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207B1 -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 Google Patents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207B1
KR920007207B1 KR1019880011404A KR880011404A KR920007207B1 KR 920007207 B1 KR920007207 B1 KR 920007207B1 KR 1019880011404 A KR1019880011404 A KR 1019880011404A KR 880011404 A KR880011404 A KR 880011404A KR 920007207 B1 KR920007207 B1 KR 92000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core wire
ignition cable
nois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490A (ko
Inventor
박희완
Original Assignee
박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완 filed Critical 박희완
Priority to KR101988001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207B1/ko
Priority to JP63316565A priority patent/JPH0752605B2/ja
Priority to US07/321,087 priority patent/US4998090A/en
Publication of KR90000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63Ignition cable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종래 점화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케이블 2 : 심선
3 : 절연피복지 4 : 피복지
5 : 전도성고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점화코일에서 발생되는 20㎸이상의 고전압임펄스시그널(impu1se signal)을 배전기와 점화플러그에 계속 전달하도록 된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의 심선을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카본파이버(carbon fiber)로 하면서 심선외표면을 전도성고무로 피복함으로써 저항치를 국제저항치인 16kΩ/M보다 훨씬 낮은 200OΩ/M로 하여 플러그에 강력한 스파크(spatk)를 발생시킬 수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자기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점화코일(ignition coil)과 배전기(distributer) 및 점화플러그를 연결하는 점화케이블을 구리등과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선으로 할 경우에는 저항치가 낮아 전도율이 우수하므로 점화플러그에 고전류가 가해져 강력한 스파크(불꽃방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엔진의 기동력이 우수하게 발휘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화케이블은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차량내의 라디오와 같은 전자기기는 물론 주변의 무선통신기기 및 TV등에 잡음을 발생시키거나 화질을 떨어뜨리게 되어 통신 및 TV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국제적으로 금속재로 된 점화케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게 규정하고 있는바, 각국의 규정. 예컨대 KS, JIS, ASTM에 따라 고주파노이즈(high frequcy noise)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물질의 전기도전성케이블을 사용하도록 규정하면서 이 점화케이블의 저항치가 잡음의 발생이 가장적은 고분자전도성물질의 한계저항치인 16㏀/M가 되도록 저항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힌 고분자전도성물질로 된 점화케이불 억시 엔진의 가동 과정에 많은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제2a도 내지 제2e도는 현재 공지공용되고 있는 점화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각 케이블은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D+G 부분]
①고무에 전도성 카본블랙(CC; electric conductive carbon black)을 배합한 것.
②합성수지에 카본블랙(C.C)을 배합한 것.
[G 부분]
①그라스화이버(glass fiber)단독 또는 그라이스화이버에 전도성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높인것.
②아라마이드(aramide) 섬유 단독 또는 아라마이드섬유에 전도성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된 것(항장대(抗張帶)로서 작용함).
[E 부분]
고주파잡음방지용 사장체(magnetic rubber)를 사용하고, 긱경이 0.2㎜인 금속선(F)을 E부분에 감아전선의 길이를 길게한 것.
[A-B 부분]
전기의 흐름을 방지하는 비전도성고무.
C 부분
케이블의 힘을 받쳐주는 항장대(抗張帶)역할을 하는 그라이스화이버로 편조된 것.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기전도성물질로 이용되고 있는 카본블랙은 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에 카본볼랙을 첨가시켜 형성한 저분자물질의 아세틸렌카본블랙(acetylene carbon black)으로서, 이는 전도성을 높이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전도성 저분자카본블랙(carbon black)의 전도성에는 한계가 따르게 된다.
