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183B1 - 청취 장치 - Google Patents

청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183B1
KR100925183B1 KR1020080130288A KR20080130288A KR100925183B1 KR 100925183 B1 KR100925183 B1 KR 100925183B1 KR 1020080130288 A KR1020080130288 A KR 1020080130288A KR 20080130288 A KR20080130288 A KR 20080130288A KR 100925183 B1 KR100925183 B1 KR 10092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ir band
user
connection line
li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2008013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183B1/ko
Priority to US12/992,200 priority patent/US20110188693A1/en
Priority to CN2009801170666A priority patent/CN102047687A/zh
Priority to EP09825008A priority patent/EP2346267A2/en
Priority to BRPI0914361A priority patent/BRPI0914361A2/pt
Priority to JP2011535516A priority patent/JP2012508500A/ja
Priority to PCT/KR2009/006551 priority patent/WO201005332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청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어밴드와 같이 사용되는 청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헤어밴드와 접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음원을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되며, 청취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헤어밴드, 본체, 연결선, 스피커, 음향기기, 탈착

Description

청취 장치 {Receiving set}
본 발명은 청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어밴드와 같이 사용되는 청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취 장치는 라디오 또는 엠프쓰리(MP3) 등과 같은 음향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취 장치는 이어폰, 헤드셋 등으로 불리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거나 사용자의 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 및 외부 정보를 차단하여 음향기기에서 전달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헤어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앞 부분이나 머리카락 위에 사용하는 띠의 형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헤어밴드는 머리카락이 흘러 내려오지 않게 하거나 머리 장식을 위해 사용하게 되거나,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땀이 눈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악세사리의 한 일종이다.
이와 같이, 청취 장치와 헤어밴드는 서로 다른 용도에 의하여 각각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각각 구비하여 착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어폰 또는 헤드셋 등의 청취장치는 외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 를 차단하여 음향기기에서 전달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되는 청취장치이므로, 다른 사람의 음성이나 외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리 정보를 들을 수 없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소리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여 돌발적인 위험에 의한 안전성이 저하된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의사 소통이 불편하게 되어 의사 소통이 단절되며, 의사 소통의 단절로 인하여 사회성의 약화 및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청취 장치는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길게 노출되어 사용자의 청각 기관에 위치하게 되는 청취 장치로부터 음향기기가 보관되는 사용자의 의류 또는 가방 등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노출되는 연결선에 의해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의 움직임이 불편해지게 되고,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가 민감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고의 위험이 더욱 커지게 된다.
더구나, 이러한 청취 장치는 사용자의 청각 기관에 직접적으로 자극을 주게 되어, 장시간 사용의 경우 사용자의 청력을 손상시키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외이도 염증, 고막 손상, 내이도의 전정기관에 부담을 주어 귀병과 청력 장애, 장시간의 청취에 따른 어지럼증 등을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항상 건강상의 부담감을 가지고 청취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패션에 대한 욕구 및 개성으로 인해 다양한 악세사리를 착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청취 장치와, 악세사리를 각각 구비하여 착용하여야 함에 따라 착용의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된다.
또한, 음향기기와 청취 장치를 연결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인체에 착용되는 다양한 악세사리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다양한 악세사리로 인해 청취 장치의 착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머리카락이 흘러 내려오지 않게 하고 머리 장식을 하거나, 땀이 눈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원의 청취가 가능한 청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이 보장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청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음원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부담감을 감소시키는 청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헤어밴드와 접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음원을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관통되면서 상기 헤어밴드와 접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음원을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에 의하면, 머리카락이 흘러 내려오지 않게 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땀 또는 이물질 등이 사용자의 눈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헤어밴드의 기능과 음원의 청취가 가능한 청취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헤어밴드의 기능과 청취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헤어밴드와 청취장치를 각각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되며, 청취장치의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헤어밴드에 청취장치를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청취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분과 분위기, 기호에 적합한 헤어밴드에 청취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장소와 상황에 적합한 헤어밴드를 사용할 수 있어 감성 불만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청취 장치의 활용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음향기기에서 청취 장치까지 연결되는 연결선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청취 장치의 사용시 청취 장치의 사용에 따른 신체의 활동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노출되는 연결선에 의한 사용 자의 감성 불만 및 활동 제약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유선 청취장치이지만, 무선 청취장치처럼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구나, 연결선의 길이가 최소화됨으로써 연결선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켜 음향기기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켜주는 이점이 있으며, 더 나은 음질의 음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청각 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청취 장치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지 않아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예방하게 되어 건강상의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청취장치의 사용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 청취장치만을 제거함으로써, 청취장치가 없는 헤어밴드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헤어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도 있다.
