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938Y1 - 전자파 흡수지 - Google Patents

전자파 흡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938Y1
KR200237938Y1 KR2020010011813U KR20010011813U KR200237938Y1 KR 200237938 Y1 KR200237938 Y1 KR 200237938Y1 KR 2020010011813 U KR2020010011813 U KR 2020010011813U KR 20010011813 U KR20010011813 U KR 20010011813U KR 200237938 Y1 KR200237938 Y1 KR 200237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wave absorbing
conductive polymer
electromagnetic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권오
박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1001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938Y1/ko

Link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석, 은, 페라이트등의 금속성 첨가물질과 폴리아닐린, 폴리피롤등의 전도성 고분자물질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파 흡수지에 관한 것으로,
전도성 고분자물질(6)과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endust), 망간, PANI 등의 금속성첨가물질(5)(5')과의 혼합물을 크레졸, 클로로포름등에 녹여 만든 용액을 흡수성, 유연성이 우수한 부직포(1)에 함침시킴으로써,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기파 차폐물질과는 달리 전자기파 차폐특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유연성, 가공용이성 및 내부식성등이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전자파 흡수지{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cloth}
본 고안은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전자파 흡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주석, 은, 페라이트등의 금속성 첨가물질과 폴리아닐린, 폴리피롤등의 전도성 고분자물질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파 흡수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기기의 발달이 우리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4의 공해 또는 무형의 환경오염물질로 불리우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인간에 해를 끼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파는 각종 기계의 오작동 원인이 되어 산업재해를 일으키기도 하고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심각한 영향을 주기도 하는데, 이러한 예로 자동차 고전압 발생장치 및 시동시 점화장치의 스파크(spark)로 인해 생기는 전파 노이즈에 의한 내부제어장치 및 전자제품의 효율 저하 및 수명단축, 전자장비들 사이의 상호교란, 인체의 마이크로파에 대한 장기노출의 경우 야기되는 녹내장, 각종 암 발생, 생식능력의 저하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전자기파에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을뿐아니라 이러한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자기파 장해에 대한 측정 및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측정설비 및 우수한 차폐재료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어 오고 있으며, 이에 부응한 종래 전자기파의 차폐재료로는 전기 전도도 와 유전상수가 높아서 전자기파의 반사나 흡수계수가 높은 구리, 철, 알루미늄, 아연, 주석, 베릴륨 등의 금속과 페라이트, 유전체 등의 세라믹물질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금속이 경우 무겁고, 공기중에서 산화되며, 실제적인 형태로 가공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값비싼 단점이 있으며, 세라믹의 경우도 고온에서 열처리해야 하고, 여러가지 형태로의 가공이 쉽지 않으며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섬유강화 복합재료, 플라스틱 복합재료 등 전도성복합체의 사용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1-25644호의 「전자파 차폐용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9-20817호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7-24215호의 「전자기파 흡수용 도포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도포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단순히 금속과 수지를 기계적으로 층별로 도포하거나 물리적으로 블렌딩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비록 이들 재료들이 종래 금속재료에 비해 가벼우며, 가공용이성 및 내부식성 개선된 장점은 있으나 전자기파 차폐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실용화에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자등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우수한 전자기파 차폐 특성을 갖을 뿐아니라 유연성, 가공용이성 및 내부식성등을 갖는 조성물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결과, 종래의 전자기파 차폐용 물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물질인 전도성 고분자물질을 사용하여 합성조건 및 가공방법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었으며,
특히, 상기 전도성 고분자물질과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endust), 망간, PANI 등의 금속성첨가물질과의 혼합물을 크레졸, 클로로포름등에 녹여 만든 용액을 흡수성, 유연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함침시킴으로써,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전자기파 차폐물질과 달리 전자기파 차폐특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유연성, 가공용이성 및 내부식성등이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흡수지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흡수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부직포 2 : 인쇄액
3 : 인쇄롤러 4 : 합침된 부직포
5, 5' : 금속성 첨가물질 6 : 전도성 고분자물질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흡수지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흡수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흡수지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등의 전도성 고분자물질(6)과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endust), 망간, PANI 등의 금속성첨가물질(5)(5')이 함께 용매에 용해되어진 인쇄액(2)이 부직포(1)에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물질(6)로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피롤이 주로 사용되며, 용매로는 DMSO, NMP, 크레솔, 클로로포름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금속성 첨가물질(5)(5')로는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andust), 망간, PANI, 흑연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미분 또는 후레이크 타입(Flake type)으로 사용된다.
상기 금속성 첨가물질(5)(5')의 원소재 바인딩시에는 원소재의 함유량을 최대로 하여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원소재의 함유량이 8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 금속성 첨가물질(5)(5')은 상기 물질들중에서 하나의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몇가지 물질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도성 고분자물질(6)은 전자파 차폐율을 우수하게 유지하기위해 저항을 1Ω이하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분자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 금속 차폐재료에 비해 가벼울 뿐 아니라 유연성 및 가공용이성을 그대로 가지므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조가 용이하며 차폐효율조절이 화학적 처리에 의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을 표 1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또한, 표 1에서와 같이 전기 전도도와 전자기파의 차폐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전자기파 차폐효율 측정은 미 국립 표준기술연구원 (NIST)에서 개발된 원역장 차폐효과 측정셀 (ASTM : D 4935-89 규격)로 플랜지형 동축전송선(flanged circular coaxial transmission-line)을 사용하였다.
표 1
전도성고분자물질 도판트/금속성 첨가물질 성능 변수 항목
용매 조성비(wt%,mole) 두께 (mm) 표면저항(Ω) 전기전도도(S/cm) EMI SE(dB)
폴리아닐린 (PANI) HCL도핑(ES) HCL - 0.14 150-180 5 23-25
ES+페라이트 NMP 2:1.5wt% 0.23 25-40 - 28-44
ES+카본블랙 2:1wt% 0.24 30-50 - 30-34
ES+흑연 2:1wt% 0.23 - - 28-34
ES+흑연 2:1.5wt% 0.24 5-10 - 36-42
ES+흑연 2:2wt% 0.26 - - 25-38
ES+Ag 2:1.5wt% 0.14 0.1-2 - 44-55
EB/HCSA m-크레솔 1:2mole 0.05 10-30 240 30-34
한편,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흡수지의 제조공정도로서,
부직포(1)는 인쇄롤러(3)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내부 깊숙히 금속성첨가물질(5)(5') 및 전도성고분자물질(6)이 용해되어진 인쇄액(2)이 함침되어짐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흡수지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전자파 흡수지는 유연성이 거의 그대로 유지됨으로 적용부위에 제한받지않고 널리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이 되지 않으며 가공조건의 조절에 따라 차폐효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전도성 고분자물질(6)과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endust), 망간, PANI 등의 금속성첨가물질(5)(5')과의 혼합물을 크레졸, 클로로포름등에 녹여 만든 용액을 흡수성, 유연성이 우수한 부직포(1)에 함침시킴으로써,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기파 차폐물질과는 달리 전자기파 차폐특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유연성, 가공용이성 및 내부식성등이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Claims (3)

