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93Y1 - 행거폰 - Google Patents

행거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493Y1
KR200237493Y1 KR2020000028365U KR20000028365U KR200237493Y1 KR 200237493 Y1 KR200237493 Y1 KR 200237493Y1 KR 2020000028365 U KR2020000028365 U KR 2020000028365U KR 20000028365 U KR20000028365 U KR 20000028365U KR 200237493 Y1 KR200237493 Y1 KR 200237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anger
panel
phone
pho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filed Critical 박준규
Priority to KR2020000028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493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원고안은 핸드폰이나 base송수신기와 통화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에 절첩이 가능한 걸고리를 일체로 구성하여서 귀에 걸고 사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귀에 걸지않고 통화할 때는 걸고리를 몸체의 패널에 고정시킬수 있어 사용이나 휴대 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몇가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장치를 부착하여서 숫자판을 누르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자동차 운전중이나 양손으로 작업중에 핸드폰에 손을 대지 않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행거폰{hanger phone}
본원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작업을 하는 중에 전화통화를 하고자할 때 두 손으로 하던일을 계속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자동차 운전중에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 두손을 운전대에 놓아두면서 시선은 항상 전방을 주시하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중에 핸드폰을 손으로 사용함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막는데 유효한 행거폰(hanger phone)을 제공함과 동시에 귀에 걸지 않고 통화할 때는 걸고리가 몸체에 고정되게 하므로 사용이나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에 운전기사들이 운전을 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핸드프리(handfree) 송수신기는 유선으로 연결되었거나 자동차에 별도로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잠깐동안 자동차를 타고 핸드폰을 사용해야 하는 일반 승용운전자들에게는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사용때마다 잭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구나 타인에게 전화를 걸고자 할 때는 핸드폰의 숫자판을 보면서 눌러야 하기 때문에 이것 역시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데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가정에서나 사무실에서 전화를 받을 때는 일을 도중에 멈춰야 했고, 이 경우에도 핸드프리 송수신기는 휴대나 사용상의 불편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고안의 출원인은 이미 귀에 걸고 통화를 할 수 있는 행거폰을 실용신안출원 0016398호와 특허 0015929호로 출원한 바가 있으나 이들 고안들에는 행거폰을 귀에 걸지않고 통화할 때 걸고리를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그 사용이나 휴대가 편리하지 못했던 단점이 있었다.
본원고안은 종래의 핸드폰이나 base송수신기와 통화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기에 귀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고리를 구성하고 음성인식장치를 구비한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걸고리가 몸체의 패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마이크가 설치된 덮개를 펴고 걸고리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귀에 걸어서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난 다음에는 걸고리를 원래 위치로 와서 고정구에 고정시키고 덮개를 덮으면 휴대하기 간편한 상태로 되어 운전할 때나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일을 계속하는 중에 전화기를 손에 대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1도~제3도는 걸고리가 고정구에 고정되는 실시도
제4-1도 내지 제4-3도는 고정구들의 측면 절단도
제5-1도는 걸고리, 걸고리케이스와 걸림턱의 상호 연결도면
제5-2도는 걸고리케이스의 측면 절단도
제6도는 걸고리와 지지대의 연결도면
종래의 핸드폰 몸체나 또는 base송수신기와 통화하도록 된 무선송수신기의 본체에 음성인식장치(도시되지 않았음)와 걸고리를 구성하여 이를 귀에 걸고서 상대와 통화를 할 수 있는 행거폰은 앞서 언급했던것처럼 본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내용에 없었던 기술과 걸고리의 고정수단에 관련된 본원고안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행거폰 몸체의 패널(4)에 걸고리를 설치함에 있어 걸고리를 패널에 설치하는 한가지 방식으로는 걸고리가 패널면과 직각방향(패널의 두께방향)을 축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것인데, 이와같이 걸고리가 일정각도만큼 회동후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제1도에서처럼 패널상에 걸림턱(3)을 만들거나 제3도에서와 같이 탄성편(9a)이 구비된 탄성케이스(9)를 패널상에 형성하므로서 가능하다.
걸고리 회전 구성의 다른 한가지 예로서는, 제2도에서와 같이 걸고리에 돌기부(6f)를 연설하고 패널면상에 절결부(5a)가 형성된 지지대(5)를 설치하여 이 지지대 안에서 걸고리가 일정각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걸고리가 제2도의 점선위치에 올 수도 있어 이 때는 돌기부(6f)의 위치를 조절하여 걸고리에 부착하므로서 걸고리가 지지대안에서 상하 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제1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걸림턱을 이용하여 걸고리를 회전시킬때는 제6도에서와 같은 걸고리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걸고리케이스(6b)를 구비하여(제5도 참조) 돌기부(6f)가 연설된 걸고리를 요홈(6d)이 만들어진 걸고리케이스 내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돌기부와 요홈 등을 두어서 회전각도를 제한한 것은 걸고리가 패널면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므로서 걸고리가 쉽게 귀에 착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이크가 지나치게 입 부근으로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걸고리를 귀에 걸지않고 통화를 할 때나 행거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걸고리가 패널면에 고정되게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제1도나 제3도에서와 같이 패널의 두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걸고리는 패널면에 부착하는 고정구 6c나 2와 패널면의 주위연부에 마련하는 괘지홈(8)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고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제2도에서와 같이 패널면상에 배치된 지지대(5) 안에서 회동하는 걸고리의 경우는 고정구 2나 괘지홈(8)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미설명부호 6a는 핀이고 6a'는 걸고리케이스에 천공된 핀홀이다
이와같이 된 본원고안은 운전중일때나 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행거폰을 간단히 한쪽 귀에 걸고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하던 일을 중단할 필요가 없고 걸고리를 귀에 걸지않고 통화를 할 때나 행거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걸고리를 패널에 형성한 고정구에 끼움으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또한 간편하게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패널(4)위에 걸고리를 설치함과 동시에 패널상에 형성된 고정구 또는 괘지구(8) 중 어느하나에 상기 걸고리가 고정되게 하여 사용이나 휴대를 간편하게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2. 제1항에 있어서, 걸고리는 패널(4)면과 수직방향(패널의 두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3. 제2항에 있어서, 걸고리는 탄성편(9a)이 연설된 탄성케이스(9) 내에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4. 제2항에 있어서, 걸고리는 걸림턱(3)에 의해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5. 제4항에 있어서, 걸고리에는 돌기부(6f)가 구성되고 걸고리케이스(6b)에는 요홈(6d)이 형성되어서 걸고리가 상기 걸고리케이스 안에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6. 제1항에 있어서, 절결부(5a)가 형성된 지지대(5)가 패널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 안에서 상기 걸고리가 일정각도내 회전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음성인식장치를 구비하여 숫자판을 누르지 않더라도 음성에 의해 통화상대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행거폰
KR2020000028365U 2000-10-05 2000-10-05 행거폰 KR200237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65U KR200237493Y1 (ko) 2000-10-05 2000-10-05 행거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65U KR200237493Y1 (ko) 2000-10-05 2000-10-05 행거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493Y1 true KR200237493Y1 (ko) 2001-09-26