이와 같이, 청취장치가 헤어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헤어밴드와 청취 장치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취장치의 교환 및 애프터서비스가 용이해지며, 디자인 또는 상황에 따라 적합한 청취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이어폰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헤드셋의 일부와 무선 이어폰의 일부도 대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고가의 무선 이어폰 청취 장치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이용해 음향기기의 음원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 음향기기와 이어폰 또는 헤드셋 사이에서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연결선에 의해 사용자의 행동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무선 청취 장치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어, 고가의 무선 청취 기기를 대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에 의하면 블루투스 등의 무선 청취장치에서 필요한 송·수신부의 충전 없이 음향기기만을 충전하면 언제든 사용이 가능하고, 다른 음향기기를 연결하면 연속적이고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무선기기와 조합되어 편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거실 등에서 티브이(TV), 오디오 기기와 같이 크기가 큰 음향기기나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청취하고자 할 때, 가전제품에 블루투스 무선 기능의 오디오 송신기를 설치하고, 청취장치에 수신기를 장착하면 주변 공간에 소리의 확산 없이 개인적으로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다양한 주변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와 같은 소형 아파트 주거 공간이 많은 경우 주거 공간에서 티브이를 시청하거나 오디오를 청취하고자 할 때, 티브이 또는 오디오에서 발생하는 음원이 동일 주거 공간 또는 인근 주거 공간까지 확산됨에 따라 다른 사람 에게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음원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를 사용할 경우 음원이 주거 공간 전체로 확산되지 않아 동일 주거 공간 또는 인근 주거 공간에 거주하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활동성이 보장되는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원하는 음원의 청취가 가능해짐으로써 다른 사람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해주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외부 활동이 많은 경우와, 야외 작업을 하는 사람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어, 외부 활동과 야외 작업을 하면서도 원하는 음원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활동성과 이동성을 향상시켜줌으로써 야외 활동을 하면서 음원의 청취를 통한 뉴스 등 정보획득과 음악, 어학공부, 오디오북, 자기계발 강연 녹음 등을 들을 수 있어, 산책이나 조깅 등 야외 활동 시간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생활의 형태가 바뀌어 운동 부족으로 생기는 병 예를 들어,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병 등이 감소하게 되어 개인의 건강에 큰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질병이 줄어들어 운동 부족으로 생기는 만성병에 지출되는 비용이 저감되어 보건 의료적인 면에서도 큰 득이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 실시 예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며, 제시되는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이러한 다른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에서는 헤어밴드와 본체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를 살펴보면, 청취장치는 전체적으로 인체에 착용하는 헤어밴드(100)와,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200)와, 상기 음향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전달받는 연결선(400)과, 상기 연결선(400)에서 전달되는 음원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연결선(400)과 상기 스피커(300)의 안착 공간이 마련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어밴드(100)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어밴드(100)는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부분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가로 반향으로 누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이 사용자의 머리 부위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 중앙부가 양쪽 끝 부분보다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어밴드(100)를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정 정도의 자체 강도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어밴드(100)의 외면에는 다양한 색상 및 무늬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충족시키면서, 머리 장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부 공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원하는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2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음향기기(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발생시키는 어떠한 기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그 무게 및 크기가 적절한 기기인 소형 엠피쓰리(MP3)나 소형 라디오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음향기기(200)는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음향기기(2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에는 음향기기(200)에 클립 등과 같은 장치가 구비되어, 헤어밴드(100) 또는 본체(50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기기(200)가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의 외면과 접하면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헤어밴드(100)가 상기 본체(500)의 상면(도면에서 볼 때)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기기(200)는 헤어밴드(100)의 외면에 장착되고, 헤어밴드(100)가 본체(500)의 하면(도면에서 볼 때)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음향기기(200)는 본체(500)의 외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음향기기(200)는 청취장치의 가장 외면에 위치하게 되며, 청취장치의 외면은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면이 되는 경우와, 상기 본체(500)의 외면이 되는 경우가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의 외면에는 상기 음향기기(200)를 수용하는 기기수용부(22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내부 공간에 음향기기(200)를 수용함으로써, 음향기기(2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음향기기(200)가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의 외면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헤어밴드(100) 또는 본체(500)의 외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기기수용부(200)에 음향기기(200)가 수용되면서, 유동이 방지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기수용부(220)가 상기 본체(50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200) 가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음향기기(200)의 사용이 가능하며, 음향기기(20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음향기기(200)의 외형보다 적지 않은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향기기(200)를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고자 할 때 원활한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외면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음향기기(200)가 외부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부커버(222)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커버(222)는 기기수용부(22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면서, 기기수용부(220)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커버(222)를 파지하여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일면을 개방시킨 다음,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음향기기(200)를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게 된다.