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437Y1 -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 Google Patents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37Y1
KR200239437Y1 KR2019980017837U KR19980017837U KR200239437Y1 KR 200239437 Y1 KR200239437 Y1 KR 200239437Y1 KR 2019980017837 U KR2019980017837 U KR 2019980017837U KR 19980017837 U KR19980017837 U KR 19980017837U KR 200239437 Y1 KR200239437 Y1 KR 200239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nap ring
fastening bolt
receiving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842U (ko
Inventor
윤중열
Original Assignee
윤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중열 filed Critical 윤중열
Priority to KR2019980017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37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금형용 체결볼트의 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금형(50)에 홀더(10)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내측상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된 수납공(11)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접하는 지지부(1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10)의 수납공(11)에 체결 볼트(20)의 체결부(2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싱기 홀더(10)의 걸림턱(12)과 체결볼트(20)의 볼트턱(22)의 사이에는 스냅링(3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홀더(10)의 지지부(13)와 체결볼트(20)의 사이에는 스프링(40)이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30)과 접하는 걸림턱(12)이 상부에 형성된 홀더(10)의 수납공(11)의 내측면에 스냅링(30)의 외측면이 접하는 안내면(14)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냅링(30)이 수납공(11)의 아래쪽에서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의 볼트턱(22)에 걸리도록 내경이 확대되어 설치된 후, 홀더(10)의 수납공(11)에 형성된 안내면(14)을 따라 올라가면서 스냅링(30)의 외측면이 접하며 압축되는 것에 의해 스냅링(30)의 내경이 원래의 내경으로 원상복귀됨으로서, 체결볼트(20)가 홀더(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스냅링(30)의 양측단부가 접한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
본 고안은 파일금형용 체결볼트의 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파일금형의 좌우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는 홀더에 스냅링을 이용하여 체결볼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와 같이 크기가 크고 길이가 긴 콘크리트 성형 물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사용되는 파일금형은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의 너트와 체결볼트가 결합된 홀더가 용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일금형(50)에 홀더(10)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내측상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된 수납공(11)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접하는 지지부(1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10)의 수납공(11)에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걸림턱(12)과 체결볼트(20)의 볼트턱(22)의 사이에는 스냅링(3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홀더(10)의 지지부(13)와 체결볼트(20)의 사이에는 스프링 (4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조립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냅링(30)을 홀더(10)의 수납공(11)의 위에 놓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충격을 가하여 수납공(11)의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에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스냅링(30)을 거쳐서 홀더(10)의 수납공(11)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를 수납공(11)의 위에 놓고 충격을 가해 줌으로서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스냅링 (30)을 통과하면서 홀더(10)의 수납공(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스냅링 (30)은 탄성력에 의해 홀더(10)의 내부벽면 또는 내부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홈(도시되지 않음)에 강하게 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관통하는 과정에서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과 같이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홀더(10)의 수납공(11)에 삽입되고 나면,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위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체결부(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턱(22)이 스냅링(30)과 홀더(10)이 걸림턱(12)에 의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수납공(11)으로부터 위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볼트(20)와 홀더(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는, 스냅링(30)과 위치해야 하는 걸림턱(1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수납공(11)이 전길이에 걸쳐 내경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냅링(30)을 수납공(11)의 아래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한 관계로 할수없이 수납공(11)의 위에서부터 삽입해주어야 하므로, 스냅링(30)이 수납공(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망치를 이용하여 스냅링(30)에 강한 충격을 가해주어야 함으로써 작업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는, 스냅링(30)을 수납공(11)에 강한 충격으로 삽입하는 과정과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강한 충격으로 스냅링(30)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냅링(30)의 탄성력이 손상되면서 내경이 확장되는 경우에, 스냅링(20)이 볼트턱(22)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어 체겨볼트(20)의 체결부(21)가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스냅링(30)으로부터 위로 쉽게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홀더(10)와 체결볼트(20)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냅링과 접하는 걸림턱이 상부에 형성된 홀더의 수납공 하부 내측면에 스냅링의 외측면에 접하는 안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스냅링을 수납공의 아래로부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냅링의 손상을 방지하여 체결볼트가 홀더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홀더 11 : 수납공
12 : 걸림턱 13 : 지지부
14 : 안내면 20 : 체결볼트
21 : 체결부 22 : 볼트턱
30 : 스냅링 40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일금형(50)에 홀더(10)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내측상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된 수납공(11)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접하는 지지부(1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10)의 수납공(11)에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걸림턱(12)과 체결볼트(20)의 볼트턱(22)의 사이에는 스냅링(3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홀더(10)의 지지부(13)와 체결볼트 (20)의 사이에는 스프링(40)이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30)과 접하는 걸림턱(12)이 상부에 형성된 홀더(10)의 수납공(11)의 내측면에 스냅링(30)의 외측면이 접하는 안내면(14)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냅링(30)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공(11)의 아래쪽에서 볼트턱(22)에 걸리도록 설치된 후, 개방구간의 좌우 양측단부가 홀더(10)의 안내면(14)을 따라 올라가면서 안내면(14)에 의해 내경이 압축되면서 접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에 있어서, 종래와 구조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를 홀더(10)의 수납공(11)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관통시킨다. 이 경우에, 수납공(11)의 입구의 내경은 체결볼트(20)의 걸림턱 (22)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쉽사리 수납공 (11)을 관통한다.
다음에, 관통된 체결부(21)의 아래에 스냅링(30)을 끼우고, 스냅링(30)의 양측 단부가 벌어진 상태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한 스냅링(30)이 볼트턱(22)을 넘어가서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20)의 볼트턱(22)에 스냅링(30)이 설치된 후 체결볼트 (20)를 놓게 되면,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스냅링(30)과 함께 수납공(11)의 내부에서 위를 향하여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0)의 내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수납공(11)의 안내면(14)을 따라 스냅링(30)의 외측면이 접하여 압축되면서 양측단부가 접한 상태로 체결볼트 (20)의 체결부(21)에 형성된 볼트턱(22)에 설치되기 전의 원래의 내경으로 복귀되어 걸림턱(12)에 접하게 됨으로써 체결보트(20)의 체결부(21)가 수납공(11)으로부터 위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냅링(30)과 접하는 걸림턱(1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10)의 수납공(11)의 내측면에 스냅링(30)의 외측면에 접하는 안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스냅링(30)이 수납공(11)의 아래쪽을 통하여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에 형성된 볼트턱(22)에 스냅링(30)의 내경이 확대된 상태로 설치된 후에도 홀더(10)의 수납공(11)에 형성된 안내면(14)을 따라 올라가면서 스냅링(30)의 외측면이 접하며 압축되는 것에 의해 원래의 내경으로 원상복귀됨으로써 홀더(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억제됨은 물론, 상기 스냅링(30)의 양측단부가 접한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스냅링과 접하는 걸림턱이 상부에 형성된 홀더의 수납공 내측면에 스냅링의 외측면에 접하는 안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스냅링을 수납공의 아래로부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냅링의 손상을 방지하여 체결보트가 홀더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파일금형(50)에 홀더(10)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홀더(10)의 내측 상부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된 수납공(11)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 (10)의 외측 하부에는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접하는 지지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10)의 수납공(11)에 체결볼트(20)의 체결부(21)가 삽입되어고정되고, 상기 홀더(10)의 걸림턱(12)과 체결볼트(20)의 볼트턱(22)의 사이에는 스냅링 (30)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10)의 지지부(13)와 체결보트(20)의 사이에는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스냅링(30)과 접하는 내측면에 안내면(1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냅링(30)은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금형용 체결볼트 장치.
KR2019980017837U 1998-09-18 1998-09-18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KR200239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37U KR200239437Y1 (ko) 1998-09-18 1998-09-18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37U KR200239437Y1 (ko) 1998-09-18 1998-09-18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42U KR19990038842U (ko) 1999-11-05
KR200239437Y1 true KR200239437Y1 (ko) 2001-12-01

