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95Y1 -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95Y1
KR200237695Y1 KR2019970044970U KR19970044970U KR200237695Y1 KR 200237695 Y1 KR200237695 Y1 KR 200237695Y1 KR 2019970044970 U KR2019970044970 U KR 2019970044970U KR 19970044970 U KR19970044970 U KR 19970044970U KR 200237695 Y1 KR200237695 Y1 KR 200237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spring body
engine
coil spr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216U (ko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4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의 정지시 각 운동부위에 공급되었던 엔진오일이 역류하여 드레인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의 역류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오일 유입구(2)와 유출구(3)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엔진오일 속의 불순물을 여과토록 설치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중앙통로에 설치되는 지지축(7)과;
상기 지지축(7)에 끼워져 일단이 지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10)으로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체(8)와;
상기 코일 스프링체(8)의 자유단(10)에 고정 장착되어 오일펌프로 부터의 오일압을 받을때에는 코일 스프링체의 변형을 통하여 엔진오일 유출구(3)를 개방하며, 엔진오일이 역류시엔 코일 스프링체의 원상복귀에 의해 엔진오일 유출구를 차단하는 판상밸브(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류 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
본 고안은 역류 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고속으로 운전되고 많은 마찰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온의 연소열에 노출되므로 각 부품의 마모 및 과열 방지를 위해 엔진오일을 공급하여 윤활 및 냉각하게 된다.
엔진 내부의 윤활은 주요운동부분인 크랭크축, 커넥팅로드, 피스톤, 크랭크축 베어링, 캠축과 로커암 및 밸브기구등에 이루어지며, 엔진오일을 실린더 블록 하부의 오일팬에 모아 오일펌프를 가동하여 강제 압송하므로서 윤활을 하고 있다.
오일펌프에서 토출된 엔진오일은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윤활 및 냉각한 후 다시 오일팬으로 되돌려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엔진속을 순환하는 엔진오일이 엔진내부의 금속가루나 연소잔류물등의 청정 작용도 하면서 엔진 내부를 순환하고난 후 엔진 오일속에는 이들 불순물이 섞이게 된다.
이때문에 엔진오일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오일 여과기가 설치되며, 오일여과기는 일반적으로 오일 펌프의 직후에 장치되어 있다.
오일여과기는 케이스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단절하는 형태로 필터엘리먼트가 수용되어 있어 필터 엘리먼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여과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면 오일펌프의 가동도 중지되므로 각 운동부위에 공급되었던 엔진오일이 저압부인 오일팬으로 역류하여 드레인 되므로서 엔진의 시동초기 오일 공급량 부족에 의해 마모가 심화되고 엔진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엔진의 정지시 각 운동부위에 공급되었던 엔진오일이 역류하여 드레인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의 역류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오일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엔진오일 속의 불순물을 여과토록 설치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중앙통로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끼워져 일단이 지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체와;
상기 코일 스프링체의 자유단에 고정 장착되어 오일펌프로 부터의 오일압을 받을때에는 코일 스프링체의 변형을 통하여 엔진오일 유출구를 개방하며, 엔진오일이 역류시엔 코일 스프링체의 원상복귀에 의해 엔진오일 유출구를 차단하는 판상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역류 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엔진오일 유입구
3 : 엔진오일 유출구
4 : 필터 엘리먼트
5 : 철망부재
6 : 중앙통로
7 : 지지축
8 : 코일스프링체
9 : 고정단(일단)
10 : 자유단(타단)
