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78Y1 - 벽시계 - Google Patents

벽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78Y1
KR200236978Y1 KR2020010008592U KR20010008592U KR200236978Y1 KR 200236978 Y1 KR200236978 Y1 KR 200236978Y1 KR 2020010008592 U KR2020010008592 U KR 2020010008592U KR 20010008592 U KR20010008592 U KR 20010008592U KR 200236978 Y1 KR200236978 Y1 KR 200236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se
hook
wall clock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이성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엔트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엔트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엔트비즈
Priority to KR2020010008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7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벽시계의 케이스(22) 배면에 별도의 연결구(30)를 설치하여 벽(9)의 걸이구(10)에 상기 연결구(30)를 연결하여 벽시계와 벽이 이중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때 기존에 상기 케이스(22)에 형성되는 걸이공(28)에 상기 걸이구(10)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은 상기 연결구(30)와 중복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벽시계를 벽에 걸거나 벽에서 분리하는 작업중에 부주의 등에 의해 상기 벽시계가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되어 벽시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시계{Wall clock}
본 고안은 벽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의 걸이구와 벽시계를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벽시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시계가 벽에 걸려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벽시계(1)의 외관을 케이스(3)가 구성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3)의 후면에는 시계바늘의 구동을 위한 무브먼트가 설치되는 무브먼트케이스(5)가 구비된다. 상기 무브먼트케이스(5)의 내부에는 벽시계(1)의 배면으로 노출되게 상기 무브먼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브먼트케이스(5)에는 벽시계를 벽에 걸기 위한 걸이공(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벽시계(1)는 벽(9)에 걸어져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벽(9)에 고정되어 있는 못과 같은 걸이구(10)에 상기 걸이공(7)이 끼워져서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벽시계(1)는 대부분이 시계바늘을 구동하는 상기 무브먼트가 건전지를 구동원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무브먼트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벽시계(1)가 걸어지는 상기 걸이구(10)의 위치는 사람의 키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벽시계(1)를 상기 걸이구(10)에 처음 걸거나, 걸려져 있는 벽시계(1)를 걸이구(10)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즉 상기 걸이구(10)에 걸어지는 걸이공(7)이 시계의 뒷면에 있어 사용자가 눈으로 상기 걸이구(10)와 걸이공(7)의 위치를 직접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없고 대충 감으로 거는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걸이공(7)에 걸이구(10)에 걸어지지 않았는데, 벽시계(1)를 놓게 되면, 벽시계(1)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브먼트의 건전지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상기 벽시계(1)를 벽(9)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안전한 장소에 놓고 작업을 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의자 등을 놓고 올라서서 벽시계(1)를 분리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그냥 의자위에서 혼자 건전지 교체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한손으로 벽시계(1)를 잡고, 다른 손으로 건전지를 잡은 상태로 교체작업을 하다가 시계를 놓쳐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기 벽시계(1)는 벽(9)에 있는 걸이구(10)에 상기 걸이공(7)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형태이어서, 외부에서 힘이 상기 벽시계(1)에 가해지는 경우 벽시계(1)가 걸이구(10)에서 탈거되어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시계를 거는 작업중에 벽시계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에 걸려 있는 벽시계가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벽에 걸려 있는 벽시계의 건전지 교체작업시에 벽시계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시계가 벽에 걸려 있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벽시계가 벽에 설치된 것을 보인 부분단면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시계본체 22: 케이스
24: 무브먼트케이스 26: 무브먼트
27: 건전지 28: 걸이공
28a: 입구부 28b: 걸이부
30: 연결구 32: 고정고리
34: 안착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시간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외관을 구성하고 벽의 걸이구에 걸기 위한 걸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이구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구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이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이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부분에서 상기 걸이부 사이 중 상기 케이스가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연결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계본체(20)의 외관을 케이스(22)가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시계본체(20)는 아날로그 시계의 경우 시계바늘과 문자판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디지털 시계의 경우 액정표시판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와 다른 개념의 시계가 있는 경우에는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22)는 상기 시계본체(20)의 외관을 구성하면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22)의 형상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2)의 배면에는 시계의 구동을 위한 무브먼트(26)가 수납되는 무브먼트케이스(24)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는 상기 케이스(22)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는 아날로그 시계의 경우 상기 문자판의 구성 때문에 그러하다.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가 반드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브먼트(26)에는 건전지(27)가 장착되어 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배면에는 벽(9)의 걸이구(10)에 벽시계를 걸기 위한 걸이공(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8)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구부(28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상기 입구부(28a)와 연결되어 있는 걸이부(28b)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28)는 상기 걸이구(10)의 선단 직경이 큰 경우를 위한 것으로 상기 걸이구(10)가 삽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고 상기 걸이부(28b)는 실제로 상기 걸이구(10)가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걸이공(28)은 상기 케이스(22)의 배면중에서 후방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은 소정의 면적을 가져 벽(9)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2)의 배면 일측이나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일측에는 연결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케이스(22) 중 상기 벽(9)에 밀착되는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무브먼트케이스(24)의 배면)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계가 안정적으로 벽(9)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배면에 설치되더라도, 그 부분이 요입되게 형성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가장자리 경사진 면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걸이공(28)이 형성된 반대쪽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시계가 벽(9)에 걸어지고 상기 연결구(30)가 걸이구(10)에 걸어졌을 때,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벽(9)과 무브먼트케이스(24)의 배면 사이에 있게 되므로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에는 안착홈(34)을 형성하였다. 상기 안착홈(34)에는 상기 연결구(30)가 안착되어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와 벽(9) 사이의 밀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안착홈(34)은 상기 연결구(30)의 설치상태에 따라 그 형성위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시계본체(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관없으며, 상기 연결구(30)의 끝부분에는 걸이구(10)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고리(32)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고리(32)가 상기 걸이구(10)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기 걸이구(10)에 상기 고정고리(32)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벽시계를 벽(9)의 걸이구(10)에 거는 것을 설명한다. 즉 상기 연결구(30)의 고정고리(32)를 상기 걸이구(10)에 걸어 고정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고리(32)를 상기 걸이구(10)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시각으로 상기 고정고리(32)와 걸이구(10)를 직접 보면서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는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걸이공(28)에 상기 걸이구(10)가 삽입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상기 걸이공(28)과 걸이구(10)를 동시에 시각으로 확인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아니하나, 상기 연결구(30)에 의해 벽시계가 상기 걸이구(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벽시계는 낙하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걸이구(10)에서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와 연결된 부분으로 늘어지게 되는데, 이 부분은 상기 무브먼트케이스(24)의 배면에 형성된 안착홈(3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벽시계가 벽(9)의 걸이구(10)에 걸려져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벽시계를 사용하다가, 상기 건전지(27)를 교체할 시기가 되면, 다음과 같이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걸이구(10)에서 걸이공(28)를 빼내서 벽시계를 걸이구(10)에서 분리하여 낸다. 이때 여전히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벽시계와 걸이구(10)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2) 배면의 무브먼트(26)에 있는 다쓴 건전지(27)를 제거하고 새 건전지(27)를 장착한다. 그리고는 다시 상기 걸이구(10)에 걸이공(28)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벽시계를 벽(9)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내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공(28)과 걸이구(10)의 연결상태를 분리한 후에 상기 연결구(30)의 고정고리(32)를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걸이구(10)에서 분리하면 된다.
만약에 상기 벽시계를 벽(9)에 걸거나, 걸려 있는 벽시계를 분리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사용자가 벽시계를 놓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에 의해 상기 벽시계가 상기 걸이구(10)에 걸려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는 연결구와 고정구의 연결작업이나 분리작업을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진행할 수 있고 시각으로 보기 어려운 걸이구와 걸이공의 삽입이나 분리작업은 상기 연결구에 의해 벽시계와 벽의 걸이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어 작업중에 벽시계를 놓쳐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시간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외관을 구성하고 벽의 걸이구에 걸기 위한 걸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이구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이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부분에서 상기 걸이부 사이 중 상기 케이스가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연결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KR2020010008592U 2001-03-28 2001-03-28 벽시계 KR200236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92U KR200236978Y1 (ko) 2001-03-28 2001-03-28 벽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92U KR200236978Y1 (ko) 2001-03-28 2001-03-28 벽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978Y1 true KR200236978Y1 (ko) 2001-10-10

