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752Y1 -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752Y1
KR200240752Y1 KR2020000031490U KR20000031490U KR200240752Y1 KR 200240752 Y1 KR200240752 Y1 KR 200240752Y1 KR 2020000031490 U KR2020000031490 U KR 2020000031490U KR 20000031490 U KR20000031490 U KR 20000031490U KR 200240752 Y1 KR200240752 Y1 KR 200240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losing
opening
beverage
handl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태
Original Assignee
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태 filed Critical 채병태
Priority to KR2020000031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52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셋(Faucet)형 음료토출밸브에서 연결관과 토출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핸들노브의 조작에 응답하여 수로개폐를 행하는 토출구개폐구조를 이루는 구성부품에 대한 작업성과 생산성 및 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한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는 연결관에 연통되는 입수구와 상기 토출관에 연통되는 출수구를 갖추고서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제조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중공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음료의 토출을 개폐하기 위한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측에 핸들노브가 결합되는 핸들노브결합부와, 상기 핸들노브결합부의 저면에 일체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면서 그 저면에는 수로개폐수단이 착탈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수로개폐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BEVERAGE OUTLE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FAUCET}
본 고안은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형의 음료토출밸브(Faucet)에 구성되는 토출구개폐구조를 일체로 성형하여 그 조립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저수조의 형상에 적합하게 다양한 형태의 음료토출밸브가 설계되어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상황으로, 그러한 음료토출밸브의 일예로서는 소위 '포셋'으로 칭해지는 형태이다.
도 1은 그 '포셋'으로 칭해지는 음료토출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그 음료토출밸브는 대개 저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10)과 그 연결관(10)의 상측에 일정한 길이로 연설되어 그 종단에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관(20) 및 상기 연결관(10)으로부터 상기 토출관(20)으로 음료토출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개폐부(30)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토출구개폐부(30)의 구조를 설명하는 분리사시도로서, 그 토출구개폐부(30)는 외측에는 대략 90°의 범위로 조작가능한 핸들노브 케이스가 결합되는 밸브본체(32)를 포함하게 되고, 그 밸브본체(32)의 내부는 중공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외측에는 O-링수납홈(34)이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36)이 수납되며, 그 하부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수구(32b)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됨과 더불어 그 타측에는 상기 음료가 상기 토출관(20)측으로 유출되는 출수구(32c)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된다.
또, 상기 토출구개폐부(30)는 상기 밸브본체(32)의 중공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수로개폐를 위한 회동부재(38)도 포함하게 되는 바, 그 회동부재(38)의 상측은 상기 밸브본체(3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핸들노브가 장착되는 핸들노브결합부 (40)로서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상기 밸브본체(32)의 내부에 그 회동부재(38)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수납홈(42a)과, 복수의 O-링수납홈(42b,42c)이 형성되어 그 O-링수납홈(42b,42c)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복수의 O-링(44a,44b)이 결합된다.
또, 상기 회동부재(38)의 하단에는 상기 밸브본체(32)의 입수구(32b)와 상기 출수구(32c)의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별개의 수로개폐수단(48)이 결합되는 플랜지 (46)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46)의 하단에는 상기 수로개폐수단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40a)가 형성되며, 그 회동부재(38)에 대해서는 상기 연결관(10)에 연결되는 호스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재(50)가 제공되며, 상기 회동부재(38)의 고정링수납홈(42a)에는 상기 밸브본체(32)의 상측에서 그 회동부재(38)의 하강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52)이 결합된다.상기 수로개폐수단(48)은 제 1수로개폐부재(48a)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돌기(40a)가 끼워지는 결합홈(48c)이 형성되고, 그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저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는 일정한 범위로 입수홈(48d)이 형성되며, 그 입수홈(48d)의 사이는 수로차단부(48e)로서 정의된다.또,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저면에는 그 제 1수로개폐부재(48a)와 접면되는 제 2수로개폐부재(48b)가 제공되는 바, 그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는 출수홈(48f)이 복수로 형성된다.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토출구개폐부(30)에 통상적으로 경사지게 수납(도 1 참조)되는 상기 밸브본체(32)의 내측에 상기 회동부재(38)를 내설함과 더불어 그 회동부재(38)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40a)에 상기 수로개폐수단(48)의 제 1수로개폐부재(48a)를 결합하고, 그 제 1수로개폐부재(48a)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는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저면과 접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10)과 상기 토출관(20)의 사이에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수로에 고정설치된다.그 상태에서, 상기 핸들노브가 수로폐쇄위치에 설정되면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수로차단부(48e)가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출수홈(48f)에 정합되어 상기 연결관(10)과 상기 토출관(20)의 사이에서 수로가 차단되게 된다.그에 대해, 상기 핸들노브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 핸들노브에 결합된 상기 회동부재(38)도 연동적으로 회동되어지면서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 (48a)도 회동되게 된다.따라서,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입수홈(48d)이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출수홈(48f)과 위치정합되게 된다.그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밸브본체(32)의 입수구(32b)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입수홈(48e)를 통해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출수홈(48f)측으로 급수되고, 그 출수홈(48f)을 통과한 음료가 상기 밸브본체(32)의 출수구(32c)를 통해 상기 토출관(20)측으로 인가되어 토출한다.즉, 상기 토출구개폐부(30)는 하나의 챔버형태로 정의되면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0)과 상기 토출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중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밸브본체(32)의 입수구(32b)는 상기 연결관(10)측에 접하는 반면 상기 밸브본체(32)의 출수구(32c)는 상기 토출관(20)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그리고, 상호접면되는 상기 제 1 및 제 2수로개폐부재(48a,48b)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32)의 입수구(32b)와 출수구(32c)의 사이가 핸들노브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토출이 제어된다.