11 : 판상밸브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중 부호 1 은 엔진오일 유입구(2)와 엔진오일 유출구(3)를 갖는 원통형 케이스이며, 엔진오일 유출구(3)는 중앙에 형성되고 유입구(2)는 유출구(3)의 바깥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 내에는 필터 엘리먼트(4)가 내장되고 그의 내측 중앙에는 오일이 통과하는 원통형 철망부재(5)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중앙통로(6), 즉 원통 철망부재(5) 내에는 지지축(7)이 고정설치되고, 지지축(7)에는 코일 스프링체(8)의 일단(9)이 고정되고 수평으로 뻗은 타단(10)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그 자유단(10)에 원판으로 구성되는 판상밸브(11)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오일펌프 가동에 의해 엔진오일이 강제 급송되어 중앙통로(6)에 오일압이 작용하면 코일스프링체(8)의 자유단(10)이 점선도시 상태로 변형되면서 유출구(3)를 열게되어 오일의 각 운동부위로 압송되게 되며,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면 코일 스프링체(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판상밸브(11)가 유출구(3)를 막게되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4)를 거쳐 유입구(2) 측으로 엔진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엔진오일 여과기의 중앙통로에 일단은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한 코일 스프링체를 설치하고 그 자유단에 판상밸브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엔진오일의 정상적인 급송압이 작용시엔 자유단이 변형되면서 판상밸브가 오일유출구를 개방하고, 반대로 역류시나 또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엔 자유단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 판상밸브가 유출구를 차단하게 되므로서 엔진오일 역류에 따른 드레인을 방지하여 엔진시동 초기 엔진오일 부족을 해소하고 마모를 저감시켜 엔진수명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오일 유입구(2)와 유출구(3)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엔진오일 속의 불순물을 여과토록 설치되는 필터 엘리먼트(4)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중앙통로에 설치되는 지지축(7)과;
    상기 지지축(7)에 끼워져 일단이 지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10)으로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체(8)와;
    상기 코일 스프링체(8)의 자유단(10)에 고정 장착되어 오일펌프로 부터의 오일압을 받을때에는 코일 스프링체(8)의 변형을 통하여 엔진오일 유출구(3)를 개방하며, 엔진오일이 역류시엔 코일 스프링체의 원상복귀에 의해 엔진오일 유출구를 차단하는 판상밸브(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형 엔진오일 여과기.
KR2019970044970U 1997-12-31 1997-12-31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KR200237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0U KR200237695Y1 (ko) 1997-12-31 1997-12-31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0U KR200237695Y1 (ko) 1997-12-31 1997-12-31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16U KR19990032216U (ko) 1999-07-26
KR200237695Y1 true KR200237695Y1 (ko) 2001-09-25

Family

ID=5389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70U KR200237695Y1 (ko) 1997-12-31 1997-12-31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1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507B2 (en) Engine oil supply apparatus
KR200237695Y1 (ko) 역류 방지형 엔진 오일 여과기
KR101023917B1 (ko) 유압밸브간극조정기가 구비된 엔진의 오일드레인 방지장치
KR101190714B1 (ko) 자동차용 오일펌프의 오일압력 조절구조
KR100277176B1 (ko) 자동차 오일펌프의 압력조절장치
KR100444876B1 (ko) 2단 구조의 릴리프 밸브
KR0128340Y1 (ko) 내연기관의 오일 공급장치
KR100444858B1 (ko) 오일 여과기
KR970003063Y1 (ko) 실린더 헤드 조립체
KR100216787B1 (ko) 엔진오일 공급장치
KR200204923Y1 (ko) 오일 냉각용 오일 필터 케이스
KR200269272Y1 (ko) 차량용 오일 여과기 안티 드레인 백 밸브
KR100235747B1 (ko) 차량용 엔진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of an oil pump for an automovile enging)
KR200212885Y1 (ko) 오일 펌프의 구동력 손실 저감 장치
KR960005515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100521204B1 (ko) 리저버 탱크를 갖춘 체인 텐셔너
KR200178402Y1 (ko) 윤활회로장치
KR100210675B1 (ko) 실린더 헤드의 오일 확보 장치
KR19980067467U (ko) 엔진 내부 오일의 역류 방지 장치
KR100401917B1 (ko) 오일 필터의 누유 방지장치
KR100401877B1 (ko) 자동차의 오일필터
KR200158441Y1 (ko) 엔진 오일압 제어장치
KR19990018324U (ko) 캠 샤프트의 오일 공급 구조
KR19980085753A (ko) 엔진의 오일 공급 구조
KR20020049294A (ko) 차량용 오일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