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60Y1 -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60Y1
KR200238960Y1 KR2020010010650U KR20010010650U KR200238960Y1 KR 200238960 Y1 KR200238960 Y1 KR 200238960Y1 KR 2020010010650 U KR2020010010650 U KR 2020010010650U KR 20010010650 U KR20010010650 U KR 20010010650U KR 200238960 Y1 KR200238960 Y1 KR 200238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lens
guider
synthetic res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10010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60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브릿지 또는 안경다리를 렌즈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출원 제2001-4644호의 몰딩에 의한 일체형 구조의 체결구에 있어, 동체의 체결구를 양분하여 분리한 후 각각 소재를 다르게 형성하여 결합 사용하는 2파트 결합 방식의 체결구를 제공함으로서 렌즈와 안경다리를 고정 결합하는 나사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몸체 중앙의 나사홈과, 몸체 일단의 가이더 및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가 형성된 통상의 무테안경용 체결구에 있어서,
연한 합성수지재상의 가이더와 금속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플랜지로 각각 분리형성하되, 이들의 결합을 몸체에 형성된 환형요홈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그 가이더의 일측단부 직경을 축소(쇄기형태)되게 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게 한 특징적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Inserting coupler for rimless frames}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브릿지 또는 안경다리를 렌즈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출원 제2001-4644호의 몰딩에 의한 일체형 구조의 체결구에 있어, 동체의 체결구를 양분하여 분리한 후 각각 소재를 다르게 형성하여 결합 사용하는 2파트 결합 방식의 체결구를 제공함으로서 렌즈와 안경다리를 고정 결합하는 나사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유테안경과 더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고자 미적요소를 한층 부가시킨 무테안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렌즈도수에 따라 적정한 곡률을 이루고 있는 한쌍의 렌즈를 별도의 브릿지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고, 각 렌즈의 브릿지 연결부위 반대편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를 갖는 안경다리를 접첩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렌즈와 브릿지, 렌즈와 안경다리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이 체결구는 안경다리의 일단 또는 브릿지의 각단과 렌즈를 동시에 관통하는 나사; 상기 렌즈의 내면으로부터 그 일부가 렌즈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나사가 관통되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렌즈와 나사 사이의 틈을 쿠션을 밀착시켜 렌즈의 움직임 방지와 나사의 풀림방지 역할을 하는 슬리브 와셔와; 상기 슬리브와셔를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에 체결되며 렌즈와 테를 수직으로 압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너트와; 상기 너트로부터 노출되는 나사의 단부를 커버링하며 나사부분이 길게 돌출된 것이 충돌시 인체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모자처럼 씌워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결구는 전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결합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체결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그 크기가 매우 소형이므로 이들의 취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도 매우 높은 것이다.
또한, 체결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의 수가 매우 많고 정밀하면서도 그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생산비가 매우 고가이어서 제작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2001년 실용산안등록출원 제4644호와 같이, 합성수지재 몸체의 일측에 렌즈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그 몸체의 중간부에는 렌즈를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하며, 몸체의 중심부에는 렌즈와 브릿지 또는 안경다리를 나사에 의해 결합 고정키 위한 나사홈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하나의 부품으로 브릿지 또는 안경다리와 렌즈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간소화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원가를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그 체결력이 향상되고 나사의 역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무테안경의 체결구 구조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무테안경의 체결구는 통상적으로 연질 또는 단단한 소재의 합성수지재중 하나의 수지만을 선택하여 몰딩성형하는 것인데, 체결구 소재를 연질의 소재로 사용할 경우 쿠션이 좋아 체결시 렌즈 구멍과 나사 체결부위의 틈 발생을 방지하여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체결되어진 나사가 쉽게 풀리지는 않으나 외부로 노출되어 너트 역할을 하는 부위가 나사체결시 외부로 받는 압력과 나사산이 뭉그러지면서 벌어져 너트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체결구 소재를 강한 합성수지로 성형할 경우에는, 나사를 조일 압력으로 나사산이 뭉그러지거나 벌어지지는 않으나, 렌즈구멍과 체결나사 사이에 틈을 발생하게 되어 쉽게 흔들려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체결구 전체를 연질의 수지나 단단한 소재의 수지중 하나의 수지만을 선택하여 사용함에 있어선, 무었보다도 하절기 고온의 실내 또는 차량내부에서 그 합성수지상의 몸체가 이완되거나, 동절기 기온의 하강으로 그 합성수지상의 몸체가 신축되는 구조적 한계성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체결구와 나사의 결합부위가 헐거워지거나, 브릿지와 안경다리에 고정된 렌즈가 흔들리는 미비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 실용신안 출원 제2001-4644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체형의 체결구를 두가지 부품으로 양분하여 원터치 끼움 결합 방식으로 체결토록 하되, 렌즈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부품의 