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419Y1 -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419Y1
KR200240419Y1 KR2020010011391U KR20010011391U KR200240419Y1 KR 200240419 Y1 KR200240419 Y1 KR 200240419Y1 KR 2020010011391 U KR2020010011391 U KR 2020010011391U KR 20010011391 U KR20010011391 U KR 20010011391U KR 200240419 Y1 KR200240419 Y1 KR 200240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fting
wire
drum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꼬시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꼬시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꼬시더
Priority to KR2020010011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419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가 서로 겹치지 않고 드럼에 권취되도록 하여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과 모터를 수평으로 안정감 있게 장착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와이어를 견고하고 탄력 있게 지지하여 와이어가 로울러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하고, 와이어의 마찰을 견딜 수 있고 직경을 확대시킨 지지로울러를 최대 거리로 이격시켜 와이어로 전달되는 힘의 배분을 극대화하며, 승강안내봉을 중심으로 상승`하강하는 승강대 안내로울러의 중심 편차를 최소화하여 승강대의 끼움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대의 네 변 모서리를 수직 방향으로 균형 있게 지지하여 중량이 무거운 침대를 흔들림 없이 상승`하강 시킬 수 있는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device for ascent and descent of bed}
본 고안은 대향되게 구성된 가구의 일측에 침대와 같은 가구를 선택적으로 상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 책을 읽거나 글씨를 쓰는데 사용되는 책상, 침대, 진열장, 식탁, 수납장과 같은 가구는 목재 또는 철제로 제작되어 실내바닥의 소정위치에 수평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구들은 실내공간을 점유한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주거공간을 좁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침실과 공부방 및 휴식공간을 겸하여 사용하는 서민용 주택의 경우는 수면 및 식사, 휴식 등을 취할 때 실내에 설치된 가구에 간섭되어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94-7201호(승강가변식 가구)로 출원된 바 있다.
이 승강가변식 가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양측벽 측방승강안내레일(11)을 대향하게 설치하고, 이 양측벽이 연결되는 후벽의 양측에 한쌍의후방승강안내레일(12)을 나란히 설치하며, 상기 각 레일(11)(12)의 전면에 근접하게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지지판(131)이 구비되고, 그 전방의 중앙에 가구(14)의 바닥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판(132)이 일체로 구비된 승강부재(13)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가변식 가구의 작동과정을 보면, 하강된 가구(14)를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승시키는 과정을 보면, 승강수단(미도시)의 와이어가 하강하여 이의 단부에 연결된 승강부재(13)를 실내의 천정에 근접한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승강부재(13)는 수직지지판(131)배면이 레일의 전면에 근접한 상태로 레일(11)(12)의 전방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홈(121)을 따라 상승하여 수평지지판(132)에 탑재된 가구(14)를 천정에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시킴으로서 실내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승한 가구(14)를 사용하기 위해 하강시키는 과정을 보면, 승강수단의 와이어가 상승하여 이의 단부에 연결된 승강부재(13)를 사용이 적당한 높이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승강부재(13)는 상승시와 같이 수직지지판(131)의 배면이 레일의 전면에 근접한 상태로 레일(11)(12)의 전방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홈(121)을 따라 하강하여 수평지지판(132)에 탑재된 가구(14)를 사용하기에 적당한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당한 위치로 하강한 가구(14)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가변식 가구는, 승강수단의 와이어가 상승할 때 회전되어 고정되는 와이어가 엉키게 되어 승강부재의 수평지지판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승강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가변식 가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건 고안자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로울러가 2개1조로 구비되어 와이어가 로울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수단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서 생산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적은 힘으로 고정부에 고정된 가구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를 고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9-30688호로 출원한바 있다.