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음향기기(200)가 수용되면, 수용부커버(222)를 파지하여 기기수용부(220)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커버(222)는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개방된 일면을 전체적으로 차폐하지 않도록 일정 부분 절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음향기기(200)가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다음에 설명할 연결선(400)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200)를 수용한 다음,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커버(222)를 파지하여 기기수용부(220)의 개방된 일 면을 차폐하게 되면, 사용자가 움직이게 되더라도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향기기(200)가 기기수용부(220)의 외부 공간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의 외면 다시 말해, 상기 기기수용부(220)가 구비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가장 외면에는 헤어밴드(100) 또는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선(400)의 끝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선고정부(46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결선고정부(460)는 상기 음향기기(200)를 충전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잠시 사용하지 않게 될 경우 상기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연결선(400)의 끝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 연결선고정부(460)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연결선(400)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선고정부(46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연결선(400)의 끝 부분이 상기 헤어밴드(100) 또는 상기 본체(50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연결선(400)의 끝 부분이 헤어밴드(100) 또는 본체(500)의 외면에 고정되면 고정된 연결선(400)의 끝 부분에 상기 음향기기(200)가 연결됨으로써 연결선(400)은 청취장치의 외부로 전혀 노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음향기기(200)가 탈거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선(400)의 끝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나, 그 끝 부분이 상기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선(400)을 외부 공간으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 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음에 살펴볼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헤어밴드(100)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체(500)는 상기 헤어밴드(100)에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500)는 도면에서 볼 때, 헤어밴드(100)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외면 또는 내면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본체(5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내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5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몰드물 또는 다양한 가공 방법에 의해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헤어밴드(10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사용자가 본체(5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본체(5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00)는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형태로 형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다양한 형태 또는 크기를 가지는 상기 헤어밴드(100)에 적합한 형태로 형상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용 청취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5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이 내장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본체(50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스피커(300)와 연결선(400)이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500)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스피커(300) 및 연결선(400)의 교체, 보수, 청소 등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50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500)가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또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등으로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그 내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이 수용됨으로써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연결선(400)이 최소화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선(400)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노출된 연결선에 의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이동성에 대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본체(50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이 측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면을 따라 헤어밴드(10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헤어밴드(1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500)는 상면과 하면이 측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이 하방으로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 도록 형성되어,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 상세하게는 도면에서 볼 때, 좌측 하단부와 우측 하단부에는 내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300)의 안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부(580)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기기(200)와 스피커(30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을 위한 공간이 본체(500) 및 상기 다리부(58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이처럼,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이 제공되고,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스피커(300)와 연결선(400)이 안착됨으로써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연결선(400)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본체(500)가 상기 헤어밴드(10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면, 본체(500)는 헤어밴드(10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하면서 감싸는 형태를 가지게 되고, 본체(500)의 길이가 헤어밴드(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헤어밴드(100)의 하단부보다 본체(500)의 하단부가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어밴드(100)의 양쪽 하단부보다 상기 본체(500)의 양쪽 하단부가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본체(500)의 양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다리부(580)의 내부 공간에 의해 상기 스피커(300)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이 마련되어, 스피커(300)가 안착되면 스피커(300)는 헤어밴드(100)의 양쪽 하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청각 기관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500)는 상기 스피커(30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인 상기 다 리부(580)는 본체(500)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고,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본체(500)에 장착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580)는 상기 본체(500)에 대하여 각도의 조절 및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리부(58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스피커(3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리부(580)가 상기 본체(5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체(500)가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부(580)를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게 되고, 자체 유연성에 의해 사용자는 다리부(580)와 본체(500)가 접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0)는 상기 스피커(300)가 위치하게 되는 양쪽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그 상측 부분에 대하여 일정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580)가 상기 본체(500)와 다른 부분으로 구비되어 본체(500)의 양쪽 하단부에 체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본체(500)와 다리부(580)의 체결 부분을 중심으로 다리부(580)는 본체(5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그 길이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다리부(580)가 상기 본체(500)에 회동 가능하면서,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다리부(580)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 게 되는 상기 스피커(3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00)는 그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580)에 안착된다. 