ko)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US3347405A (en) Article carrying case
US20220106072A1 (en) Compartment Box for Storing Food
US20050035119A1 (en) Liner for an insulated container
KR102200048B1 (ko)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US3409169A (en) Nesting and stacking tray
KR200486389Y1 (ko) 조립식 원통용기
KR20180002894U (ko) 도시락 용기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RU178392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970002138Y1 (ko) 일회용 다용도 식품포장용기
JP2013039949A (ja) 包装容器用蓋体
US20160236822A1 (en) Pulp molded container with double-sided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