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29Y1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29Y1
KR200237829Y1 KR2020010008926U KR20010008926U KR200237829Y1 KR 200237829 Y1 KR200237829 Y1 KR 200237829Y1 KR 2020010008926 U KR2020010008926 U KR 2020010008926U KR 20010008926 U KR20010008926 U KR 20010008926U KR 200237829 Y1 KR200237829 Y1 KR 200237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lishing
grinding wheel
present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민
Original Assignee
홍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민 filed Critical 홍순민
Priority to KR2020010008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연마시 날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날의 예리함을 더욱 향상시키고, 연마된 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며, 연마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마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숫돌에 날이 접촉되면서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되고, 고온의 마찰열은 날의 물성을 변화시킴은 물론 미세한 정도까지 날을 연마시킬 수 없어 결국 회전숫돌에 의해 1차로 날을 연마한 후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키는 2차의 연마공정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날(100)에 접촉되어 날을 연마시키는 숫돌(20)과, 상기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와, 상기 구동장치(2)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장치(5)와. 상기 숫돌이 날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6)로 연마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수작업으로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켜 연마하는 방식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라도 쉽게 날을 연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연마장치{grinding equipment}
본 고안은 물체를 베고 자르고 깍는데 사용되는 모든 공구의 날을 예리하게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시 날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날의 예리함을 더욱 향상시키고, 연마된 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며, 연마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베고 자르고 깍는데 사용되는 모든 공구의 날은 사용에 따라 물체와 마찰되면서 무디어지기 마련이고, 날을 예리하게 하기 위하여는 숫돌에 날을 마찰시켜 연마하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날 연마방식은 사람이 손으로 날을 잡고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키면서 날을 갈고, 연마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날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에 수시로 물을 묻혀가면서 날을 갈아왔다.
이러한 종래의 연마방식은 수작업에 의해 날을 연마시킴에 따라 날에 무리한 힘이 전가되지 않아 날의 조직이 쉽게 파괴되지 않으며, 숫돌에 날을 압착시키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날의 예리함을 미세한 정도까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날을 가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및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회전하는 숫돌에 날을 접촉시켜 연마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숫돌에 날이 접촉되면서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되고, 고온의 마찰열은 날의 물성을 변화시킴은 물론 미세한 정도까지 날을 연마시킬 수 없어 결국 회전숫돌에 의해 1차로 날을 연마한 후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키는 2차의 연마공정을 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수작업으로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켜 연마하는 방식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라도 쉽게 날을 연마시킬 수 있게 하는 날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날에 접촉되어 날을 연마시키는 숫돌과, 상기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장치와. 상기 숫돌이 날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인 구동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함체 2. 구동장치
3. 동력장치 4. 급수장치
5. 동력전달장치 6. 압착조절장치
본 고안은 날에 접촉되어 날을 연마시키는 숫돌과, 상기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숫돌이 날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로 구성되어 수작업으로 날을 숫돌에 마찰시키는 재래식의 연마방식의 효과를 얻는 동시에 연마동작을 자동화하여 비 숙련자라도 쉽게 연마작업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인 구동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마장치는 함체(1)의 중앙에 날(100)을 연마시키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고, 이의 일측에 상기 구동장치(2)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3)인 모터(30)가 설치되며, 또 다른 일측에 날(100)과 숫돌(2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급수장치(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2)는 한쌍의 숫돌(20)이 각각의 케이스(21)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1)는 브라켓(22)의 안내홈(23)을 따라 승 하강될 수 있게 케이스(21)의 후면에 안내돌기(2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3)인 모터(30)의 동력을 숫돌(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은 모터(30)축에 연결되는 크랭크축(50)과,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돌기(25)에 전달하여 숫돌케이스(21)를 승하강되게 하는 로드(5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숫돌(20) 하부에는 숫돌을 날(100)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6)가 설치된다.
압착조절장치(6)는 숫돌(20)의 사이로 삽입되는 날(100)에 눌리어지는 받침판(60)과,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쐐기(61)와, 상기 쐐기의 하강에 의해 양측으로 확개되는 탄성판(64)과, 확개되는 탄성판(64)과 브라켓(22)을 연결시키는 밀대(65)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22)의 하단은 함체(1)와 힌지축(24)으로 연결시켜 밀대(65)에 의해 브라켓(22)이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60)과 쐐기(61)의 사이에는 함체(1)에 형성된 요홈(10)을 따라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고정판(62)이 설치되며, 고정판(62)과 받침판(60)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6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60)의 저부에 모터(30)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35)를 설치시켜 날(100)이 받침판(60)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모든 장치가 동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급수장치(4)는 냉각수를 보관하는 물탱크(40)와 냉각수를 이송시키는 펌프(41)와 냉각수를 분출시키는 노즐(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한쌍의 숫돌(20)사이로 연마시키고자 하는 날(100)을 삽입시키고, 날(100)의 등부분(101)으로 받침판(60)을 누르게 되면, 하강되는 받침판(60)이 스위치(35)를 접점시키고, 스위치의 접점에 의해 모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회전구동 된다.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50)이 회전되고, 크랭크축(50)에 설치된 로드(51)가 상하운동을 하면서 로드(51)와 연결된 안내돌기(25)가 브라켓(22)의 안내홈(23)을 따라 승하강되고 케이스(21)의 전면에 설치된 숫돌(20) 또한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한쌍의 숫돌(20)은 일측의 숫돌이 상승되면 또 다른 일측의 숫돌(20)은 하강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계속되는 날(1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쐐기(61)가 탄성판(64)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탄성판(64)이 양측으로 확개되고, 이에 따라 밀대(65)가 외측방으로 밀려나면서 힌지축(66)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밀대(65)의 선단이 결합된 브라켓(22)은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브라켓(22)에 설치된 숫돌(20)이 날(100)과 접촉하여 날을 갈게 되는 것이다.
