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442B1 -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 Google Patents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442B1
KR102252442B1 KR1020200004083A KR20200004083A KR102252442B1 KR 102252442 B1 KR102252442 B1 KR 102252442B1 KR 1020200004083 A KR1020200004083 A KR 1020200004083A KR 20200004083 A KR20200004083 A KR 20200004083A KR 102252442 B1 KR102252442 B1 KR 10225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fixed position
piece
adjustmen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효연
성병하
Original Assignee
(주)마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키나 filed Critical (주)마키나
Priority to KR102020000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42B1/ko
Priority to PCT/KR2020/001477 priority patent/WO20211455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조절이 가능한 이어 행거를 일체로 구비하는 이어폰, 이어셋, 보청기 등의 각종 소형 사운드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는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바깥귀길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 등)에 맞추어 부위별 배치각도나 길이가 다중으로 조절가능한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대응한 맞춤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Small size sound device with multi-adjustment ear hanger}
본 발명은 다중 조절이 가능한 이어 행거를 일체로 구비하는 이어폰, 이어셋, 보청기 등의 각종 소형 사운드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바깥귀길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 등)에 맞추어 부위별 배치각도나 길이가 다중으로 조절가능한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대응한 맞춤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 이어셋, 헤드폰, 헤드셋 등은 사용자의 귀 부위에 배치되어 출력 사운드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어폰은 귀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헤드폰은 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걸쳐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어폰이나 이어셋의 경우 귀에 걸리는 이어 행거(1)를 도 1에서와 같이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고정구조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어 행거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50988호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3973호 "다용도 조립식 헤드폰"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서와 같이 이어폰, 이어셋 등에 적용되는 종래 이어 행거(3)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변형을 통해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맞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착용감이 저하되고, 착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이어폰이 삽입되는 바깥귀길(외이도)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는 사람마다 다르나, 종래 이어 행거는 정형화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어서 이에 대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50988호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3973호 "다용도 조립식 헤드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이어폰, 이어셋, 보청기 등의 각종 소형 사운드기기가 연결되는 리시버 하우징에 고정된 조절체 바디 내부로의 고정위치 조절편의 삽입 길이와 배치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귀에 걸리는 고정위치 조절편의 행거가 귀바퀴 뒤측으로 배치되는 사운드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바깥귀길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 등)에 맞추어 부위별 배치각도나 길이가 다중으로 조절가능한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대응한 맞춤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 기기는 귀에 삽입되는 리시버(500)가 표면에 연결되고, 장착홀(112)이 형성된 조절체 연결블록(110)이 상기 리시버(5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리시버 하우징(100), 동축 원통체(210)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112)에 삽입되어 조절체 연결블록(110)의 내부공간(111)에 결합되는 조절체 바디(200), 제어 회로기판(410)이 내장되어 상기 리시버(5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사운드기기 본체(400), 상기 조절체 바디(200)와 사운드기기 본체(400)를 연결하며, 곡선 라인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귀 상단부위에 끼워지는 행거(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동축 원통체(210)에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형의 고정위치 조절편(300)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사운드기기 본체(400)에 결합되는 플랜지형의 고정단(321)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체 바디(200)의 외통 내측에 요철 패턴의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통은 출력신호선(42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으로 형성되며, 후단면은 개방되어 외통과 내통 사이 공간을 슬라이딩 공간(230)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상기 슬라이딩 공간(230)으로 삽입되는 관체로서, 상기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이 통과하는 중앙홀(312)이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플랜지형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고,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은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외주면에 한 쌍이 180°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며,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 사이에 길이조정돌출편 텐션용 홈(314)이 설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압박 고정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고, 상기 조절체 바디(200)에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톱퍼(211)가 180°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에는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과 직교되도록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회전 범위가 한 쌍의 스톱퍼(211) 사이에서 허용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체 바디(200)에는 원주방향으로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이 교번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에 걸리면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행거(320)의 일단이 리시버 하우징(100)으로 삽입되는 길이 및 배치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타단이 