Family

ID=7308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65U KR200237493Y1 (ko) 2000-10-05 2000-10-05 행거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49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604A (ja) * 1995-10-18 1997-05-02 Nippon Gijutsu Kk 送受話器
KR19990004097U (ko) * 1998-10-21 1999-01-25 윤연환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JP3037744B2 (ja) * 1990-11-30 2000-05-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200190254Y1 (ko) * 2000-02-16 2000-07-15 유동석 귀걸이를 이용한 폴더형 핸드폰
KR200191437Y1 (ko) * 2000-02-26 2000-08-16 나종환 핸즈프리 전화기
KR200202168Y1 (ko) * 2000-05-13 2000-11-15 하비봉 귀걸이를 갖는 핸드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744B2 (ja) * 1990-11-30 2000-05-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9116604A (ja) * 1995-10-18 1997-05-02 Nippon Gijutsu Kk 送受話器
KR19990004097U (ko) * 1998-10-21 1999-01-25 윤연환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KR200190254Y1 (ko) * 2000-02-16 2000-07-15 유동석 귀걸이를 이용한 폴더형 핸드폰
KR200191437Y1 (ko) * 2000-02-26 2000-08-16 나종환 핸즈프리 전화기
KR200202168Y1 (ko) * 2000-05-13 2000-11-15 하비봉 귀걸이를 갖는 핸드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4353Y1 (ko) 조절가능한 블루투쓰 무선 이어폰
US4878237A (en) Shoulder cradle for supporting a cellular car phone
KR200237493Y1 (ko) 행거폰
US20030045332A1 (en) Cellular phone holder for use in automobiles
CN2867736Y (zh) 手机项链挂绳
KR200209965Y1 (ko) 행거폰
CN107071609A (zh) 一种车载耳机
KR200209863Y1 (ko) 행거폰
KR20022093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200251124Y1 (ko) 핸드폰용 핸드프리장치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CN208028967U (zh) 车载蓝牙免提电话机系统
JP3029663U (ja) 携帯電話機装着式携帯電話用拡声防止具
KR200338136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KR19980061892U (ko)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CN2468234Y (zh) 安装在车内的免提移动电话装置
JP3003864U (ja) 耳掛け電話器
KR10021261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접속콘넥터 일체형 핸즈프리세트
JP3077341U (ja) ハンドフリー通話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JP3050284U (ja) 携帯電話機用バンド
CN2462625Y (zh) 安装在头盔上的免提移动电话装置
CN2508483Y (zh) 行动电话免持装置
KR200317089Y1 (ko) 귀걸이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KR200258256Y1 (ko) 핸드폰용 무선핸드프리 고정장치
JP3061171U (ja) 手放し電話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