소재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나사체결시 렌즈 체결공과 나사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외측으로 위치하는 다른 부품의 소재를 단단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하여 나사체결시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함으로서 체결구가 팽창하지 않고 항시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또, 렌즈 체결공에 삽입되는 부품의 외면을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용이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체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체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체결구에 의한 무테안경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체결구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나사홈
3 : 가이더 4 : 지지플랜지
5 : 환형요홈 6 : 삽입홈
7 : 환형돌부 8 : 경사면
10 : 브릿지 11 : 안경다리
12 : 렌즈 13 : 체결나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체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체결구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 체결구는 몸체(1) 중앙의 나사홈(2)과, 몸체(1) 일단의 가이더(3) 및 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4)가 형성된 무테안경용 체결구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상의 가이더(3)와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랜지(4)로 각각 분리형성하되, 이들의 결합을 몸체(1)에 형성된 환형요홈(5)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그 가이더(3)의 일측 단부직경이 축소되게 한 경사면(8)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체결구 몸체(1)의 나사홈(2)에 가이더(3)의 직경과 일치되는 삽입홈(6)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환형요홈(5)를 형성하며, 분리된 가이더(3)의 외주면에는 전기한 환형요홈(5)와 대응되는 환형돌부(7)를 형성하여, 가이더(3)의 단부 및 환형돌부(7)가 몸체(1)의 삽입홈(6) 및 환형요홈(5)에 삽입결합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더(3)와 몸체(1)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1)의외주면에 환형요홈(5)를 형성하여, 그 환형요홈(5)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랜지(4)를 그 환형요홈(5)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브릿지, 11은 안경다리, 12는 렌즈, 13은 체결나사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체결구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몸체(1)와 연한 합성수지재의 가이더(3)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몸체(1)의 나사홈(2) 단부에는 별도의 삽입홈(6) 및 환형요홈(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삽입홈(6) 및 환형요홈(5)에 환형돌부(7)가 형성된 가이더(3)를 원터치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면 완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결합을 갖는 체결구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렌즈(12)와 브릿지(10) 또는 렌즈(12)와 안경다리(11)를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통상의 방법과 같이 이격된 렌즈(12)의 사이에는 브릿지(1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브릿지(10) 및 안경다리(11), 렌즈(12)의 각단부에는 상호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도면에는 미도시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12)의 통공과 브릿지(10)의 통공을 서로 일치시킨 후 경사면(8)을 갖는 연질의 가이더(3)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더(3)가 삽입되면 그 지지플랜지(4)는 렌즈(12)의 통공 주면과 접촉되며 보다 견고한 지지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더(3) 및 몸체(1)가 렌즈(12)의 통공에 삽입이 된 후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체결나사를 렌즈(12) 및 브릿지(10)의 통공에 삽입하여 이를 회전시켜 그 체결구 몸체(1)의 나사홈(2)에 삽입하는 것인데, 이때 그 나사홈(2)을 체결나사(1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형성하므로서 체결나사(13)가 완전히 삽입된 이후에는 그 체결나사(13)의 외경에 의해 가이더(3)의 외경이 소폭 확대되게 하므로서 렌즈(10)와 가이더(3)의 결합이 보다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된 체결구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더(3)가 지지플랜지(4)를 형성한 금속재 몸체(1)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기온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가이더(3)가 신축 또는 이완되더라도 기온의 변화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금속재 몸체(1)에 의해 브릿지(10) 또는 안경다리(11)와 렌즈(12)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거나 몸체가 팽창하면서 외력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체결부위가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없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체결구의 지지플랜지(4)만을 그 몸체(1)로부터 분리형성하되, 이를 강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하여 그 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요홈(5)에 그 지지플랜지(4)를 삽입하여 결합한 체결구를 갖고, 브릿지(10) 또는 안경다리(11)와 렌즈(12)를 각각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몸체(1) 및 가이더(3)가 일체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랜지(4)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므로, 체결나사(13)를 삽입하게 되면 가이더(3)는 물론 몸체(1)와 체결나사(13)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기온의 변화에 따른 몸체(1) 및 가이더(3)의 신축, 이완작용을 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지지플랜지(4)에 의해 억제하므로 역시 전기한 바와 같이 렌즈(12)와 브릿지(10) 또는 렌즈(12)와 안경다리(11)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나사가 풀리거나, 헐겁거나 흔들리는 문제점이 제거되는 것이다.