이는 다리부(580)에 스피커(300)가 안착되는 상기 스피커홈(320)이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본체(5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피커(3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다리부(580)에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상기 스피커홈(320)이 다리부(58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고, 다수의 스피커홈(320) 사이는 일정 정도의 홈이 제공되어, 상기 스피커(300)가 스피커홈(320)과 다른 스피커홈(32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300)가 다수의 상기 스피커홈(320) 사이를 이동하면서,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스피커(3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피커(3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스피커(3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으로 인해 청취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500) 또는 상기 헤어밴드(100)에는 헤어밴드(100)와 본체(5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600)는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에 고정되는 제1부분(620) 및 상기 제1부분(520)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부분(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부분(620)과 상기 제2부분(640)은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고, 각각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500)와 상기 헤어밴드(1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부분(620)과 상기 제2부분(6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600)가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장착부(600)와 상기 본체(500) 또는 상기 헤어밴드(100) 사이에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가 삽입되면서, 헤어밴드(100)와 본체(5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600)는 상기 본체(500)와 상기 헤어밴드(1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500)와 상기 헤어밴드(10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합하게 될 때,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그 공간에 수용되면서,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가 결합되는 고정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유닛(700)은 상기 본체(500) 또는 상기 헤어밴드(10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그 공간에 본체(500) 또는 헤어밴드(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본체(500)와 헤어밴드(100)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500)에 상기 고정유닛(700)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 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700)은 상기 본체(500)의 상면 또는 하면 적어도 일 부분에 일정 정도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공간에 상기 헤어밴드(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본체(500)와 결합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500)의 하면 전단부 일부분과 대응되는 후반부 일부분에 상기 고정유닛(700)이 일정 정도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사이 공간에 상기 헤어밴드(100)가 끼워지면서 본체(500)와 헤어밴드(100)가 결합하게 되고, 이처럼 고정유닛(700)에 헤어밴드(100)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면 본체(500)에 헤어밴드(1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가 결합되면, 본체(500)의 양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다리부(58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스피커(300)는 헤어밴드(100)의 양쪽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청각기관 부근에서 음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700)은 상기 본체(500)의 하면에 일정 길이만큼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 길이만큼 다수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본체(5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헤어밴드(100)의 하측에 본체(500)가 위치하면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본체(500)가 상기 헤어밴드(100)의 상측 또는 하측 어디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고정유닛(700)은 본체(500)와 헤어밴드(100)가 결합 가능 한 정도로 구비되면 본체(500)는 헤어밴드(10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500)가 상기 헤어밴드(100)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하측에 위치하게 될 때, 본체(500)와 헤어밴드(100)는 상기 장착부(600)에 의해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고정유닛(700)에 의해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500)와 상기 헤어밴드(100)는 서로 접하면서 결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50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누운 원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0)는 그 내부 공간이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면, 그 외형은 어떠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본체(500)는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그 내부 공간이 개폐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본체(500)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그 내부 공간에 스피커(300)와 연결선(400) 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내부 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본체가 헤어밴드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체(500)는 도면에서 볼 때, 상기 헤어밴드(100)와 접하는 제1본체(520)와, 상기 제1본체(520)와 결합하면서,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제2본체(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0)는 상기 제1본체(520)와 상기 제2본체(54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이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이 된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1본체(520)의 하면에는 상기 스피커(300) 일부분과 상기 연결선(400) 일부분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함몰 공간이 제1본체(5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2본체(540)의 상면에는 상기 스피커(300) 일부분과 상기 연결선(400) 일부분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함몰 공간이 제2본체(5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520)의 하면과 상기 제2본체(54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함몰 공간은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이 안착되면서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사용자에게 음원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300)의 안착 공간인 스피커홈(320)과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인 연결선홈(56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홈(320)은 상기 제1본체(520)의 양쪽 끝 부분 하면에 상방으로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540)의 양쪽 끝 부분 상면에 하방으로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면서,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상기 스피커(300)의 안착 공간이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홈(320)은 상기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다리부(580)에 형성되고, 그 다리부(580)에 상기 스피커(30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선홈(560)은 상기 제1본체(52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제2본체(54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공간이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이 된다.
