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097U -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 Google Patents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097U
KR19990004097U KR2019980020082U KR19980020082U KR19990004097U KR 19990004097 U KR19990004097 U KR 19990004097U KR 2019980020082 U KR2019980020082 U KR 2019980020082U KR 19980020082 U KR19980020082 U KR 19980020082U KR 19990004097 U KR19990004097 U KR 199900040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obile phone
hinge shaft
shaft hole
ea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연환
Original Assignee
윤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연환 filed Critical 윤연환
Priority to KR2019980020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097U/ko
Publication of KR19990004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97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의 스피커가 위치하는 전면의 일측에 힌지축공을 형성하고,
상기의 힌지축공에는 귀걸이에 일체로 구비된 축공을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상기 귀걸이는 귀의 후단과 접하는 수직절곡부와 귀의 상단과 접하는 수평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람의 귀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형,경량화된 핸드폰을 사용하는 사람이 귀에 안정되게 걸치도록 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음량에 따라 귀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화를 받는 중에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본 고안은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경량화된 핸드폰에 사용자의 귀에 안정되게 걸칠 수 있는 귀걸이를 힌지결합하여 사용자가 음량에 따라 귀와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대의 말을 듣거나 말을 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를 받는 중에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여 핸드폰에 실장한 회로에 의해 인근의 기지국과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화선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나 이동하는 차량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휴대폰은 그 크기가 일반 전화기에 비해 작고 무게도 가벼워 사람들이 쉽게 휴대하고 이동하는 중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의 사용시 위치나 장소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이므로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중이거나 물건을 든 상태에서 걷고 있는 경우에는 핸드폰을 파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운전이나 보행이 불편하게 되어 자칫 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차량의 내부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별도로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접점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되는 동시에 손으로 핸드폰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핸드 프리 세트를 제안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핸드폰에 별도의 스피커 및 마이크용 잭을 구비한 후 이어폰과 마이크에 연결된 플럭을 삽입하여 핸드폰을 직접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자에 기술한 종래의 핸드 프리 세트에 의하여서는 차량에 핸드 프리 세트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차량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에 기술한 잭과 플럭에 의한 이어폰 및 마이크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여서는 갑자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이어폰과 마이크의 플럭을 잭에 결합해야 하는 복잡함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핸드폰의 잭에 마이크용 플럭과 이어폰용 플럭을 모두 결합한 상태에서는 휴대가 번거로워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써, 소형,경량화된 핸드폰에 귀걸이를 힌지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가 음량에 따라 귀와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화를 받는 중에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드폰의 스피커가 위치하는 전면의 일측에 힌지축공을 형성하고,
상기의 힌지축공에는 귀걸이에 일체로 구비된 축공을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상기 귀걸이는 귀의 후단과 접하는 수직절곡부와 귀의 상단과 접하는 수평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람의 귀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형,경량화된 핸드폰을 사용하는 사람이 귀에 안정되게 걸치도록 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음량에 따라 귀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화를 받는 중에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핸드폰 본체 2 : 저면부
4 : 힌지축공 5 : 귀걸이
9 : 코일 스프링 10 : 힌지축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핸드폰 본체(1)의 스피커(2) 및 마이크(3)가 위치하는 전면의 일측에는 힌지축공(4)을 일체로 형성하고,
귀의 후단과 접하는 수직절곡부(6)와 귀의 상단과 접하는 수평부(7)가 일체로 이루어진 귀걸이(5)의 일측에는 축공(8)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핸드폰 본체(1)의 힌지축공(4)에 귀걸이(5)의 축공(8)을 코일스프링(9)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10)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핸드폰 본체(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공(4)에 귀걸이(5)의 일측에 형성한 축공(8)을 코일스프링(9)의 탄성을 받도록 힌지축(10)으로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귀걸이(5)의 수직절곡부(6)와 수평부(7)를 귀의 후단 및 상단과 각각 접하도록 착용하면 귀걸이(5)에 귀가 감싸진 상태가 되므로 소형 및 경량화된 핸드폰 본체(1)가 지지되게 된다.
