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05Y1 -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05Y1
KR200236105Y1 KR2020010001158U KR20010001158U KR200236105Y1 KR 200236105 Y1 KR200236105 Y1 KR 200236105Y1 KR 2020010001158 U KR2020010001158 U KR 2020010001158U KR 20010001158 U KR20010001158 U KR 20010001158U KR 200236105 Y1 KR200236105 Y1 KR 200236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ilicon layer
artificial turf
mat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스포츠소프트 주식회사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포츠소프트 주식회사, 김정열 filed Critical 스포츠소프트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05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잔디위에서 골프공을 타격하여 필드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골프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조잔디(1)를 바닥재에 부착하여서 된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1)와 바닥판 사이에 실리콘층(3)을 삽입하여 상부의 인조잔디(1)와 실리콘층(3) 그리고 실리콘층(3)과 바닥재를 직접 접합하고, 바닥재의 가장자리에는 측벽을 돌출연장시켜 인조잔디(1)가 실리콘층(3)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가 바닥재의 측벽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져, 연습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실리콘층이 흡수·완화하고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겨울철에 골프장 그린이 동결될 경우 타구가 강하게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타 계절과 같은 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임.

Description

골프연습용 골프매트{Golf Mat}
본 고안은 필드와 유사한 조건으로 골프연습을 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가 설치되어 있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잔디의 하면에 실리콘층을 부가하여 연습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완화하고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겨울철에 골프장 그린이 동결될 경우 타구가 강하게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타 계절과 같은 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매트는 사용자가 실내연습장이나 필드 등에서 실제 골프장과 같은 조건에서 골프연습을 할 수 있도록 천연 잔디 대신에 바닥에 깔고 그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스윙 혹은 퍼팅과 같이 실전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티샷, 아이언샷, 칩샷 혹은 퍼팅 연습을 하는 위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골프매트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티샷, 아이언샷 혹은 칩샷 등을 연습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바닥재인 고무판(2)의 상면으로 인조잔디를 접착하고, 고무판(2)의 하면에 얇은 우레탄폼(4)을 부착하여 스윙시 골프티(10)나 인조잔디(1) 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12)을 치기 위해 인조잔디(1)를 칠 때 우레탄폼(4)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인 우레탄폼(4)의 상면으로 인조잔디(1)를 접착하여 스윙시 골프티(10)나 인조잔디(1)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12)을 치기 위해 인조잔디(1)를 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무판(2) 또는 우레탄폼(4) 등을 인조잔디(1)와 접착하여 성형되는 골프매트는 골프연습자가 스윙하면서 골프공(12)을 정확히 타격하지 못하고 매트를 칠 경우 골프연습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소재의 판은 탄성도와 경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임팩트시 쿠션을 가지고 함몰되나 그 반발력 또한 매우 강하기 때문에 충격은 매트에 흡수되지 않고 연습자의 팔관절 또는 흉부에 다시 전달되어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우레탄 소재의 판은 고무소재에 비해서는 경도가 상당히 낮으나 이 역시 탄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연습자의 팔관절 또는 흉부에 충격을 다시 전달하는 특성을 제거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골프매트는 공 뒷부분의 매트를 가격하여 미스샷이 날 경우에도 고무 소재 또는 우레탄 소재의 높은 탄성으로 인한 미끌림(slip) 현상이 발생하여 타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제 필드에서는 미스샷의 경우 땅이 패일 뿐 슬립현상으로 인한 타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사유로 골프매트에서 연습할 때와 실제 필드에서와는 상당한 타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종래의 골프매트는 골퍼들에게 실제필드와 같은 연습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추운 지역이나 산간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골프장들은 겨울철이면 그린이 동결되고, 이에 따라 타 계절에는 그린 위에 떨어져 멈춰설 공이 겨울철에는 크게 튀어 그린 밖으로 튕겨나가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추운날씨와 더불어 겨울철에 골퍼들이 골프장을 외면하게 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겨울철 골프장 그린에 상기 골프매트의 개념을 적용하여 단순히 천연잔디 대신에 인조잔디 카펫과 같이 특수한 카펫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개념에 머물렀다.