상기 선출원 승강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B)를 상.하부로 이송시켜 사용하는 승강가변식 가구에 있어서, 모터(M)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브라켓(151)이 구성되고, 상기 모터(M)의 일측에 와이어(W)를 고정시키도록 외주연에 다수개의 고정홈(152a)이 구비하며 상기 고정홈(152a)의 입구에 라운드(152b)이 형성된 드럼(152)이 구성된 구동부(15)와; 상기 구동부(15)의 드럼(152)에 연결된 와이어(W)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도록 와이어(W)가 관통되는 끼움홈(162a)이 외주연에 구비된 제1로울러(162)가 2개1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로울러(162)를 감싸는 외체(161)가 구성된 텐션유지부(16)와; 상기 텐션유지부(16)에 연결된 와이어(W)를 외주연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2개1조로 구비된 지지로울러에 끼워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도록 텐션유지부(16)를 통해 제공되는 와이어(W)를 지지하는 제1지지홈이 외주연에 구비된 제1지지로울러(172)가 2개1조로 구비되어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로울러(172)와 대향된 하부에 와이어(W)를 지지하는 제2지지홈이 외주연에 구비된 제2지지로울러(173)가 2개1조로 구성되며, 상기제1,2지지로울러(172)(173)의 중앙 타측에 와이어(W)를 지지하는 제3지지홈이 외주연에 구비된 제3지지로울러(174)가 2개1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지지로울러(172)(173)(174)를 감싸며 가구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171)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171)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4지지로울러(175)가 구성된 지지부(17)와; 상기 지지부(17)에 연결된 와이어(W)가 이송로울러(183)에 고정되고, 이의 작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 안내하도록 와이어(W)에 의해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봉(181)이 구성되고, 상기 승강안내봉(181)이 끼워지도록 내측에 끼움공(182a)이 구비된 승강구(182)가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182)의 일측에 상기 제3지지로울러(174)에서 제공되는 와이어(W)가 감싸는 이송홈이 외주연에 구비된 이송로울러(183)가 2개1조로 구성된 승강안내부(18)와; 상기 승강안내부(18)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측이 관통되고 일측에 양측으로 고정편(191)이 구비된 고정부(19)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 승강장치는, 모터(M)가 장착된 브라켓(151)이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서, 모터(M)는 자중에 의해 일측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모터(M)가 처지게 되면 와이어(W)가 감기면서 침대를 당길 때 발생하는 부하를 견디지 못하고 목재에 고정된 브라켓(151)이 유동하여 모터(M)의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는 결함이 있다.
또한 드럼(152)에 와이어(W)가 상호 중첩되게 권취됨으로서, 상호 마찰력에 의해 가는 철심을 엮어 형성된 와이어(W)가 끊어질 우려가 있으며, 와이어(W)가 끊어지게 되면 침대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결함이 있다.
그리고 텐션유지부(16)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단순히 드럼(152)측으로 인입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기능만 할 뿐 늘어진 와이어(W)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은 수행하지 못함으로서, 침대를 구동시킬 때 늘어져 있던 와이어(W)가 각 활차 또는 로울러의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와이어를 원활하게 권취시키지 못하는 결함이 있다.
또한 텐션유지부(16) 일측의 한정된 좁은 공간에 다수의 로울러를 상`하, 좌`우 대향하게 설치하고, 이 로울러에 와이어(W)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와이어에 전달된 힘을 배분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각 로울러의 간격이 짧고 직경이 작아 힘의 배분이 미흡하고, 로울러로 사용되는 금속 베어링과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마찰되어 와이어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결함이 있다.
그리고 침대(B)의 수직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18)의 승강안내봉(181)과 이격된 외측에 이송로울러(183)가 구비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면서 이송로울러(183)를 들어 올릴 때 승강안내봉(181)을 감싸고 있는 승강구(182)가 승강안내봉(181) 측으로 기울어지는 편심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승강구(182)가 승강안내봉(181)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면 승강안내봉(181)과 끼움공(182a)이 마찰하여 끼움공(182a) 한쪽으로 치우쳐 마모된다. 따라서 승강 동작시 흔들림 현상과 소음이 심하게 생기고, 마찰시 발생하는 부하로 인하여 많은 동력이 요구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함은 침대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더욱 심하게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가 서로 겹치지 않고 드럼에 권취되도록 하여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과 모터를 수평으로 안정감 있게 장착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와이어를 견고하고 탄력 있게 지지하여 와이어가 로울러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하고, 와이어의 마찰을 견딜 수 있고 직경을 확대시킨 지지로울러를 최대 거리로 이격시켜 와이어로 전달되는 힘의 배분을 극대화하며, 승강안내봉을 중심으로 상승`하강하는 승강대의 안내로울러의 중심 편차를 최소화하여 승강대의 끼움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대의 네 변 모서리를 수직 방향으로 균형 있게 지지하여 중량이 무거운 침대를 흔들림 없이 상승`하강 시킬 수 있는 승강 가변식 침대의 승강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방식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고 드럼의 양측에 제1,2와이어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하고, 기어로 연결된 모터와 드럼을 중앙부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한 구동부와; 상기 드럼의 일측에 연결된 제1와이어를 후방 외측 모서리와 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 