이처럼, 상기 제1본체(520)의 하면과 상기 제2본체(5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스피커홈(320)과, 상기 연결선홈(56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될 때, 개구된 부분이 서로 접하게 되면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의해 상기 본체(500)는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스피커홈(320)은 제2본체(540)의 하면이 일정 정도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면적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는 상기 스피커홈(320)에 상기 스피커(300)가 안착될 때, 스피커(300)의 음원 출력부분이 상기 본체(5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피커(300)의 음원 출력부분이 본체(5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스피커(3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더 잘 전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홈(320)에 상기 스피커(300)가 안착되면 스피커(300)의 음원 출력부분이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을 향하게 되고, 제2본체(540)가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측을 따라 위치하게 되면, 스피커(300)의 음원 출력부분 사이 공간에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청각기관을 향해 마주보면서 음원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본체(500)가 상기 헤어밴드(100)의 내측을 따라 위치하게 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에 상기 스피커(30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스피커(300)는 상기 연결선(40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연결선(400)이 스피커(30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제한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스피커(300)의 하측에 상기 연결선(400)이 위치하게 되면, 길게 연장되는 연결선(400)에 의해 사용자는 움직임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나, 스피커(300)의 상측에 연결선(400)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이는 범위에는 연결선(400)이 위치하지 않게 되어 움직임의 제한이 완벽히 없어지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500)는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홈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본체(520)는 그 하면에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540)의 상면에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의 테두리 부분이 억지 끼움 결합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스피커(300)와 연결선(400)이 안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300)는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전체가 수용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피커(300)의 일 부분 상세하게는 음성 신호가 발산되는 일 부분이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500)는 상기 제1본체(520)와 상기 제2본체(540)가 억지 끼움 결합으로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외부 또는 내부 공간에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본체(520)와 제2본체(540)가 스크류 또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체결돌기 및 체결홈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500)는 어떠한 방법으로 체결된다 하더라도, 그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300)와 상기 연결선(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스피커(300) 가운데 한쪽 스피커(300)에는 부가적으로 추가 기능이 실현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추가 기능에는 블루투스 기능 또는 마이크 기능 등이 추가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의 연계가 가능하여 청취장치의 사용 환경을 더욱 넓힐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용 전화기와 연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원의 청취 중에도 휴대용 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되고, 마이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통화 또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00)는 사용자의 청각 기관과 일정 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상의 부담감을 해소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청각기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청각기관을 감싸는 형 태로 구성되지 않아 청각기관의 이상을 초래하지 않게 되고, 돌발적인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음을 청취할 수 있게 되어 건강상의 부담감 해소뿐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본체(500)는 전체적으로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피커(30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상기 본체(500)가 장착된 상기 헤어밴드(100)를 머리 부분에 착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스피커(300)가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부(600)를 상기 제1부분(620)과 상기 제2부분(640)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1부분(620)은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에 고정되며, 다른 쪽 끝 부분은 제2부분(640)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640)은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제1부분(620)과 체결되고,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제1부분(620)이 고정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부분(620)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부분(640)의 한쪽 끝 부분이 그 마주보는 제2본체(540)의 하면 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본체(540)에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헤어밴드(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에 상기 헤어밴드(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면서, 헤어밴드(100)는 상기 본체(500)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장착부(600)의 상기 제1부분(620)과 상기 제2부분(640)의 체결은 어떠한 형태로 체결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나, 체결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형태가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벨크로 부재 또는 단추, 클립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2]