본 고안의 골프연습용 골프매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인조잔디와 고무판 또는 우레탄폼으로 골프매트를 형성하되, 인조잔디와 고무판 또는 우레탄폼 사이에 충격흡수력은 우수하고 탄성도는 낮은 실리콘층을 부가하여, 스윙시 골프클럽의 헤드가 골프매트에 충돌되었을 때 발생되는 과도한 진동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슬립현상 없이 실제필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조잔디로 그린 형상의 카펫을 제작하여 그 하부에 실리콘을 도포하고 실리콘 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코팅을 하여 겨울철에 골프장 그린에 사용토록 함으로써 타구가 심하게 튀는 현상을 제거하여 타 계절과 같은 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골프연습용 골프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골프매트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종래 골프매트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매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골프매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매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조잔디, 2 : 고무판,
3 : 실리콘 층, 4 : 우레탄 폼,
6 : 합성수지, 7 : 에어쿠션,
10 : 골프티, 12 : 골프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대한 실시예들의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매트는 인조잔디(1)의 하부에 탄성도가 낮은 물성을 갖는, 즉 충격시 충분히 함몰되어 충격을 흡수하나 고무나 우레탄소재에 비해 형상복원속도가 느려 충격이 반발되지 않도록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진 실리콘층(3)을 형성하여, 스윙연습시 골프매트와 골프클럽의 헤드가 충돌하였을 때 이 실리콘층(3)이 충격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충돌 후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바닥재로서 하부에 우레탄 폼(4)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레탄폼(4)의 상면으로 인조잔디(1)가 부착된 골프매트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1)와 바닥재인 우레탄폼(4) 사이에 실리콘층(3)을 삽입하며 상부 인조잔디(1)와 실리콘층(3) 그리고 실리콘층(3)과 우레탄폼(4)을 직접 접합하여 형성한다. 이때 우레탄폼(4)의 가장자리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연장시키고 내측으로는 단턱(4a)을 형성시켜 인조잔디(1)가 실리콘층(3)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가 우레탄품(4)의 단턱(4a)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우레탄폼(4)의 가장자리에 단턱(4a)을 형성시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가 단턱(4a)에 얹혀진 상태에서 우레탄폼(4)과 접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우레탄폼(4)의 가장자리에 단턱(4a)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면을 평탄하게 돌출시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와 우레탄폼(4)의 돌출된 가장자리를직접 접착할 수도 있다.
도 4는 바닥재로서 하부에 고무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무판(2)의 상면으로 인조잔디(1)가 부착된 골프매트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1)와 고무판(2) 사이에 실리콘층(3)을 삽입하며 상부 인조잔디(1)와 고무판(2) 그리고 실리콘층(3)과 고무판(2)을 직접 접합하여 형성한다. 이때 고무판(2)의 가장자리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연장시키고 내측으로는 단턱(2a)을 형성시켜 인조잔디(1)가 실리콘층(3)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가 고무판(2)의 단턱(2a)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고무판(2)의 가장자리에 단턱(2a)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면을 평탄하게 돌출시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와 고무판(2)의 가장자리를 직접 접착시켜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도 3과 같이 우레탄 폼(4)을 바닥재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할 때 고무판(2)이 지면과 밀착되어 있으면 고무소재 자체의 경도와 탄성도로 인해 충격이 곧바로 반사되어 실리콘층(3)의 충격흡수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골프매트가 지면(5)에 놓인 상태에서 고무판(2) 하부에 에어쿠션(7)이 형성되도록 고무판(2) 하부의 가장자리를 돌출시킴으로써 골프매트가 충격으로 인해 함몰된 후 복원되는 시간적 여유를 주어 고무소재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매트를 그린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골프장 그린의 잔디 길이는 매우 짧으며, 이에 따라 그린에 도포하는 골프매트의 상부 인조잔디(1) 길이 역시 필드의 그린과 같이 짧은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린용 