그 상태는 스피커(2)가 귀에 접하여 착용자가 잘 들을 수 있음은 물론, 음량이 너무 높으면 귀에 지지된 걸이부(5)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힌지축(4)을 중심으로 핸드폰 본체(1)를 회전시켜 귀와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귀걸이(5)의 특성상 왼쪽귀나 오른쪽 귀만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따라 귀걸이의 결합된 상태가 달라져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경우만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핸드폰 본체(11)의 스피커(12) 및 마이크(13)가 위치하는 전면의 상단에는 힌지축공(14)을 일체로 형성하고,
귀의 상단부에 접하는 반원형 절곡부(16)가 일체로 이루어진 귀걸이(15)의 상단에는 축공(1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핸드폰 본체(11)의 힌지축공(14)에는 귀걸이(15)의 축공(17)을 코일스프링(18)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19)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귀걸이(15)를 귀의 상단으로 부터 하향이동시키면서 착용하면 귀의 상단부를 거의 감싸는 상태로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동시에 좌측귀나 우측귀로만 들을 수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에 의하여서는 핸드폰의 스피커가 위치하는 전면의 일측에 힌지축공을 형성하고, 상기의 힌지축공에는 귀걸이에 일체로 구비된 축공을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상기 귀걸이는 귀의 후단과 접하는 수직절곡부와 귀의 상단과 접하는 수평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람의 귀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형,경량화된 핸드폰을 사용하는 사람이 귀에 안정되게 걸치도록 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음량에 따라 귀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화를 받는 중에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핸드폰 본체(1)의 전면 일측에는 힌지축공(4)을 일체로 형성하고,
    귀의 후단 및 상단과 접하는 수직절곡부(6)와 수평부(7)가 일체로 이루어진 귀걸이(5)의 일측에는 축공(8)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핸드폰 본체(1)의 힌지축공(4)에는 귀걸이(5)의 축공(8)을 코일스프링(9)의 탄성을 받도록 하면서 힌지축(10)으로 결합하여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귀걸이(15)는 귀의 상단부에 접하는 반원형 절곡부(16)를 일체로 형성하여 귀의 상단으로 부터 하향이동시키면서 착용하도록 한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KR2019980020082U 1998-10-21 1998-10-21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KR199900040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82U KR19990004097U (ko) 1998-10-21 1998-10-21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82U KR19990004097U (ko) 1998-10-21 1998-10-21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97U true KR19990004097U (ko) 1999-01-25

Family

ID=6950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82U KR19990004097U (ko) 1998-10-21 1998-10-21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09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93Y1 (ko) * 2000-10-05 2001-09-26 박준규 행거폰
KR20010093384A (ko) * 2000-03-28 2001-10-29 박준규 이어핸드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384A (ko) * 2000-03-28 2001-10-29 박준규 이어핸드폰
KR200237493Y1 (ko) * 2000-10-05 2001-09-26 박준규 행거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048B2 (en) Wireless telephone headset built into eyeglasses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6396935B1 (en) Headset and method for a headset
US20060177086A1 (en) Tubular,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2010393A (ja) 自動車電話、電話、スイッチボード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マイクロホン/イヤホン
JPH09506486A (ja) 通話用ヘッドセット
KR19990004097U (ko) 귀걸이 수단을 구비한 핸드폰
KR200228427Y1 (ko) 휴대폰의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
KR200268709Y1 (ko) 라디오가 내장된 모자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200251175Y1 (ko) 무선 통신용 안경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200208097Y1 (ko) 머리띠 겸용 헤드셋
KR19990064710A (ko) 무선전화기
KR200223514Y1 (ko) 이동 전화기용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를 장착한 안경테
KR100655221B1 (ko) 무선 헤드셋
KR200191437Y1 (ko) 핸즈프리 전화기
KR200406285Y1 (ko) 성대의 진동음을 이용한 이어 마이크 장치
KR200288094Y1 (ko) 액세서리가 체결되는 핸드폰용 목걸이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200266220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
KR200340082Y1 (ko)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RU2121764C1 (ru) Телефонная трубка
KR200287191Y1 (ko) 시계가 장착되어 있는 이동통신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