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314Y1 - 자동차용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14Y1
KR200237314Y1 KR2019960059969U KR19960059969U KR200237314Y1 KR 200237314 Y1 KR200237314 Y1 KR 200237314Y1 KR 2019960059969 U KR2019960059969 U KR 2019960059969U KR 19960059969 U KR19960059969 U KR 19960059969U KR 200237314 Y1 KR200237314 Y1 KR 200237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ackrest
upper body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814U (ko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59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1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앞좌석 등받이를 상하부몸체로 분리하고, 상부 몸체의 포밍이 분리된 상태에서 그 프레임이 하부 몸체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수납될 수 있게 하여 등받이의 전체 길이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앞좌석 등받이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뒷쪽으로 완전히 눕히게 되면 뒷좌석 쿠션과 나란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과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자동차, 시트, 분리 및 수납형 등받이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의 상부 일부 구간을 그 안쪽으로 접힘가능하게 하여 앞좌석 등받이를 뒤로 젖혀 뒷좌석의 쿠션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 위치조절이 가능한 쿠션(10)과, 앞뒤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는 앞좌석의 등받이를 뒤쪽으로 최대한 젖히는 경우 뒷좌석의 쿠션과 간섭을 일으켜, 이것들이 일정한 평면으로 펼쳐지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앞좌석의 등받이를 눕혀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공간활용을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탑승자의 거동시에도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앞좌석 등받이를 상하부 몸체로 분리하고, 상부 몸체의 포밍이 분리된 상태에서 그 프레임이 하부 몸체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수납될 수 있게 하여 등받이의 전체 길이를 줄여줄수 있도록 함으로써, 앞좌석 등받이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뒷쪽으로 완전히 눕히게 되면 뒷좌석 쿠션과 나란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과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 11 : 등받이
12 : 상부 몸체 13 : 하부 몸체
12a,13a : 포밍 12b, 13b : 프레임
14 : 핀 스프링 14 : 걸림핀
16 : 걸림홀 17 : 프레임 스프링
18 : 스프링 받침판 19 : 가이드 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등받이(1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1)를 상부 몸체(12)의 하부 몸체(13)로 분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몸체(12)의 포밍(12a)은 프레임(12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에는 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는 양쪽 2개의 걸림핀(15)을 구비하며, 하부 몸체(13)의 프레임(13b)에는 상기 걸림핀(15)이 걸려질 수 있는 상하 2곳의 걸림홀(16) 및 상기 프레임(12b)을 탄력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스프링(17)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을 하부 몸체(13)의 프레임(13b)에 수납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11)를 상하 2개의 몸체, 즉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로 분리 구성하고,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이 하부 몸체(13)의 프레임(13b)에 끼워져 제한된 위치에서 걸려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부 몸체(12)의 포밍(12a)과 프레임(12b)이 차지하고 있던 길이를 줄인 다음, 하부 몸체(13)를 뒷쪽으로 젖힘에 따라 뒷좌석 쿠션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2는 상부 몸체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 몸체(12)는 포밍(12a)과 프레임(12b)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2b)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하단에는 중간의 핀 스프링(14)에 의해 바깥쪽으로 탄력지지되는 한쌍의 걸림핀(15)이 설치된다.
이때의 걸림핀(15)은 서로 끼워져 있는 가이드 바(19)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내외측으로 신축이 가능한 동시에 각 볼록한 선단이 프레임(12b)의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렇게 돌출되는 부위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걸림홀(16)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포밍(12a)은 프레임(12b)으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11)를 뒷쪽으로 젖히는 경우에는 포밍(12a)을 먼저 프레임(12b)으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3은 하부 몸체를 나타낸다.
상기 하부 몸체(13)는 포밍(13a)과 프레임(13b)의 일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3b)의 상단부에는 상하 2곳의 걸림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홀(16)에 상기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에 있는 걸림핀(15)이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3b)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받침판(18)이 삽입 설치되며, 이곳에 프레임 스프링(17)이 설치되어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의 등받이(11)를 뒷쪽으로 젖히는 경우,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2)의 포밍(12a)을 프레임(12b)으로부터 탈거한 다음, 프레임(12b)을 아래쪽으로 가볍게 누르면, 이때의 누르는 힘에 의해 볼록한 걸림핀(15)의 선단이 프레임(13b)의 윗쪽 걸림홀(16)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프레임(12b)을 좀더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핀(15)이 아래쪽 걸림홀(16)에 걸려지면서 재차 걸림상태가 된다.
이렇게 등받이(11)의 윗쪽을 구성하는 상부 몸체(12)의 포밍(12a)을 제거하는 동시에 프레임(12b)을 수납시켜 그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킨 다음, 하부 몸체를(13)를 뒷쪽 눕히면, 뒷좌석 쿠션과의 사이에 꼭맞게 들어가게 되므로, 차실내 공간을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앞좌석 등받이를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2개로 분리 구성하고, 상부 몸체의 포밍을 탈거하는 동시에 프레임을 수납시켜서 등받이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앞좌석 등받이를 뒷쪽으로 젖혀 사용하는 경우 종전과 같은 간섭없이 편평하게 젖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탑승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등받이(1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1)를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로 분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몸체(12)의 포밍(12a)은 프레임(12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에는 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는 양쪽 2개의 걸림핀(15)을 구비하며, 하부 몸체(13)의 프레임(13b)에는 상기 걸림핀(15)이 걸려질 수 있는 상하 2곳의 걸림홀(16) 및 상기 프레임(12b)을 탄력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스프링(17)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몸체(12)의 프레임(12b)을 하부 몸체(13)의 프레임(13b)에 수납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19960059969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시트 KR200237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969U KR200237314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969U KR200237314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14U KR19980046814U (ko) 1998-09-25
KR200237314Y1 true KR200237314Y1 (ko) 2001-10-25

Family

ID=5399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969U KR200237314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21A (ko) * 2002-11-21 2004-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1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140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0237314Y1 (ko) 자동차용시트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0516127B1 (ko) 자동차용 시트
KR20230134703A (ko) 다목적 차량의 폴딩 가능한 시트 장치
KR100521684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10022938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조립구조
KR20020041909A (ko) 차량 리어시트의 아암레스트
KR10032467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01173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23586U (ko) 차량용 보조시트의 슬라이더식구조
KR19990000434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좌우 확장 장치
KR0141281B1 (ko) 자동차용 콘솔리드의 팔걸이 장치
KR200225490Y1 (ko) 리어시트폴딩장치
KR2001517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200141702Y1 (ko) 차량용 디포짓트박스의 발판구조
KR10091671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146763Y1 (ko) 시트백 내장형 어시스트 그립 어셈블리
KR200147453Y1 (ko) 헤드 레스트의 직각 회동장치
KR19980052446U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용 팔걸이 장치
KR19980017402U (ko)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의 취부구조
KR0129274Y1 (ko) 암레스트의 드링크 홀더
KR19980066924U (ko) 접철이 가능한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KR19980029689U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59676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