골프매트는 운반 및 설치의 편의성이 있어야 하고, 골프 클럽으로 직접 가격하는 것이 아니며 타구의 바운드를 겨울철 이외의 타 계절과 유사하게 유지하는 정도의 충격흡수력을 갖추기만 하면 되며, 충격흡수 효과가 과도하게 높으면 천연잔디 그린과의 유사한 효과를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가능한 한 두께를 얇게 제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필드의 그린과 같이 짧은 두께의 인조잔디(1) 하부에 실리콘층(3)을 1∼5mm의 두께로 얇고 균일하게 도포하고, 실리콘층(3)이 지면에 닿았을 때 실리콘층(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6)로 코팅을 하여 형성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실리콘층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주된 특성인 충격흡수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소재는 실리콘층이다. 실리콘은 모두 본래 액체 상태로 존재하나, 제조성형 후의 상태는 고상(solid) 실리콘과 젤(gel) 상태의 실리콘의 2가지로 분류된다. 고상 실리콘과 젤 상태의 실리콘 모두 액체 상태의 원액에 경화제와 촉매를 첨가하고 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형성된다. 형성 방법에는 백금 촉매를 첨가하여 열반응을 일으키는 '부가형', 가수분해와 열반응을 일으켜 형성하는 '축합형', 기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본 고안에사용되는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주로 '부가형'을 사용하며, 촉매의 양, 반응 온도에 따라 경도와 충격흡수력이 달라진다.
젤 상태의 실리콘은 충격흡수 효과가 매우 뛰어나나, 성형이 어렵고 일정한 형태 유지가 잘 안되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고상 실리콘은 성형이 쉽고 형태 유지가 잘되며 연성이 뛰어나 쉽게 끊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젤 상태의 실리콘에 비해 탄성이 강하고 충격흡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상 실리콘과 젤 상태의 실리콘의 단점을 제거하고 장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첫째, 젤 상태의 실리콘을 고상 실리콘으로 얇게 도포하여 형성한다.
즉, 젤 상태의 실리콘을 아래 고상 실리콘으로 얇게 도포하는 다층 구조로 성형하며, 이 경우 젤 상태의 실리콘의 높은 충격흡수력과 고상 실리콘의 높은 연성과 형태 유지 능력을 결합하여 충격흡수력과 형태 유지 능력이 매우 뛰어난 실리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고상 실리콘에 추가 촉매를 첨가하여 형성한다.
즉, 고상 실리콘에 추가 촉매로 신나(thinner)를 첨가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며, 신나의 첨가 비율이 높아지면 경도가 낮아지고 충격흡수력이 높아지나 형태 유지력은 떨어지게 된다. 신나의 비율이 50% 이상이 되면 충격흡수력은 높으나 경도가 너무 낮아 흐물흐물하게 되어 일체형으로 제작할 경우 형태 유지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상실리콘:신나'의비율을 70:30 정도로 혼합하여 경도를 높인 소재로 바닥부분을 얇게 성형하고 신나의 비율을 높여 낮은 경도를 가진 소재를 윗부분에 덧붙여 2개층으로 성형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젤 상태의 실리콘을 고상 실리콘으로 도포하는 것 보다 성형 공정이 매우 간편하고 형태 유지가 잘 되는 장점이 있으며, 경도를 낮게 조절할 경우 젤 상태의 실리콘을 고상 실리콘으로 도포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충격흡수력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그린에 사용하는 골프매트의 경우 티샷 스윙 연습용의 골프매트 만큼의 충격흡수력이 높을 필요가 없으므로 실리콘층의 두께가 1∼5mm로 매우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골프연습용 골프매트는 실리콘층의 물성을 활용한 다층구조의 매트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것은 물론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타격시 슬립 현상을 제거하여 실제 필드와 같은 연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골프매트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바닥면에 진동이 발생하여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 사용하기 어려웠으나, 본 고안의 골프매트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실리콘층이 흡수하여 아래층에 진동이 전달되지 아니하여 가정용 연습매트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골프매트를 그린에 사용하는 경우 겨울철에 골프장 그린이 얼은 상태가 되어 골퍼가 아이언샷으로 그린에 공을 정확히 떨어뜨린다 해도 얼은 그린에 공이 맞아 큰 바운드를 일으키며 밖으로 튕겨나가게 되는 문제를 실리콘층의 충격흡수 효과로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을 카펫 형상으로 제작하여 골프장 그린에 깔아 줄 경우 다른 계절과 유사한 공의 바운드를 가져오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조잔디(1)를 바닥재에 부착하여서 된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1)와 바닥재 사이에 실리콘층(3)을 삽입하여 상부의 인조잔디(1)와 실리콘층(3) 그리고 실리콘층(3)과 바닥재를 각각 직접 접합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재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연장돌출시켜 