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82Y1 -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082Y1
KR200340082Y1 KR20-2003-0035681U KR20030035681U KR200340082Y1 KR 200340082 Y1 KR200340082 Y1 KR 200340082Y1 KR 20030035681 U KR20030035681 U KR 20030035681U KR 200340082 Y1 KR200340082 Y1 KR 200340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device
portable wireless
earring
main body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전자
Priority to KR20-2003-0035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견고히 고정되어 보행중의 통화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한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선단에 음성이 출력되는 이어폰과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가 구비되고, 측면으로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활동 상황에서도 통화 품질의 저하가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an apparatus of portable wireless hands fre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견고히 고정되어 보행중의 통화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한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게 해 주는 장치로서, 일측에는 귀에 꽂아 음성을 듣도록 하는 이어폰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용자의 말을 휴대폰으로 전달하는 마이크가 구비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유선형 핸즈프리로서,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휴대폰의 핸즈프리 단자에 신호선(400)의 끝단에 형성되는 핸즈프리의 플러그(100)를 꽂고, 타단에 형성되는 이어폰(200)을 귀에 꽂아 음성을 듣도록 하며, 신호선(400)상에 구비된 마이크(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핸드폰 통화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는 이어폰을 단순히 귀에 꽂아 사용하는 관계로 신호선 및 마이크의 무게에 의해 자주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마이크가 신호선의 중간에 위치하여 흔들리게 되어 통화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 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신호선이 없어지고 이어폰과 마이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무선통신을 위해 별도의 회로와 배터리를 본체에 내장하고 있어 무게가 증가됨에 따라, 귀에 착용할 경우에는 그 무게로 인해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견고히 고정되어 보행중의 통화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움직이지 않으면서 편안히 통화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핸즈프리를 귀에 착용하고 벗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걸이부의 착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귀걸이부가 장착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편안히 고정되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귀걸이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걸이부의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걸이부의 길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면서 특정 길이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걸이부가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단에 음성이 출력되는 이어폰과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가 구비되고, 측면으로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이어폰부와 마이크부의 사이인 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힌지결합되고, 귀걸이부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부를 중심으로 대략 동심원의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일체로 돌출되어 외주면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된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의 끝단에 상기 힌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내측으로 고무링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부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내부가이드로 구성된 직선형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어 귀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호형의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귀와의 접촉면에 고무재질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관체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가이드의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와 걸림턱을 형성하여 단계적인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의 끝단으로 점차 면적이 넓어지는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에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제1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제2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제3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가이드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 유선 핸즈프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이어폰 12 : 마이크
13 : 조작버튼 14 : 힌지축
141 : 오목부
20 : 귀걸이부
21 : 결합공
211 : 고무링
22 : 가이드부
221 : 외부관체 222 : 내부가이드
223 : 돌기 224 : 걸림턱
23 : 밀착부 24 : 접촉부
25 : 탄성부 26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전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단으로 이어폰(11)과 마이크(12)가 구비되고 측면으로 음량의 조절 및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작버튼(13)이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귀걸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미도시됨)를 내장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가 휴대폰을 손에 들지 않고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11)은 본체(10)의 일측면 끝단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통신회로를 거친 휴대폰의 음성을 사용자가 귀에 꽂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12)는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도록 이어폰(11)의 타측 선단에 구비한다.
상기 귀걸이부(20)는,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되어 이어폰(11)을 귀에 꽂은 상태에서 귀의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핸즈프리 장치를 착용한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착용된 위치가 변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제1 작동상태를 보인 후면사시도로서, 상기 귀걸이부(20)는 상기 본체(10)의 마이크(12)와 이어폰(11)의 사이인 대략 중앙에 힌지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귀걸이부(20)는 이어폰(11)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동심원의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고, 적당량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 이어폰(11)을 귀에 꽂고, 귀걸이부(20)를 회전시켜 귀의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핸즈프리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착용 위치가 변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게 되며,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20)가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마이크(12)의 위치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핸즈프리 장치의 착용과 해제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제2 작동상태를 보인 후면사시도로서, 상기 본체(10)의 귀걸이부(20) 결합 위치에 힌지축(14)을 형성하고, 귀걸이부(20)의 끝단에는 결합공(21)을 형성하여 귀걸이부(20)가 본체(10)에 착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힌지축(14)은 외주면 중앙으로 오목부(141)를 형성하여 장착된 귀걸이부(2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되면서착용중에 귀걸이부(20)가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21)은, 상기 힌지축(14)에 억지끼움되고, 끼워진 후에는 오목부(141)에 의해 원활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결합공(21)의 내측으로는 일체로 고무링(211)을 형성하여, 귀걸이부(20)의 착탈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무링(211)의 탄성에 의해 회전된 귀걸이부(20)가 회전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귀걸이부(20)를 뒤집어 반대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통상적인 오른쪽 귀 뿐만 아니라 왼쪽귀에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방향의 귀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제3 작동상태를 보인 후면사시도로서, 상기 귀걸이부(20)는 본체(10)와 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직선형의 가이드부(22)와, 상기 가이드부(22)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호형의 밀착부(23)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는, 서로 분리되어 내부로 슬라이딩되도록 외부관체(221)와 내부가이드(222)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귀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부(22)를 연장하거나 축소시켜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사용자가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부(23)는, 가이드부(22)의 끝단을 호형으로 연장하여 귀를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서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더욱 편안히 착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23)의 내측으로 귀와의 접촉면에는 고무재질의접촉부(24)를 일체로 형성하고, 밀착부(23)의 끝단으로는 점차 면적이 넓어지는 탄성부(25)를 형성하되 중앙부에 장공(26)을 형성하여 귀걸이부(20)의 탄성이 더욱 향상되면서 전체적인 중량은 줄어들도록 하여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가이드부(22)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가이드부(22)는, 내부가이드(222)에 다수개의 돌기(223)를 형성하고, 외부관체(221)와 내부가이드(222)의 접촉면에는 상기 돌기(223)와 대응되는 걸림턱(22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내부가이드(222)가 외부관체(22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돌기(223)와 걸림턱(224)에 의해 단계적인 길이조절과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특정길이에서 고정적으로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귀에 이어폰을 꽂고 귀걸이부(20)를 귀를 감싸도록 하면 본체(10)는 귀에 고정하게 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귀걸이부(20)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이동중에도 간편하게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귀걸이부를 구비하여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견고히 고정되어 보행중의 통화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활동 상황에서도 통화 품질의 저하가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부를 본체에 힌지결합하여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착용하고 벗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부가 본체에 착탈되며 반대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형성하여 하나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번갈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귀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고, 하나의 핸즈프리 장치를 여러 사람이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공의 내측에 고무링을 구비하여 귀걸이부의 착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귀걸이부가 장착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귀걸이부의 파손과 마모가 더욱 줄어들게 되고, 장착된 귀걸이부가 고무링의 탄성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부를 가이드부와 밀착부로 형성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무선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 편안히 고정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귀걸이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함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편안히 통화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사용자의 귀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귀와의 접촉면을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귀걸이부의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착용시에도 핸즈프리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더욱 편안히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관체와 내부가이드에 돌기와 걸림턱을 형성하여 귀걸이부의 길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면서 특정 길이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가이드부의 길이조절이 용이해지고, 사용중에 가이드부의 길이가 늘어나 핸즈프리 장치가 귀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착용감이 더욱 좋아질 뿐만 아니라, 오랜시간동안 착용하더라도 무게에 의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8)