침대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제1활차부와; 드럼의 타측에 연결된 제2와이어를 전방 외측 모서리와 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 침대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제2활차부와: 상기 제1,2활차부의 일측 중앙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스프링이 신축되어 와이어를 내측으로 당기고, 와이어가 펼쳐지면 그 힘에 의해 스프링이 인장되도록 구성한 제1,2텐션유지부와; 침대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2활차부를 통과한 와이어를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침대에 장착된 다수의 안내로울러로 통과시킨 후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제1,2승강부와; 상기 제1,2승강부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침대의 각 모서리가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봉을 따라 승강 지지하는 승강지지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승강가변식 가구의 구성도
도 2는 선출원 승강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3은 선출원 승강장치의 구동부측 정면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구동부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텐션유지부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승강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는 침대의 상승 상태이고,
b는 침대의 하강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구동부 21: 모터
22: 드럼 23: 브라켓
30: 제1활차부 40: 제2활차부
50: 텐션유지부 60: 승강부
70: 승강지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구동부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텐션유지부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승강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는, 침대(B)의 양측에 침대(B)의 승강 동작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장(P1)(P2)이 구비된다.
이러한 승강가변식 침대에 있어서, 본 고안은 모터(21)의 회전력을 기어방식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고, 드럼(22)의 양측에 와이어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하고, 모터(21)와 드럼(22)을 제1수납장(P1)의 중앙부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한 구동부(20)가 구성되고, 상기 드럼(22)의 일측에 연결된 제1와이어(W1)를 제1수납장(P1)의 후방 외측 모서리와 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침대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활차부(30)가 구성되며, 드럼(22)의 타측에 연결된 제2와이어(W2)를 제1수납장(P1)의 전방 외측 모서리와 제2수납장(P2)의 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 침대(B)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2활차부(40)가 구성되고, 상기 제1,2활차부(30)(40)의 일측 중앙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스프링이 신축되어 와이어를 내측으로 당기고, 와이어가 펼쳐지면 그 힘에 의해 스프링이 인장되도록 제1,2텐션유지부(50)(50')가 구성되며, 침대(B)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2활차부(30)(40)를 통과한 와이어를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침대에 장착된 다수의 안내로울러로 통과시킨 후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시킨 제1,2승강부(60)(60')가 구성되고, 상기 제1,2승강부(60)(60')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침대(B)의 각 모서리가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봉을 따라 승강 지지되도록 구성한 승강지지부(7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20)는, 중앙에 축공(221a)이 통공된 원통형 몸체(221)의 외주면에 중앙(C)을 기점으로 각각 외측을 향해 나선형의 안내홈(222)을 형성하고, 몸체(221)의 중앙에는 드럼기어(223)를 고정시키며, 몸체(221)의 양측에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221)의 외경보다 직경이 큰 지지판(224)을 결합한 드럼(22)이 구성된다.
또한 모터(21)의 회전축에는 상기 드럼기어(223)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211)를 결합한다. 이러한 모터(21)와 드럼(22)은 상호 기어(211(223)가 결합되어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나의 브라켓(23)에 장착하고,이 브라켓(23)은 제1수납장(P1)의 상부 일측 중심의 내측에 설치한다.
상기 제1활차부(30)는, 드럼(22)의 후방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활차1(31)을 축설하고, 활차1(31)의 후방으로 대응하는 모서리에 활차2(32)를 축설하며, 이 활차2(32)와 수평으로 대응하는 내측 모서리에 활차3(33)을 축설한다. 이 제1활차부(30)의 각 활차에는 드럼(22)의 후방측에 권취된 제1와이어(W1)가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침대(B)의 일측 중앙에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활차부(40)는, 드럼(22)의 전방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활차1(41)을 축설하고, 활차1(41)의 전방으로 대응하는 모서리에 활차2(42)를 축설하며, 이 활차2(42)와 수평으로 대응하는 제2수납장(P2)의 내측 모서리에 활차3(43)을 축설하고, 활차3(43)의 후방에 활차4(44)를 축설한다. 이 제2활차부(40)의 각 활차에는 드럼(22)의 전방측에 권취된 제2와이어(W2)가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침대(B)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텐션유지부(50)는, 장방형 고정판(51)의 선단과, 선단에서 이격된 내측에 중앙이 통공된 안내대(52)(53)를 구비하고, 지지판(224)의 후단에 고정대(54)를 구비한다. 또한 봉체(551)의 선단에 로울러(552)가 구비된 이동부재(55)를 구비하여 봉체(551)의 후단을 안내대(52)(53)의 통공으로 통과시켜 그 후단을 고정대(54)에 인장스프링(56)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텐션유지부(50)(50')는 제1활차부(30)의 활차1,2(31)(32) 사이와 제2활차부(40)의 활차1,2(41)(42) 사이에 선단의 로울러(552)가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하고, 로울러(552)를 통하여 와이어를 각각 통과시킨다.