인조잔디(1)가 실리콘층(3)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인조잔디(1)의 가장자리가 바닥재의 돌출측벽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진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우레탄폼(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를 고무판(2)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무판(2)의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골프매트가 지면(5)에 놓인 상태에서 고무판(2) 하부에 에어쿠션(7)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1)의 길이를 그린의 잔디와 동일 길이로 하여 그린 모양의 카펫으로 형성하고, 상기 인조잔디(1)의 저면에 1∼5mm 두께로 얇게 도포하여 실리콘층(3)을 형성하며, 상기 실리콘층(3)의 저면에 실리콘층 보호용의 합성수지(6)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KR2020010001158U 2000-08-09 2001-01-16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KR2002361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713 2000-08-09
KR2020000022713U KR200219844Y1 (ko) 2000-08-09 2000-08-09 골프연습용 골프티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05Y1 true KR200236105Y1 (ko) 2001-09-29

Family

ID=730871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713U KR200219844Y1 (ko) 2000-08-09 2000-08-09 골프연습용 골프티매트
KR2020010001158U KR200236105Y1 (ko) 2000-08-09 2001-01-16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713U KR200219844Y1 (ko) 2000-08-09 2000-08-09 골프연습용 골프티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198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61B1 (ko) 2006-04-27 2007-07-10 진재삼 골프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7031B1 (ko) * 2016-06-15 2018-04-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충격 흡수용 골프 매트
KR20210121511A (ko) 2020-03-30 2021-10-08 이운봉 조립식 골프매트
KR20220139170A (ko) 2021-04-07 2022-10-14 윤환 골프 연습 장치
KR20230157836A (ko) 2022-05-10 2023-11-17 김승완 골프 연습용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630B1 (ko) * 2009-08-24 2010-02-17 이승희 골프 연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61B1 (ko) 2006-04-27 2007-07-10 진재삼 골프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7031B1 (ko) * 2016-06-15 2018-04-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충격 흡수용 골프 매트
KR20210121511A (ko) 2020-03-30 2021-10-08 이운봉 조립식 골프매트
KR20220139170A (ko) 2021-04-07 2022-10-14 윤환 골프 연습 장치
KR20230157836A (ko) 2022-05-10 2023-11-17 김승완 골프 연습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844Y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167A (ko) 골프 티 고정장치
KR200236105Y1 (ko)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TWI410263B (zh) 高爾夫練習用沙坑墊
CA2366431C (en) Golf game with a three dimensional target
US7347790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WO2000054849A1 (en) A ball
US5647590A (en) Game ball for urban use
US20190282883A1 (en) Driving range mat
KR101198114B1 (ko) 골프연습용 매트
US5269526A (en) Golf game apparatus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JPH0515623A (ja) 人工芝用ゴルフカツプ
US5564706A (en) Practice putting green
KR101221063B1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US7041000B1 (en) Training golf club
JPH0784721B2 (ja) 人工芝グランド
KR200278393Y1 (ko) 매트 슬라이스 겹을 이용한 골프 연습 매트
US20020039929A1 (en) Synthetic golf surface and hitting area
US5228696A (en) Golf practice target
JP2546926Y2 (ja) ゴルフボール
GB2363728A (en) Golf ball with multiple shell layers
JP3085118U (ja) ゴルフ用スポンジティー
JP3010589U (ja) 人工芝の積層構造
JP3074370U (ja) ゴルフ練習用人工芝マット
JP2895221B2 (ja) ゴルフ型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