즉, 고무나 합성수지에 많은 양의 카본블랙을 배합하면, 전도성이 상승하는 반면 고무나 수지의 물성이 저하되게 되는데, 고무나 합성수지의 물성이 저하되게 되면 노화현상과 산화현상이 촉진되게 되고, 또 굴곡력이 양해지며, 충격에도 매우 약해지게 되어 쉽게 부러지게 될 뿐만 아니라, 부러질 경우 전기가 흐로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점화 케이블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나 합성수지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일정저항치(16㏀/M)를 유지시키는데는 한계가 따르게 되므로, 케이블의 심선, 즉 항장대(G부분)의 그라스화이버나 아라마이드(aramide)섬유에 전도성 카본블랙을 혼합시켜 전도성을 높혀 저항치를 16㏀/M이하로 하강시키는데도 한계가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화코일에서 유기된 고전압에 의한 전도성고무의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사용하면 할수록 저항치가 16㏀/M이상으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점화플러그(spark plug)에 전류가 양호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점화플러그의 스파크불꽃이 약회되고, 그에 따라 실린더내의 연료가 완전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중에 방줄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많은 양의 연로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상기한 주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고주파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점화플러그에 강력한 불꽃을 발생시킴으로써 실린더내의 연료를 완전연소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을 제공항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선(2)의 외부에 인슐레이터 및 인너브레이드로 된 절연피복지(3)와 인슐레이터 및 쉬스로된 피복지(4)가 가례로 피복된 점화케이블(1)에 있어서, 상기 심선(2)이 고주파 잡음흡수가 우수한
Figure kpo00001
구조로 이루어진 팬(PAN)계 탄화카본화이버로 형성되고, 상기 심선(2)의 외면에는 필요로 되는 저항치에 일치되게 팬계 탄화카본화이버가루와 전도성고무를 소정비율로 배합하여 저항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전도성피막(5)을 입혀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점화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심선(2)의 가장 바깥쪽으로부터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인너브레이드(inner braid)로 된 절연피복지(3)와 인슐레이터 및 쉬스(sheath)로 된 피복지(4)가 차례로 피복되는 바, 여기서 상기 심선(2)을
Figure kpo00002
구조로 이루어진 팬(PAN)계 탄화카본화이버(炭化 carbon fiber)로 형성하고, 상기 심선(2)의 외면에는 팬계 탄화카본화이버가루와 전도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필요료 되는 전기저항치에 따라 알맞게 배합하여 저항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전도성피막(5)을 입힌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팬계 탄화카본화이버로 이루어진 심선(2)을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계 탄화카본화이버나 코울타르 또는 석유피치(coal-tar orpetroleum Pitch)졔 탄화카본이버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점화케이블용으로 이용하기에는 많은 결점을 지닌
Figure kpo00003
의 구조식으로 된 카본블랙과는 화학구조의 특성이 상이한 폴리아크릴니트릴팬(polyacryle nitrile pan)을 질소속에서 탄화시킨 폴리아크릴필라멘트카본화이버(polyacryle fillament carbon fiber), 즉 PAN계 카본 화이버를 사용함으로써, 카본 블랙을 사용한 종래의 점화케이블에 비해 구조적으로도 고탄성체로 되어 있어 케이블자체가 고전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주파노이즈를 흡수하는 특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저항치를 용이하게 낮출 수 있게 됨으로써 전기적인 특성도 매우 우수하게 되어 점화플러그에 강력한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케이블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심선으로 사용되던 그라스화이버나 아라마이드화이버 및 카본블랙 대신 전도성 팬계 카본화이버를 이용하여 심선(2)을 형성하고, 전도성피막(5)에도 전도성 팬계 카본화이버가루를 전도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피막(5)의 전도성과 심선(2)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우수한 잡음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사용된 측정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측정기종류 : VHF측정기(Anritus Electric Co. 일본모델 M-3217)
UHF측정기(Potomac Instruments INC. 미국모델 F/M-72)
본 그래프에서 작은 원형의 점을 이은 일점쇄선, 즉 선"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noise)이고, 점선, 즉 선"2"는 시험현장소의 노이즈이며, 실선, 즉 선"3"은 국제 SAE규격의 한계노이즈이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이즈는 국제규격의 한계노이즈보다 훨씬 낮은 -8dB로 매우 우수함을 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심선(항장대)으로 사용되던 그라스화이버 또는 카본블랙 대신 전도성물질로서 노이즈를 흡수하는 폴리아크릴필라멘트카본화이버를 이용하면서 심선의 외부보강피막을 전도성 폴리아크릴필라넨트카본화이버의 가루(powder)를 전도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배합시켜 필요한 전기저항치에 따라 알맞게 형성항으로써 16㏀/M~0㏀/M이하의 저항치를 갖는 고주파노이즈방지용 점화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내의 전자제품 및 주변의 통신기기나 TV등에 미치는 고주파노이즈의 영향을 게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저항치가 낮은 만큼 점화플러그에 고전류가 인다되게 되어 강력한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실린더내의 혼합연료(가소린 : 공기=1 : 15)를 완전연소시킴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케이블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강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3)

  1. 심선(2)의 외부에 인슐레이터 및 인너브레이드로 된 절연피복지(3)와 인슐레이터 및 쉬스로된 피복지⑷가 차례로 피복된 점화케이블(1)에 있어서, 상기 심선(2)이 고주파잡음흡수가 우수한
    Figure kpo00004