이하 실시예 2에서는 상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은 동일 도면부호 및 동일 기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인체에 착용하는 헤어밴드(100); 상기 헤어밴드(1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200); 상기 음향기기(200)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전달하는 연결선(400); 상기 연결선(400)에서 전달되는 음원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연결선(400)과 상기 스피커(300)의 안착 공간이 마련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 지며 상기 헤어밴드(100)와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는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체(5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헤어밴드(100)는 그 상면이 본체(500)의 하면 상세하게는 상기 제2본체(540)의 하면과 접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500)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다리부(580)는 헤어밴드(100)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다른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는 상기 다리부(580)를 제외한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고, 다리부(580)는 헤어밴드(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가 상기 다리부(580)를 제외한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면, 본체(500)의 상측에 상기 음향기기(200)가 위치하게 되고,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연결선(400)의 끝 부분이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음향기기(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선(400)은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제1연결선(420) 및 상기 제1연결선(420)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본체(5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제2연결선(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선(440)은 그 끝 부분이 상기 본체(5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본체(500)의 외부 공간에 고정되면서, 상기 음향기기(200)와 연결이 용이한 잭의 형 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선(440)의 끝 부분이 잭의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음향기기(200)와 연결되는 부분만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고정되면, 그 부분이 음향기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음향기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선(400)이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제2연결선(440)이 상기 본체(5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본체(500)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음향기기(20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음향기기(200)의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음향기기(200)에 잭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2연결선(440)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제2연결선(440)의 끝 부분을 음향기기(20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상기 음향기기(200)를 위치시키면서 잭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선(440)의 끝 부분을 음향기기(20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음향기기(200)는 본체(5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음향기기(200)에 클립 등의 체결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음향기기(200)가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향기기(200)를 수용하는 상기 기기수용부(220)가 상기 제2연결선(440)의 돌출되는 끝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비 되어 기기수용부(220)의 내부 공간에 음향기기(200)를 수용하면서 제2연결선(440)과 음향기기(200)가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가 상기 다리부(580)의 상측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일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다리부(580)의 상측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헤어밴드(100)의 일부분과 상기 본체(500)의 일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면, 그 부분을 중심으로 헤어밴드(100)와 본체(500)는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어밴드(100)와 상기 본체(500)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해 헤어밴드(100)와 본체(500)가 체결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헤어밴드(100)와 본체(500)가 체결 부재에 의하지 않고, 서로 접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어떠한 형태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다리부(580)는 그 상측 부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를 정리하기 위한 헤어밴드를 이용하여 일체형 또는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청취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청취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즉,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헤어밴드에 탈착 가능한 청취 장치만 구입함으로써 보유하고 있는 헤어밴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 점이 있어, 적은 비용으로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청취 장치는 장소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에 의하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선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유선 청취장치이지만 무선 청취장치의 효과를 나타내며, 헤어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멋을 표현하면서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활동성과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으로 인해 헤어밴드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패션 산업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가 생활을 즐기려는 현대인들을 위한 레저 산업에 다양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원하는 음원의 청취와 함께 움직임의 자유로움이 가능함으로써 등산, 낚시, 조깅 등 야외 레저 생활에 이용 가능함으로써, 각종 레저 산업에 다양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의 활동성과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으로 인해, 야외에서 주로 활동하게 되거나, 작업하게 되는 농부나, 어부, 근로자 등도 용이하게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지루함을 감소시켜, 작업의 수행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농업, 어업, 공업, 상업 등 다양한 산업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기 용이하게 됨으로써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산업과, 사용자의 머리 장식 및 머리카락 정리 등의 헤어밴드 산업 등 다양한 산업과 연관되어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여주고, 음향기기의 사용이 용이해지며, 안전성의 향상과 야외 활동의 증가로 레저 산업, 스포츠 산업, 건강, 여행 산업에도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라디오 분야, 음악 가요분야, 음향기기 분야, 자기 계발분야인 어학공부, 오디오북, 오디오 강의 청취 등에 관련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헤어밴드 200. 음향기기
220. 기기수용부 300. 스피커
320. 스피커홈 400. 연결선
420. 제1연결선 440. 제2연결선
460. 연결선고정부 500. 본체
520. 제1본체 540. 제2본체
560. 연결선홈 580. 다리부
600. 장착부 620. 제1부분
640. 제2부분 700. 고정유닛

Claims (20)

  1. 삭제
  2.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헤어밴드와 접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음원을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에 고정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에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청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청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청취장치.