그런데, 상기 도 2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서는 상기 밸브본체(32)가 방청기능을 갖는 금속성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됨과 더불어, 상기 회동부재(38)도 그 밸브본체(32)와 동일한 금속성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바, 그 때문에 상기 밸브본체(32)와 상기 회동부재(38)를 제작하기 위한 금속재료의 가공이 상당히 어려워 비생산적이면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포셋형 음료토출밸브의 밸브본체와 그 밸브본체에 수용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회동부재를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하여 생산성 및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된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저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그 연결관으로 입수된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토출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료의 토출을 개폐하는 토출구개폐부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연통되는 입수구와 상기 토출관에 연통되는 출수구를 갖추고서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제조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중공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음료의 토출을 개폐하기 위한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측에 핸들노브가 결합되는 핸들노브결합부와, 상기 핸들노브결합부의 저면에 일체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면서 그 저면에는 수로개폐수단이 착탈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수로개폐부로 이루어진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핸들노브결합부는 금속제이고, 그 저면에는 상기 수로개폐부의 사출성형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형상 또는 그 저면이 외향적으로 절곡된다.
그에 대해, 상기 핸들노브결합부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그 핸들노브결합부에 상기 수로개폐부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의하면, 밸브본체를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성형하면서, 그 밸브본체의 중공내부에 결합되는 회동부재의 핸들노브결합부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함과 더불어 그 핸들노브결합부의 저면에는 합성수지에 의해 수로개폐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포셋형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대한 생산성 및 단가의 절감이 확보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셋형 음료토출밸브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에 적용되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토출구개폐구조를 설명하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핸들노브결합부와 수로개폐부의 결합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결관, 20: 토출관,
30: 토출구개폐부, 50: 토출구개폐부,
52: 밸브본체, 56a: 입수구,
56b: 출수구, 62: 회동부재,
64: 핸들노브결합부, 66: 수로개폐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셋형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를 이루는 토출구개폐부(52)는 외측에는 대략 90°의 범위로 조작가능한 핸들노브 케이스가 결합되는 밸브본체(52a)를 갖추에 되는 바, 그 밸브본체(52a)는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그 밸브본체(52a)는 그 내부가 중공형태로 사출성형되면서 그 외측에는 O-링수납홈(54)이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60)이 수납되며, 그 하부 일측에는 연결관(도 1에서 참조부호 10)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수구(56a)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됨과 더불어 그 타측에는 상기 음료가 토출관(도 1에서 참조부호 20)측으로 유출되는 출수구(56b)가 일정한 범위로 개방된다.
또, 상기 밸브본체(52a)의 내부에는 핸들노브의 조작이 대략 90°의 범위로 행해지도록 하는 스토퍼(58)가 대향하는 위치에 정의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개폐부(52)는 상기 밸브본체(52a)의 중공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핸들노브의 조작에 응답하여 수로개폐를 위한 회동부재(62)도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재(62)는 작업성 및 생산성의 증가를 위해 금속재료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핸들노브결합부(64)와 그 핸들노브결합부(64)에 결합되도록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수로개폐부(66)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핸들노브결합부(64)는 그 외주변에 고정링결합홈(64a)이 형성되도록 제조되고, 그 하측은 상기 수로개폐부(66)의 수지성형시에 그 수로개폐부(66)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노브결합부(64)에서 상기 수로개폐부(66)에 매설되는 하단의 형상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외측면에 요철형상을 형성(도 4 참조)하거나 그 종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수로개폐부(66)의 외측에는 복수의 O-링수납홈(66a,66b)이 형성되어 그 O-링수납홈(66a,66b)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복수의 O-링(68a,68b)이 결합된다.