Family

ID=6951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837U KR200239437Y1 (ko) 1998-09-18 1998-09-18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67B1 (ko) * 2001-10-12 2004-07-05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100827347B1 (ko) * 2006-08-18 2008-05-06 (주) 에치케이씨 나사조립식 밸브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42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25A (en) Terminal box
KR200239437Y1 (ko) 파일금형용체결볼트장치
US6283449B1 (en) Hammer with a nail digging function
KR100406181B1 (ko) 커넥터어셈블리용리셉터클하우징
US4822300A (en) Cable wir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rapid cable connections
KR20030061283A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100368399B1 (ko) 자동차용 스테이 로드의 캡
JP4053349B2 (ja) ファスナ構造
JP2739290B2 (ja) ジエットノズルの固定装置
KR930004954Y1 (ko) 콘크리트 침목의 레일 체결장치
KR100974495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구조
KR200166004Y1 (ko) 지퍼탈피기의 치절장치
KR200221018Y1 (ko) 앵커볼트
KR200336673Y1 (ko) 수직 클램프
JPH078389Y2 (ja) ダンパアッセンブリの仮取付け治具
KR100300737B1 (ko)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맨홀
KR890006276Y1 (ko) 샷터 자물쇠 걸림간이 걸림장치
JPH045521Y2 (ko)
KR0129108Y1 (ko) 문걸이구
KR200151358Y1 (ko) 자동차의 트림 고정용 클립구조
KR200159610Y1 (ko) 화환 받침대 부품의 잠금장치
KR100448375B1 (ko) 훅 장치
KR850002905Y1 (ko) 장도리
KR200447088Y1 (ko) 램프홀더
KR19990041342U (ko)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20510

Effective date: 200308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828

Effective date: 200812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8

Effective date: 200812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