배치되는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귀 크기와 형상에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체 바디(200)와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 소재와 고무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은 삼각파형과 사인파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형으로 요철패턴을 형성시킨 면이고,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외주면 선단 부위에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체 바디(200)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스톱퍼(211)가 180°각도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과 직교되게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제한 걸림턱(313)은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체 바디(200)의 스톱퍼(211)에 걸리면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회전이 제한되어 출력신호선(420)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행거(320)는 끝단 부위에 "⊥"형상의 고정단(32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사운드기기 본체(400)는 상기 행거(320)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홈(430)을 요입형성하여 상기 행거(320)의 고정단(321)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에 의하면, 고정위치 조절편의 삽입 길이와 배치각도가 조절되는 한편, 귀에 걸리는 고정위치 조절편의 행거가 귀바퀴 뒤측으로 배치되는 사운드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대응한 맞춤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에 의하면,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한 단순 걸림고정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맞추어 조절가능한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하므로, 제조원가의 절감과 내구성 증대가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폰과 이어 행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사운드기기의 이어 행거 다중 조절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의 주요부 결합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의 주요부 분리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의 리시버 하우징에 소형 사운드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의 조절체 바디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체 바디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조절편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조절편의 길이조정형 몸체 정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조절편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고정단이 제한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소형 사운드기기, 이어폰, 이어셋, 보청기, 이어 행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리시버 하우징(100), 조절체 바디(200), 고정위치 조절편(300), 사운드기기 본체(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리시버 하우징(100)에 고정된 조절체 바디(200) 내부로의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삽입 길이 조정, 리시버 하우징(100)에 고정된 조절체 바디(200) 내부로의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배치각도 조정, 귀에 걸리는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행거(320)가 귀바퀴 뒤측으로 배치되는 사운드기기 본체(400)와 연결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해지는 3중의 조정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바깥귀길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 등)에 맞추어진 맞춤고정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리시버 하우징(100)은 귀에 삽입되는 리시버(500)가 연결되는 것으로, 조절체 바디(200)가 연결되는 조절체 연결블록(110)과 리시버(500)가 연결되는 리시버 연결블록(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조절체 연결블록(110)에는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장착홀(112)이 상단부위에 개방형성된다. 내부공간(111)은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착홀(112)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시버(500)는 이어폰, 이어셋, 보청기 등일 수 있다.
조절체 바디(200)는 리시버 하우징(100)의 장착홀(112)로 삽입되어 내부공간(111)에 고정된다. 조절체 바디(200)와 리시버 하우징(100)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서로 분리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리시버 하우징(100)에 고정된 조절체 바디(200)의 배치각도가 조절체 바디(200)의 회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절체 바디(200)는 접착물질에 의해 리시버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리시버 하우징(100)과 조절체 바디(200)의 대응하는 부위에 암나사산/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볼트-너트 결합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절체 바디(200)는 슬라이딩 공간(230)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체(2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원통체(210)의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 패턴의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이 형성된다. 또한 출력신호선(420)이 관통하는 관통홀(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이 조절체 바디(200)의 중앙부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조절체 바디(200)의 후단면이 개방되어 내부의 슬라이딩 공간(230)과 연통된다.
여기서 조절체 바디(200)와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은 길이방향으로 삼각파형이나 사인파형으로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절체 바디(20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스톱퍼(211)가 180°각도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조절체 바디(200)는 도 6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마루(212)와 골(213)이 교번되게 형성된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을 형성하여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에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걸리면서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배치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조절체 바디(200)의 개방된 후단면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공간(23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길이조정형 몸체(310)와, 길이조정형 몸체(3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행거(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행거(320)는 귀 상단부위에 대응하는 곡선 라인으로 이루어져 귀 상단부위에 끼워지게 되는데, 행거(320)의 끝단 부위에는 "⊥"형상의 고정단(321)이 돌출 형성되어 사운드기기 본체(400)에 삽입 고정된다.