숫돌(20)을 날(100)에 강하게 접촉시키기 위하여는 날등(101)을 받침판(60)에 강하게 압착시키는 동작에 의해 탄성판(64)이 더욱 확개되면서 밀대가 브라켓(22)을 강한 힘으로 밀어 숫돌(20)이 날(100)에 강하게 압착되는 것이다.
날(100)의 연마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열은 물탱크(40)의 물이 펌프(41)와 노즐(42)을 거쳐 숫돌(20)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날(100)의 연마가 완료되어 받침판(60)을 누르고 있던 날을 받침판(60)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쐐기(61)가 스프링(63)에 의해 상승복귀되면서 탄성판(64)이 오므라들게 되고 밀대(65)는 힌지축(6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브라켓(22)의 상단을 벌리게 된다.
이어 날등(101)이 받침판(60)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면 스위치(35)의 접점이 단락되면서 모든 장치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고정된 숫돌에 날을 마찰시켜 연마하는 방식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라도 쉽게 날을 연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날(100)에 접촉되어 날을 연마시키는 숫돌(20)과, 상기 숫돌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와, 상기 구동장치(2)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장치(5)와. 상기 숫돌이 날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는 한쌍의 숫돌(20)이 각각의 케이스(21)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1)는 브라켓(22)의 안내홈(23)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케이스(21)의 후면에 안내돌기(25)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5)은 모터(30)축에 연결되는 크랭크축(50)과,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돌기(25)에 전달하여 숫돌케이스(21)를 승하강되게 하는 로드(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조절장치(6)는 숫돌(20)의 사이로 삽입되는 날(100)에 눌리어지는 받침판(60)과,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쐐기(61)와, 상기 쐐기의 하강에 의해 양측으로 확개되는 탄성판(64)과, 확개되는 탄성판(64)과 브라켓(22)을 연결시키는 밀대(6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2020010008926U 2001-03-30 2001-03-30 연마장치 KR200237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26U KR200237829Y1 (ko) 2001-03-30 2001-03-30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26U KR200237829Y1 (ko) 2001-03-30 2001-03-30 연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47A Division KR100419072B1 (ko) 2001-03-28 2001-03-28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29Y1 true KR200237829Y1 (ko) 2001-10-10

Family

ID=7309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26U KR200237829Y1 (ko) 2001-03-30 2001-03-30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15420B (zh) 一种钣金加工用去毛刺装置
CN214418338U (zh) 磨刀器
CN105345607A (zh) 自动磨刀机
KR200237829Y1 (ko) 연마장치
KR100419072B1 (ko) 연마장치
KR100862716B1 (ko) 브로치 커터의 연마 장치
CN217668536U (zh) 一种树脂工艺品生产用磨底设备
CN114193267B (zh) 一种弹簧内、外表面毛刺去除设备及其工作方法
CN216422050U (zh) 铝件飞轮壳表面加工装置
CN108724006A (zh) 一种砂轮自动修磨装置
JPS5882655A (ja) ドリルポイントの研削機
CN212444374U (zh) 一种用于雕刻刀的抛光机
CN220740774U (zh) 磨刀器
CN111085905A (zh) 一种磨刀机器人
CN216657475U (zh) 一种浮雕画加工用修边磨光机
JP2004243418A (ja) 研削機
CN213615633U (zh) 一种剪刀磨面机用剪刀片上料装置
CN219275328U (zh) 一种用于磨刀机的磨刀方向自动调节装置
CN216829962U (zh) 一种新型磨刀机
CN211540538U (zh) 一种刀具切削刃加工装置
CN218856368U (zh) 一种自动磨刀机
CN215880998U (zh) 一种医学解剖器械开刃磨利设备
CN212886841U (zh) 一种便捷钣金打磨机
CN219684814U (zh) 一种刀具打磨设备
CN220463221U (zh) 一种弯头内壁自张紧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