  1. 선단에 음성이 출력되는 이어폰(11)과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2)가 구비되고, 측면으로 다수개의 조작버튼(13)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되는 귀걸이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20)는 일단이 상기 이어폰(11)와 마이크(12)의 사이인 본체(10)의 대략 중앙부에 힌지결합되고, 귀걸이부(20)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11)을 중심으로 대략 동심원의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돌출되어 외주면 중앙에 오목부(141)가 형성된 힌지축(14)이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20)의 끝단에 상기 힌지축(1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1)의 내측으로 고무링(211)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2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부관체(221)와 상기 외부관체(2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내부가이드(222)로 구성된 직선형의 가이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2)가 연장되어 귀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호형의 밀착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3)는 귀와의 접촉면에 고무재질의 접촉부(24)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체(221)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가이드(222)의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223)와 걸림턱(224)을 형성하여 단계적인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20)의 끝단으로 점차 면적이 넓어지는 탄성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25)에 장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2003-0035681U 2003-11-14 2003-11-14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340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1U KR200340082Y1 (ko) 2003-11-14 2003-11-14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1U KR200340082Y1 (ko) 2003-11-14 2003-11-14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082Y1 true KR200340082Y1 (ko) 2004-01-31

Family

ID=4942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81U KR200340082Y1 (ko) 2003-11-14 2003-11-14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42B1 (ko) * 2020-01-13 2021-05-14 (주)마키나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42B1 (ko) * 2020-01-13 2021-05-14 (주)마키나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2476B2 (en) Adjustable ear canal retention transceiver/receiver
US6868284B2 (en) Headset with retractable battery pack
US6760459B2 (en) Method for securing a headset
US5708724A (en)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detachable receiver capsule and cable pivot
US7212646B2 (en) Adjustable ear canal retention transceiver/receiver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090285434A1 (en) Earhook and earbud headset
EP1130880A1 (en) Headset and head support for headset.
JP2007329954A (ja) 自動車電話、電話、スイッチボード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マイクロホン/イヤホン
JP2006526295A (ja) オーディオ用ヘッドセット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US8611580B2 (en) Cheek stabilizer for audio headset
KR200271600Y1 (ko) 귀걸이형 이어폰-마이크
US20030152244A1 (en) High comfort sound delivery system
KR100962720B1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헤드셋
KR200340082Y1 (ko)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101754032B1 (ko) 머리띠 타입 이어셋
US20050284901A1 (en) Hands-free over the head portable telephone holder
KR200208097Y1 (ko) 머리띠 겸용 헤드셋
US20060256993A1 (en) Plugging structure for plugging earphones
KR100925183B1 (ko) 청취 장치
KR200288094Y1 (ko) 액세서리가 체결되는 핸드폰용 목걸이
KR200268709Y1 (ko) 라디오가 내장된 모자
KR200323865Y1 (ko)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