상기 승강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안내로울러(61)(62)(63)를 일 방향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내장하여 침대(B)의 양측방 중앙에 고정되는 승강대(64)를 구성한다. 또한 활차부의 마지막 활차를 통과한 와이어(W)를 안내로울러(61)를 향하여 직각으로 전환시키도록 한 쌍의 방향전환로울러(6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안내로울러(61)(62)(63)순차적으로 통과한 와이어(W)의 끝단을 고정시켜 상기 승강대(64)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상부에 장착시킨 고정대(66)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지지부(70)는, 침대(B) 밑판(B-1)의 각변 모서리에 중앙이 소정직경으로 관통된 지지블록(71)을 구비하여 외곽 후레임에 브라켓(72)으로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각 지지블록(71)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후레임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봉(73)을 구비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승강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침대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이 인가된 모터(M)가 정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모터기어(211)와 연결된 드럼기어(223)로 전달되어 드럼(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는 드럼(22)의 양측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안내홈(222)을 따라 상호 겹치지 않고 각각 양분된 상태로 권취된다.
이렇게 드럼(22)의 양측에 양분 상태로 권취된 제1와이어(W1)와제2와이어(W2)는 각 수납장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제1활차부(30)와 제2활차부(40)의 각 활차에 의해 지지되어 당김력이 최대로 배가된 상태에서 방향전환로울러(65)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방향전환되어 승강대(64)에 내장된 안내로울러(61)(62)(63)을 회전과 동시에 상승시킴으로서, 승강대(64)가 일체로 고정된 침대(B)는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각 모서리에 구성된 각 지지블록(71)이 지지봉(73)을 따라 안내됨으로서, 지지블록(71)이 고정된 침대(B)는 흔들림 없이 지지되어 원활하게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침대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제1,2와이어(W1)(W2)는 제1,2텐션유지부(50)(50')의 스프링(56)에 탄설된 이동부재(55)를 당기게 됨으로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침대(B)가 상승하는 상태에서 승강대(62)의 상부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L1)가 승강안내봉(61)의 상단에 접촉하면 모터(21)에 전원을 차단하여 상승 동작을 정시킨다. 이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 가구에 부착된 책상이나 옷장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실내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실내공간의 상부로 상승되어 있는 침대(B)를 사용하기 위해 하강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이 인가된 모터(M)가 역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모터기어(211)와 연결된 드럼기어(223)로 전달되어 드럼(22)을 상승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드럼(22)의 양측에 권취되어 있는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는 제1활차부(30)와 제2활차부(40)의 각 활차에 의해 지지되어 풀리면서 제1승강부(60)와제2승강부(60')의 이송로울러(61)(62)(63)를 회전과 동시에 상승시킴으로서, 승강대(64)가 일체로 고정된 침대(B)는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각 모서리에 구성된 각 지지블록(71)이 지지봉(73)을 따라 안내됨으로서, 지지블록(71)이 고정된 침대(B)는 흔들림 없이 지지되어 원활하게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침대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제1,2텐션유지부(50)(50')의 스프링(56)은 이동부재(55)를 내측으로 당겨 늘어진 제1,2와이어(W1)(W2)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침대(B)가 하강하는 상태에서 승강대(62)의 하부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L2)가 승강안내봉(61)의 하단에 접촉하면 모터(21)에 전원을 차단하여 하강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어가 서로 겹치지 않고 드럼에 권취되도록 하여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과 모터를 수평으로 안정감 있게 장착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와이어를 견고하고 탄력 있게 지지하여 와이어가 로울러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하고, 와이어의 마찰을 견딜 수 있고 직경을 확대시킨 지지로울러를 최대 거리로 이격시켜 와이어로 전달되는 힘의 배분을 극대화하며, 승강안내봉을 중심으로 상승`하강하는 승강대의 안내로울러의 중심 편차를 최소화하여 승강대의 끼움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침대의 네 변 모서리를 수직 방향으로 균형 있게 지지하여 중량이 무거운 침대를 흔들림 없이 상승`하강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침대(B)의 양측에 침대(B)의 승강 동작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장(P1)(P2)이 구비된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모터(21)의 회전력을 기어방식에 의해 전달되고, 드럼(22)의 양측에 와이어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각각 수평 방향으로 권취되며, 모터(21)와 드럼(22)을 제1수납장(P1)의 중앙부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한 구동부(20)와;