길이조정형 몸체(310)의 외주면에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길이조정돌출편(311)이 돌출형성되어 조절체 바디(200)의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걸림고정된다. 그리고 조절체 바디(200)의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이 통과하는 중앙홀(312)이 길이조정형 몸체(3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외주면 선단 부위에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도록 하는데, 길이조정돌출편(3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 사이 길이조정형 몸체(310)의 전면 부위에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길이조정돌출편 텐션용 홈(314)이 설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합성수지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원활한 탄성변형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로써 조절체 바디(200)의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압박 고정되면서도 조절체 바디(200)의 슬라이딩 공간(230)으로 삽입된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이동이 원활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과 직교되게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제한 걸림턱(313)은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져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조절체 바디(200)의 스톱퍼(211)에 걸리면서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회전이 제한되어 출력신호선(420)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한다.
고정위치 조절편(300), 길이조정돌출편(311), 회전제한 걸림턱(313)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조절체 바디(200)와 고정위치 조절편(300) 간 결합과 고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운드기기 본체(400)는 행거(32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귀 후측 측단부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사운드기기 본체(400)는 행거(320)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홈(430)을 요입형성하여 행거(320)의 고정단(321)이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홈(430)은 도 11에서와 같이 행거(320)의 고정단(321)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와 행거(320)의 고정단(32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행거(320)가 제한된 각도범위(20~30°)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이는 귀에 걸리는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행거(320)가 귀바퀴 뒤측으로 배치되는 사운드기기 본체(400)와 연결되는 각도가 제한된 범위에서 조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운드기기 본체(400)에서 행거(320)가 연결되는 부위는 개방형성되고, 착탈가능한 커버(미도시)가 별도 구비되어 행거(320)가 연결되는 사운드기기 본체(400) 부위에 커버가 착탈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는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바깥귀길과 귀둘레 상단 사이 거리, 귀둘레 뒤측 공간의 형성각도, 바깥귀길의 깊이, 바깥귀길의 입구 형성각도 등)에 맞추어 부위별 배치각도나 길이가 다중으로 조절가능한 귀 부위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귀 크기나 형태에 대응한 맞춤고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리시버 하우징
110 : 조절체 연결블록
111 : 내부공간
112 : 장착홀
120 : 리시버 연결블록
200 : 조절체 바디
210 : 원통체
211 : 스톱퍼
212 : 골
213 : 마루
214 :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
215 :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
220 : 출력신호선 안내핀
221 : 관통홀
230 : 슬라이딩 공간
300 : 고정위치 조절편
310 : 길이조정형 몸체
311 : 길이조정돌출편
312 : 중앙홀
313 : 회전제한 걸림턱
314 : 길이조정돌출편 텐션용 홈
320 : 행거
321 : 고정단
400 : 사운드기기 본체
410 : 제어 회로기판
420 : 출력신호선
430 : 고정홈
500 : 소형 사운드기기

Claims (5)

  1. 귀에 삽입되는 리시버(500)가 표면에 연결되고, 장착홀(112)이 형성된 조절체 연결블록(110)이 상기 리시버(5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리시버 하우징(100);
    동축 원통체(210)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112)에 삽입되어 조절체 연결블록(110)의 내부공간(111)에 결합되는 조절체 바디(200);
    제어 회로기판(410)이 내장되어 상기 리시버(5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사운드기기 본체(400);
    상기 조절체 바디(200)와 사운드기기 본체(400)를 연결하며, 곡선 라인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귀 상단부위에 끼워지는 행거(32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동축 원통체(210)에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형의 고정위치 조절편(300)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사운드기기 본체(400)에 결합되는 플랜지형의 고정단(321)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체 바디(200)의 외통 내측에 요철 패턴의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통은 출력신호선(42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으로 형성되며, 후단면은 개방되어 외통과 내통 사이 공간을 슬라이딩 공간(230)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상기 슬라이딩 공간(230)으로 삽입되는 관체로서, 상기 출력신호선 안내관(220)이 통과하는 중앙홀(312)이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플랜지형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고,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은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외주면에 한 쌍이 180°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며,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 사이에 길이조정돌출편 텐션용 홈(314)이 설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에 압박 고정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고,