즉, 기온의 상승에 의해 몸체(1) 및 가이더(3)가 이완돠는 경우에는 그 몸체(1)의 외경 이완이 금속재 지지플랜지(4)에 의해 억제되어 이완을 방해하는 것이며, 기온의 하강에 의해 몸체(1)가 신축되는 경우에는 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요홈(5)의 길이가 단축될 것이므로 그 환형요홈(5)의 내부에 삽입된 금속재 지지플랜지(4)가 그 몸체(1) 및 환형요홈(5)의 신축을 억제하여 치수변화를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무테안경용 체결구는 가이더를 연질로하고 지지플랜지를 금속 또는 강한 소재로하여 나사체결시 가이더 부분이 공간 틈을 채워주고, 지지플랜지가 압력을 지지하여 나사가 잘 풀리지 않으면서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고, 비교적 기온의 영향을 적게 받는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체결캡 또는 플랜지부에 의해 하절기 및 동절기에도 무테안경의 체결력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없으며, 그 분리된 체결캡 또는 지지플랜지를 몸체와 용이하게 결합토록 하므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게 하면서도, 그 경사상의 가이드부에 의해 렌즈의 결합공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게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1) 중앙의 나사홈(2)과, 몸체(1) 일단의 가이더(3) 및 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4)가 형성된 통상의 무테안경용 체결구에 있어서,
    연한 합성수지재상의 가이더(3)와 금속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플랜지(4)로 각각 분리형성하되, 이들의 결합을 몸체(1)에 형성된 환형요홈(5)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그 가이더(3)의 일측단부 직경을 축소(쇄기형태)되게 하여 경사면(8)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의 나사홈(2)에 가이더(3)의 직경과 일치되는 삽입홈(6)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환형요홈(5)를 형성하며, 분리된 가이더(3)의 외주면에는 환형돌부(7)를 형성하여, 가이더(3)의 단부 및 환형돌부(7)가 몸체(1)의 삽입홈(6) 및 환형요홈(5)에 삽입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더(3)와 몸체(1)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1)의 외주면에 환형요홈(5)를 형성하여, 그 환형요홈(5)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금속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랜지(4)를 그 환형요홈(5)에 삽입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KR2020010010650U 2001-04-16 2001-04-16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KR200238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50U KR200238960Y1 (ko) 2001-04-16 2001-04-16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50U KR200238960Y1 (ko) 2001-04-16 2001-04-16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453A Division KR20020081555A (ko) 2002-04-04 2002-04-04 무테안경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60Y1 true KR200238960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650U KR200238960Y1 (ko) 2001-04-16 2001-04-16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9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KR200238960Y1 (ko) 무테안경용 삽입 체결구
KR20110005467U (ko) 플라스틱안경테의 렌즈 및 안경다리 결합구조
KR200472408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
KR20020081555A (ko) 무테안경용 체결구
KR200231976Y1 (ko) 무테안경용 체결구 구조
KR20110010769A (ko) 렌즈용 파스너
KR102074581B1 (ko) 안경테의 코받침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CN221101172U (zh) 一种非金属眼镜架
KR200253040Y1 (ko) 반테안경
JP2738490B2 (ja) 眼鏡枠蝶番用緩み止め締付け部品
KR200253039Y1 (ko) 무테안경용 볼트 및 너트
KR200299181Y1 (ko) 무테안경 조립용 고정나사
KR200220749Y1 (ko) 무테안경의 구조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H0132017Y2 (ko)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0337979Y1 (ko) 반테 안경테와 렌즈의 조립구조
KR200238995Y1 (ko)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200278743Y1 (ko) 무테안경의 체결구조
KR200229470Y1 (ko) 무테안경용 와셔
KR200300610Y1 (ko) 무테안경의 고정너트 및 고정볼트 록킹장치
US20030197831A1 (en) Lens fastening device for frameless spectacles
KR200259929Y1 (ko) 무테 안경렌즈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