  1. 폴리아닐린, 폴리피롤등의 전도성 고분자물질(6)과 주석, 은, 페라이트, 샌더스트(Sendust), 망간, PANI 등의 금속성첨가물질(5)(5')이 함께 용매에 용해되어진 인쇄액(2)이 부직포(1)에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흡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는 DMSO, NMP, 크레솔, 클로로포름등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흡수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첨가물질(5)(5')은 미분 또는 후레이크 타입(Flake type)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흡수지.
KR2020010011813U 2001-04-24 2001-04-24 전자파 흡수지 KR200237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13U KR200237938Y1 (ko) 2001-04-24 2001-04-24 전자파 흡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13U KR200237938Y1 (ko) 2001-04-24 2001-04-24 전자파 흡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938Y1 true KR200237938Y1 (ko) 2001-11-22

Family

ID=7310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813U KR200237938Y1 (ko) 2001-04-24 2001-04-24 전자파 흡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9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35A (ko) *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기파 흡수체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흡수체용 시트의 제조방법
KR100715100B1 (ko) 2005-11-11 2007-05-07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전자파 차폐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830B1 (ko) * 2007-01-23 2008-03-0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 밸브
KR100812590B1 (ko) * 2007-03-12 2008-03-1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35A (ko) *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기파 흡수체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흡수체용 시트의 제조방법
KR100715100B1 (ko) 2005-11-11 2007-05-07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전자파 차폐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830B1 (ko) * 2007-01-23 2008-03-0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 밸브
KR100812590B1 (ko) * 2007-03-12 2008-03-1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ini et al. Structural details, electrical properties,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response of processable copolymers of aniline
Bigg The effect of compounding on the conductive properties of EMI shielding compounds
US6548196B2 (en) Wallpaper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kşit et al.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ated cotton fabric with barium ferrite doped polyaniline film
US4557859A (en) Vulcanized olefin-based rubber composition
KR200237938Y1 (ko) 전자파 흡수지
KR200237936Y1 (ko) 전자파 흡수지
CN1646000A (zh) 抗电磁波干扰材料及其制造方法
Zhang et al. Double-shell PANS@ PANI@ Ag hollow microspheres and graphene dispersed in epoxy with enhanced microwave absorption
KR200237937Y1 (ko) 전자파 흡수지
KR20200136471A (ko) 전자파 흡수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hawan et al. Conducting fabrics as a shield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Lebedev et al. Design and research polymer composites for absorpt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KR20020082243A (ko) 전자기파 차폐 특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10109813A (ko) 가용성 폴리아닐린 염을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체용 도료제조방법
Çifci et al.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mineral doped waste paper fiber
KR20020006317A (ko)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69452B (zh) 一种电磁屏蔽用羧基丁腈橡胶复合膜的制备方法
Pinto et al. Electromagnetic, morpholog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POMA/Carbon nanotubes-based composites
Gujral et al. Designing of multiphase fly ash/MWCNT/PU composite sheet against electromagnetic environmental pollution
KR920007207B1 (ko)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CN103756635A (zh) 一种介孔氧化硅泡沫基复合吸波材料的制备方法
Saini et al. Effect of controlled doping on electrical properties and permittivity of PTSA doped polyanilines and their EMI shielding performance
CN112281503A (zh) 一种柔性石墨烯/钡铁氧体复合织物及其制备方法
Chandran et al. A green mediated synthesis of glass fiber‐nickel ferrite‐polyaniline ternary composite: An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outstan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