    상기 조절체 바디(200)에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톱퍼(211)가 180°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에는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과 직교되도록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회전 범위가 한 쌍의 스톱퍼(211) 사이에서 허용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체 바디(200)에는 원주방향으로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이 교번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배치각도 조절면(214)에 걸리면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행거(320)의 일단이 리시버 하우징(100)으로 삽입되는 길이 및 배치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타단이 배치되는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귀 크기와 형상에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 바디(200)와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 소재와 고무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위치조절편 삽입길이 조정 걸림면(215)은 삼각파형과 사인파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형으로 요철패턴을 형성시킨 면이고,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이 외주면 선단 부위에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길이조정돌출편(3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 바디(200)는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스톱퍼(211)가 180°각도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은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길이조정돌출편(311)과 직교되게 180°각도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회전제한 걸림턱(313)이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제한 걸림턱(313)은 직사각 단면형상의 스틱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체 바디(200)의 스톱퍼(211)에 걸리면서 상기 고정위치 조절편(300)의 회전이 제한되어 출력신호선(420)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320)는 끝단 부위에 "⊥"형상의 고정단(32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사운드기기 본체(400)는 상기 행거(320)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홈(430)을 요입형성하여 상기 행거(320)의 고정단(321)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KR1020200004083A 2020-01-13 2020-01-13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KR10225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83A KR102252442B1 (ko) 2020-01-13 2020-01-13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PCT/KR2020/001477 WO2021145503A1 (ko) 2020-01-13 2020-01-31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83A KR102252442B1 (ko) 2020-01-13 2020-01-13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442B1 true KR102252442B1 (ko) 2021-05-14

Family

ID=7591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083A KR102252442B1 (ko) 2020-01-13 2020-01-13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2442B1 (ko)
WO (1) WO20211455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858U (ja) * 2001-01-11 2001-07-27 云辰電子開發股▲分▼有限公司 コードレスイヤホーン
KR200340082Y1 (ko) * 2003-11-14 2004-01-31 주식회사 오토전자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50033973A (ko) 2003-10-07 2005-04-14 엠엠기어 주식회사 다용도 조립식 헤드폰
KR100850988B1 (ko) 2006-11-30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100955033B1 (ko) *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97B1 (ko) * 2007-02-05 2009-0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JP4398995B2 (ja) * 2007-05-26 2010-01-13 株式会社バーテックススタンダード ヘッドセット
KR20110064236A (ko) * 2009-12-07 2011-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셋
JP6217539B2 (ja) * 2014-06-24 2017-10-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耳掛け式イヤホン,耳掛け式ヘッドセット,及び耳掛けハンガ
KR20160061711A (ko)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858U (ja) * 2001-01-11 2001-07-27 云辰電子開發股▲分▼有限公司 コードレスイヤホーン
KR20050033973A (ko) 2003-10-07 2005-04-14 엠엠기어 주식회사 다용도 조립식 헤드폰
KR200340082Y1 (ko) * 2003-11-14 2004-01-31 주식회사 오토전자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100850988B1 (ko) 2006-11-30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100955033B1 (ko) *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03A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1404B1 (en) Headphone
US9900681B2 (en) Earbud headphone adapter
US10638215B2 (en) Headphone joint
US8233655B2 (en) Headphone
US6868164B2 (en) Head phone device
US20050185814A1 (en) Ear-hook earphone with microphone
EP2081401A2 (en) Headphone
JP4740317B2 (ja) 骨伝導デバイスのメガネへの取付構造
KR101340921B1 (ko) 유연성 있는 일반형 귀속 보청기
US20180139524A1 (en) Adjustable headphones
KR102252442B1 (ko) 이어 행거 다중 조절형 소형 사운드기기
EP3753261B1 (en) Earpiece with positioning skirt
KR20200121127A (ko)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
JPWO2019064438A1 (ja) イヤホン
CN113747302B (zh) 耳机
US20110143820A1 (en) Headphones with attached microphone boom
US20140376756A1 (en) Ear strap for a probe tube
US20170162211A1 (en) Device for hearing own voice
KR102022451B1 (ko) 골전도 이어셋구조체
JPH05316583A (ja) 外耳道挿入型イヤピース
JP3179361B2 (ja) ヘッドホン装置
KR200181932Y1 (ko) 귀거리식 이어폰
CN214413005U (zh) 运动耳机
CN117692838A (zh) 一种非入耳式耳机
CN112468946A (zh) 宠物助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