  7.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관통되면서 상기 헤어밴드와 접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음원을 사용자의 청각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가 상기 헤어밴드에 상기 고정유닛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청취장치.
  11.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청취장치.
  12. 삭제
  13.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청취장치.
  14.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상기 스피커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부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청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청취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청취장치.
  17.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헤어밴드에는 상기 음향기기와 연결된 잭을 고정시키는 연결선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청취장치.
  18.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에는 상기 음향기기가 수용되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헤어밴드의 외면에 장착되는 기기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청취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수용부는 상기 헤어밴드 또는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취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수용부는 상기 헤어밴드 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청취장치.
KR1020080130288A 2008-11-10 2008-12-19 청취 장치 KR10092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288A KR100925183B1 (ko) 2008-12-19 2008-12-19 청취 장치
US12/992,200 US20110188693A1 (en) 2008-11-10 2009-11-09 Receiving Set for Individual
CN2009801170666A CN102047687A (zh) 2008-11-10 2009-11-09 个人收听装置
EP09825008A EP2346267A2 (en) 2008-11-10 2009-11-09 Personal receiving set
BRPI0914361A BRPI0914361A2 (pt) 2008-11-10 2009-11-09 "aparelho receptor individual"
JP2011535516A JP2012508500A (ja) 2008-11-10 2009-11-09 個人用聴取装置
PCT/KR2009/006551 WO2010053325A2 (ko) 2008-11-10 2009-11-09 개인용 청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288A KR100925183B1 (ko) 2008-12-19 2008-12-19 청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183B1 true KR100925183B1 (ko) 2009-11-06

Family

ID=4156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288A KR100925183B1 (ko) 2008-11-10 2008-12-19 청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0987A (zh) * 2014-05-13 2015-11-25 朱利 骨传导立体声隐蔽式蓝牙耳机发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584A (en) 1983-04-15 1985-11-05 Bang & Olufsen A/S Earphone set
KR19990014214A (ko) * 1997-07-31 1999-02-25 이데이 노브유키 음향수집기
KR200170854Y1 (ko) * 1999-09-15 2000-03-15 두석균 전자헤어밴드
JP2007028375A (ja) 2005-07-20 2007-02-01 Foster Electric Co Ltd ヘッドホ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584A (en) 1983-04-15 1985-11-05 Bang & Olufsen A/S Earphone set
KR19990014214A (ko) * 1997-07-31 1999-02-25 이데이 노브유키 음향수집기
KR200170854Y1 (ko) * 1999-09-15 2000-03-15 두석균 전자헤어밴드
JP2007028375A (ja) 2005-07-20 2007-02-01 Foster Electric Co Ltd ヘッドホ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0987A (zh) * 2014-05-13 2015-11-25 朱利 骨传导立体声隐蔽式蓝牙耳机发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6087A1 (en) Earbud Positioning Device
KR100955033B1 (ko)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JP3192221U (ja) ユニバーサルイヤーピース
EP2523469A1 (en) Headphone with a headband
CN100512335C (zh) 音频耳机
JP2011521560A (ja) 耳掛けとイヤホン本体のヘッドセット
US20210281939A1 (en) A Bluetooth Headset
CA2244255A1 (en) Headset and method for a headset
US20140211977A1 (en) Over/under dual-fit wearing option earphones
US7613315B2 (en) Configurable headset
US20110188693A1 (en) Receiving Set for Individual
US20030002706A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KR100925183B1 (ko) 청취 장치
KR20030017579A (ko) 수화기
KR200271600Y1 (ko) 귀걸이형 이어폰-마이크
KR100808734B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장착용 모자
CN208609160U (zh) 一种用于头戴设备的扬声器耳壳及一种头戴设备
CN210840024U (zh) 一种防水型入耳式蓝牙耳机
KR100904026B1 (ko) 청취 장치
CN106535017A (zh) 一种自调节型耳机
KR101754032B1 (ko) 머리띠 타입 이어셋
KR100963665B1 (ko) 청취장치
CN205566599U (zh) 自由角度调节式耳机结构
KR100917409B1 (ko) 개인용 청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