    상기 드럼(22)의 일측에 연결된 제1와이어(W1)를 제1수납장(P1)의 후방 외측 모서리와 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 침대의 일측 중앙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활차부(30)와;
    상기 드럼(22)의 타측에 연결된 제2와이어(W2)를 제1수납장(P1)의 전방 외측 모서리와 제2수납장(P2)의 전방 내측 모서리를 수평방향 직각으로 통과하여 침대(B)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활차부(40)와;
    상기 제1,2활차부(30)(40)의 일측 중앙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가 늘어지면 스프링이 신축되어 와이어를 내측으로 당겨 장력을 유지시키고, 와이어가 펼쳐지면 그 힘에 의해 스프링이 인장되도록 구성된 텐션유지부(50)(50')와;
    침대(B)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2활차부(30)(40)를 통과한 와이어를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침대에 장착된 다수의 안내로울러로 통과시킨 후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제1,2승강부(60)(60')와;
    상기 제1,2승강부(60)(60')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침대(B)의 각 모서리가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봉을 따라 승강 지지되도록 구성한 승강지지부(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2승강부(60)(60')는,
    다수의 안내로울러(61)(62)(63)를 일 방향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내장하여 침대(B)의 양측방 중앙에 고정되는 승강대(64)를 구성하고, 활차부의 마지막 활차를 통과한 와이어를 안내로울러(61)를 향하여 직각으로 전환시키도록 한 쌍의 방향전환로울러(6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안내로울러(61)(62)(63)순차적으로 통과한 와이어(W)의 끝단을 고정시켜 상기 승강대(64)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상부에 장착시킨 고정대(6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지지부(70)는,
    침대(B) 밑판(B-1)의 각변 모서리에 중앙이 소정직경으로 관통된 지지블록(71)을 구비하여 외곽 후레임에 브라켓(72)으로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각 지지블록(71)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후레임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봉(7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2020010011391U 2001-04-20 2001-04-20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200240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91U KR200240419Y1 (ko) 2001-04-20 2001-04-20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91U KR200240419Y1 (ko) 2001-04-20 2001-04-20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301A Division KR100404278B1 (ko) 2001-04-20 2001-04-20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419Y1 true KR200240419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91U KR200240419Y1 (ko) 2001-04-20 2001-04-20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4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962B2 (en) Ceiling mounted sleeping system
JPH09506322A (ja) 昇降式家具配置装置
KR101398162B1 (ko) 천장 고정식 리프트형 침대장치
KR100404278B1 (ko)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100404277B1 (ko)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200240419Y1 (ko)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JP4547395B2 (ja) 昇降装置
KR200240418Y1 (ko)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US20120000865A1 (en) Vertical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laundry
US7559097B2 (en) So-called fold-away bed
JP3881139B2 (ja) 家具昇降装置
JP3726209B2 (ja) 昇降ユニット
KR100336310B1 (ko)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
KR20020087916A (ko)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EP2123196A1 (en) Retractable bed structure
CN111109842A (zh) 电动升降桌
JP2004293074A (ja) 立体駐車設備の昇降搬送装置
JP3970218B2 (ja) 昇降装置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WO2013024290A1 (en) Lifting apparatus
JPH0520182Y2 (ko)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RO134297A2 (ro) Pat retractabil cu sistem mecanic pentru înălţime variabilă
JP3087894B1 (ja) 幕昇降装置
CN217555740U (zh) 一种垂直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