    구조로 이루어진 팬(PAN)계 탄화카본화이버로 형성되고, 상기 심선(2)의 외면에는 필요로 되는 저항치에 일치되게 팬계 단화카본화이버가루와 전도성고무를 소정비울율 배합하여 저항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된 전도성피막(5)을 입혀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2)이 비스코스레이욘(viscos rayon)계 탄화카본화이버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2)이 고울타르 또는 석유피치(coal-tar or Petroleum Pitch)계 탄화카존 화이버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KR1019880011404A 1988-09-02 1988-09-02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KR92000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404A KR920007207B1 (ko) 1988-09-02 1988-09-02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JP63316565A JPH0752605B2 (ja) 1988-09-02 1988-12-16 エンジンの点火ケーブル
US07/321,087 US4998090A (en) 1988-09-02 1989-03-09 Engine ignition cable for preventing unwanted interference due to high frequency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404A KR920007207B1 (ko) 1988-09-02 1988-09-02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490A KR900005490A (ko) 1990-04-14
KR920007207B1 true KR920007207B1 (ko) 1992-08-27

Family

ID=1927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404A KR920007207B1 (ko) 1988-09-02 1988-09-02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98090A (ko)
JP (1) JPH0752605B2 (ko)
KR (1) KR920007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32B1 (ko) * 2008-03-28 2009-10-16 이광주 자동차 고압 이그니션 케이블 및 상기 고압 이그니션케이블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938A (en) * 1990-04-20 1992-12-15 Yazaki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fault prevention cable
US5414216A (en) * 1993-10-12 1995-05-09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 resistive carbon fiber wire
CN101156220B (zh) * 2005-04-04 2013-06-12 林陆妹 用于火花点火式内燃机的点火装置以及点火电缆
CN102930927A (zh) * 2011-08-08 2013-02-13 戴永国 汽车发动机强力高压点火电线
US9715954B2 (en) 2015-04-06 2017-07-25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Cables having a conductive composite cor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5675A (en) * 1975-04-03 1976-10-12 Toho Rayon Co Ltd High-voltage resistance cable
DE2807767C2 (de) * 1978-02-23 1984-05-03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Feuchtigkeitsgeschütztes kunststoffisoliertes elektrisches Energiekabel
US4576827A (en) * 1984-04-23 1986-03-18 Nord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spray coating system
US4818438A (en) * 1985-07-19 1989-04-04 Acheson Industries, Inc. Conductive coating for elongated conductors
JPS62274505A (ja) * 1986-05-22 1987-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雑音防止用高圧抵抗電線
GB2213980B (en) * 1987-12-24 1991-11-06 Yazaki Corp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32B1 (ko) * 2008-03-28 2009-10-16 이광주 자동차 고압 이그니션 케이블 및 상기 고압 이그니션케이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75764A (ja) 1990-03-15
US4998090A (en) 1991-03-05
JPH0752605B2 (ja) 1995-06-05
KR900005490A (ko) 199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297A (en) Cable with high frequency suppresion
ES484579A1 (es) Perfeccionamiento en dispositivos de disipacion electricos.
US2428608A (en) Plastic dielectric composition and shielded spark plug terminal construction comprising same
US4970488A (en) Noise-suppressing high voltag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A1096159A (en) Dielectric compositions stabilized against water treeing with organo silane compounds
US2322773A (en) Electrical conductor
US7665451B2 (en) Ignition apparatus
US4145475A (en) Flame and heat resistant ethylene-propylene rubber and conductor product insulated therewith
US4748436A (en) Noise prevention high voltage resistance wire
KR920007207B1 (ko) 가소린 및 가스엔진의 잡음방지용 점화케이블
JPH03184213A (ja) 雑音防止用高圧抵抗電線
US4557859A (en) Vulcanized olefin-based rubber composition
US5576514A (en) Coil type high-voltage resistive cable for preventing noise
JPH06176631A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を用いた難燃性・耐摩耗性に優れる電線・ケーブル
US3872338A (en) Spark plug
CA1044006A (en) Modified copper-aluminum suppressor element
JPH09190729A (ja) 半導電性複合碍子
KR200203666Y1 (ko)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점화케이블
JPS63301416A (ja) 内燃機関点火用電線
Duffy et al. Discharge-Resistant Characteristics of the Polyethylenes for Wire and Cable
JPH07111846B2 (ja) 直流電力ケ−ブル
JP2004003512A (ja) スパーク・プラグ・ケーブル及びスパーク・プラグ・ケーブルの調整方法
JPH01319208A (ja) 雑音防止電線
JPH0574629A (ja) 高圧電線装置
Pfuntner et al. A new dry-type insulation for instrument transfor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