또, 상기 수로개폐부(66)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70)의 저면에는 결합돌기(72)가 형성되는 바, 그 결합돌기(72)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입수구(56a)와 상기 출수구(56b)의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수로개폐수단(즉, 도 2에서 48참조)을 구성하는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결합요부(48c)에 결합된다.
또, 상기 회동부재(62)의 핸들노브결합부(64)의 고정링결합부(64a)에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상측에서 그 회동부재(62)의 하강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 (64b)이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밸브본체 (52)의 외주변에 형성된 O-링수납홈(54)에 O-링(60)을 결합하는 한편, 상기 회동부재(62)의 합성수지제의 수로개폐부(66)의 외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O-링수납홈 (66a,66b)에는 복수의 O-링(68a,68b)을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70)의 결합돌기(72)에는 도 2에 도시된 수로개폐수단(48)을 구성하고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 (48b)가 접면결합되는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결합홈(48c)가 결합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62)를 상기 밸브본체(5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안착시키고나서 상기 핸들노브결합부(64)에 형성된 고정링결합홈(64a)에 상기 고정링(64b)을 결합하게 되면 그 회동부재(62)가 상기 밸브본체(52)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62)의 핸들노브결합부(64)에 핸들노브를 장착하여 그 핸들노브를 예컨대 수로개방을 위해 조작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62)가 회동하게 되고, 그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가 회동하여 그 입수홈(48d)이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출수홈(48f)과 정합되어 상기 연결관(10)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밸브본체(52)의 입수구(56a)측으로 유입되는 음료가 상기 제 1수로개폐부재(48a)의 입수홈(48d)과 상기 제 2수로개폐부재(48b)의 출수홈(48f)을 통과하여 상기 토출관(20)측으로 출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의하면 밸브본체를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함과 더불어 실제로 핸들노브가 장착되는 회동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핸들노브결합부는 금속재료의 가공 또는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그 핸들노브결합부의 하단에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수로개폐부를 형성함에 따라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대한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그 제조단가의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저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그 연결관으로 입수된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토출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료의 토출을 개폐하는 토출구개폐부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연통되는 입수구와 상기 토출관에 연통되는 출수구를 갖추고서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제조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중공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음료의 토출을 개폐하기 위한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측에 핸들노브가 결합되는 핸들노브결합부와,
    상기 핸들노브결합부의 저면에 일체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면서 그 저면에는 수로개폐수단이 착탈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수로개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노브결합부는 금속재료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수로개폐부의 사출성형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노브결합부는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수로개폐부의 이중사출성형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노브결합부의 저면은 상기 수로개폐부의 사출성형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향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KR2020000031490U 2000-11-10 2000-11-10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KR200240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90U KR200240752Y1 (ko) 2000-11-10 2000-11-10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90U KR200240752Y1 (ko) 2000-11-10 2000-11-10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52Y1 true KR200240752Y1 (ko) 2001-09-26

Family

ID=7309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90U KR200240752Y1 (ko) 2000-11-10 2000-11-10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523B2 (en) Mixing valve with graduated temperature modulation
US6370713B2 (en) Pull-out shower head for kitchen
EP0035056B1 (en) Replaceable cartridge valve assembly and sanitary fitting
US5725010A (en) Pressure balanced mixing valve
US20020003175A1 (en) Showerhead
US20070059995A1 (en) Single control roman tub faucet
US20060118185A1 (en) Mixing cartridge for single-level mixing faucets
KR200240752Y1 (ko) 음료토출밸브의 토출구개폐구조
US11639596B2 (en) Bathtub faucet
CN213271140U (zh) 一种过水组件和淋浴龙头
US6453943B1 (en) Faucet assembly
US6234209B1 (en) Outflow spouts of faucet sets
KR102160882B1 (ko) 수전금구
JP2739467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の混合栓
US6161581A (en) Valve device for water distribution purposes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JP2001304437A (ja) バルブユニット
US20050121087A1 (en) Three-way valve
KR100490023B1 (ko) 절수 샤워헤드
CN216407811U (zh) 阀芯
JP3308144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の混合栓
KR102252683B1 (ko)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CN217030049U (zh) 上控式水龙头
JP3115988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の湯水混合栓
JP7107919B2 (ja) バルブハウジング、バルブ及びバルブ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