Family

ID=7308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92U KR200236978Y1 (ko) 2001-03-28 2001-03-28 벽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7827A1 (en) Light consumable housing and changing system
JP2008052133A5 (ko)
KR200236978Y1 (ko) 벽시계
KR20090074662A (ko) 결합핀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거치 장치
KR100928399B1 (ko) 벽걸이형 패널 장착장치
KR20130005047U (ko) 의료용 침대의 수액걸이 폴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KR20180034865A (ko) 비누홀더
JP2020032012A (ja) 壁付け部材
JP3103574B2 (ja) コネクター固定装置およびコネクター固定方法
JP3472846B2 (ja) 吊下げ具
JP5061684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CN210249551U (zh) 一种纸杯架
JP6272055B2 (ja) 壁面に対する物品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用部材
JP3307104B2 (ja) 照明器具
JP2018125826A (ja) 壁面掛止具
CN210950476U (zh) 一种悬臂屏支架结构
KR200197853Y1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세움 및 걸이장치
CN219828469U (zh) 挂装组件及显示设备
JPH0684965U (ja) 物品吊下げ具
CN216776600U (zh) 具有放置架的镜子
JPH0225345Y2 (ko)
JPH0612568Y2 (ja) 照明器具の取付構造
KR200285795Y1 (ko) 전등용 커버 고정장치
JPH0525130Y2 (ko)
JPH0634481Y2 (ja) 吊下げ材の吊下げ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