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136Y1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136Y1
KR200338136Y1 KR20-2003-0023953U KR20030023953U KR200338136Y1 KR 200338136 Y1 KR200338136 Y1 KR 200338136Y1 KR 20030023953 U KR20030023953 U KR 20030023953U KR 200338136 Y1 KR200338136 Y1 KR 200338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mobile phone
hook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철
Original Assignee
권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철 filed Critical 권형철
Priority to KR20-2003-0023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Hanger}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전화기의 수화 유니트(Unit)가 위치한 부분에 사람의 귀에 걸 수 있는 걸이를 형성시켜 통화시 이 걸이를 이용 전화기를 사람의 귀에 걸어 부착되게 함으로서 필요시 통화를 하면서도 두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기의 걸이에 관한 장치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Hanger}
본 고안은 휴대폰을 사용 시 한손으로 들고 귀에가져다 대는 통상적은 통화방법에서 벗어나 귀에다 걸고 통화함으로서 두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일종의 핸즈프리 장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리형태의 걸이가 고안되어 나온 것이 있지만 사람의 귀에 부착되는 착용성에 안정감이 없어 불안하고 또 부피나 형태가 기존 휴대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휴대폰은 한손으로 전화기를 잡고 통화해야 하기 때문에 두손이 자유롭지 못했다. 또한 기존의 스피커폰이나 이어폰{Ear-phone}을 이용한 핸즈프리는 장치가 복잡하고 휴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고리형의 걸이는 착용감이 불안하며 기존 휴대폰에의 적용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폐단을 최소화 하기위해 기존 휴대폰에 적용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필요시 간단한 핸즈프리 기능을 할 수 있는 휴대폰걸이{Hanger}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걸이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2는 사용을 위해 본 고안의 걸이를 휴대폰 몸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세운상태의 그림도3의 (가)는 판스프링 장석의 그림(나)는 걸이(1)와 휴대폰몸체(5)가 스프링 장석(2)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다)는 도2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의 걸이 2 : 판스프링 장석
3 : 수화공
4 : 액정화면 5 : 휴대폰 몸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타원형이 구멍이 뚫린 걸이(1)를 만들어 기존 휴대폰의 수화유니트가 있는 부분 몸체(5)의 옆 가장자리에 스프링장석(2)으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걸이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외형상 기존 휴대폰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평소에는 스프링장석(2)의 탄성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붙어 있고(도3의 나), 사용시 밀어 올리면 일정한 각도로 벌릴 수가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걸이(1)를 사용시에는 손가락으로 걸이를 밀어 올린 다음 타원형의 구멍에 귀를 끼우고 놓으면 전혀 불안하지 않고 귀에 착 달라붙는 착용감을 느낄 수가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장석(2)의 위치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귀의 방향에 따라 좌우를 선택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휴대폰 걸이는 사용하지 않을시는 외관상 기존 휴대폰과 같고 필요시 간단하게 귀에걸고 사용함으로서 간단한 핸즈프리 역할을 충분히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휴대폰에 있어서 얇은 판에 타원형의 형성시킨 걸이(1)를 장석과 같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한 스프링 장석(2)으로 몸체(5)의 소화공이 있는 부분의 옆쪽 가장자리에 부착시켜서 된 걸이로서 귀에 걸 수 있는 걸이(1)가 타원형의 루프를 이룬 얇은 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걸이.
KR20-2003-0023953U 2003-07-24 2003-07-24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KR200338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53U KR200338136Y1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53U KR200338136Y1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136Y1 true KR200338136Y1 (ko) 2004-01-07

Family

ID=4942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53U KR200338136Y1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1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048B2 (en) Wireless telephone headset built into eyeglasses
WO2004073284A8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KR100703323B1 (ko) 헤드셋
SE9902247D0 (sv) Reciever set for desktop and mobile phones
KR200338136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걸이
JP3062727U (ja) 携帯電話機のベルト
KR200282160Y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걸이
CN2867736Y (zh) 手机项链挂绳
KR200317089Y1 (ko) 귀걸이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KR200299824Y1 (ko) 핸드폰 악세서리 고정위치.
KR200391006Y1 (ko) 키스타입의 휴대폰
JP3082066U (ja) 携帯電話装着品
KR200324616Y1 (ko) 휴대형 기기용 휴대용 끈 및 휴대용 끈 보조기구
GB2294836A (en) Hands-free headset for mobile telephones
US20040253999A1 (en) Attachability enhanced wireless phone
KR200228306Y1 (ko) 귀걸이형 송수화기
KR200223514Y1 (ko) 이동 전화기용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를 장착한 안경테
KR200230377Y1 (ko) 폴더형 휴대폰 덮개
KR200204424Y1 (ko) 핸드폰용 목걸이
KR200200168Y1 (ko) 휴대전화기용 착탈이 용이한 마이크 이어폰
KR200302153Y1 (ko) 플러그 일체형의 휴대전화 외부 스피커 장치
KR200370881Y1 (ko) 셀룰러 전화기의 하우징 장치
EP1766752A4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PERMUTATION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KR20000021487U (ko) 전화기
KR20032680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부착용 거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