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836A - 골프 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836A
KR20230157836A KR1020220085927A KR20220085927A KR20230157836A KR 20230157836 A KR20230157836 A KR 20230157836A KR 1020220085927 A KR1020220085927 A KR 1020220085927A KR 20220085927 A KR20220085927 A KR 20220085927A KR 20230157836 A KR20230157836 A KR 2023015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mat
cushion
golf pract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완
Original Assignee
김승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완 filed Critical 김승완
Publication of KR2023015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시 매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골프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바닥에 놓여지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 연결된 탄성부재(200)와, 메인프레임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전단과 후단이 연결되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유동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유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쿠션매트(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연습용 매트{Training mat for golf}
본 발명은 스윙시 매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골프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이나 가정 등에서 실제 골프장과 유사한 조건에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등의 바닥면 위에 놓여지는 바닥재와 바닥재 상부에 부착된 인조잔디로 구성된 골프 연습용 매트가 사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골프 연습용 매트는 바닥재에 탄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골프 클럽으로 강하게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매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골프 클럽에 반사되어 손목과 팔 그리고 어깨 관절 등을 다치는 일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골퍼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 연습용 매트"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36105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연습용 매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쿠션재질의 바닥재(4)와, 상기 바닥재(4)의 상면에 접착된 인조잔디(1)로 구성되어 스윙시 골프티(10)나 인조잔디(1) 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12)을 치기 위해 인조잔디(1)를 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충격흡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인정되나, 상하방향의 충격만 흡수하도록 되어 있어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에 매우 취약하며, 이로 인하여 매트에 전달된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흡수되지 못하고 일부가 다시 골퍼의 신체로 전달되면서 여전히 부상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표면이 쉽게 손상되어 잦은 유지보수가 요구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361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윙시 매트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충격은 물론 전후방향의 충격도 흡수가 가능하고 쉽게 손상되지 않는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바닥에 놓여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 연결된 탄성부재와, 메인프레임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전단과 후단이 연결되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유동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유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쿠션매트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쿠션매트의 하부에는 쿠션매트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쿠션매트의 전후이동시 메인프레임과의 표면마찰력을 저감시켜 주는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에는 바닥과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쿠션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끼워지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연결고리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 전단과 외측 전단에는 연결고리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조임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 연습용 매트는 메인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외부충격시 전후로 유동되는 유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윙시 쿠션매트가 상하방향의 충격은 물론 전후방향의 충격까지 모두 흡수하게 되므로 골퍼의 손목과 팔 그리고 어깨 관절 등의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연습용 매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메인프레임(100)과 탄성부재(200)와 유동프레임(300)과 쿠션매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골프공을 올려 놓고 스윙을 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 틀 부재로서 바닥에 수평상태로 놓여지며, 내측으로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부재(200)가 연결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메인프레임(100)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요구되는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00)가 메인프레임(100)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 각각 한 쌍씩 연결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00)는 압축코일스프링이나 고무줄 또는 탄력밴드 등 다양한 재질의 탄성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장방향의 유동프레임(300)이 설치된다.
상기 유동프레임(30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마주하는 상기 탄성부재(200)의 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프레임(300)에 전후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200)가 전후방향의 외력을 흡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유동프레임(300)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쿠션매트(400)가 설치된다.
상기 쿠션매트(400)는 유동프레임(3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쿠션매트(400)는 자체 탄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 스펀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단에는 필드의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골프공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인조잔디(41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쿠션매트(400)는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매트(40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 쿠션매트(400)들의 재질을 서로 달리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쿠션매트(400)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5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쿠션매트(400)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수직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매트(400)는 고정브라켓(500)에 안착되어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안정되게 설치되며, 모서리 부분의 직각도가 유지되면서 설치 외관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단일체로 구성되어도 좋고 각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분할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브라켓(500)이 좌우로 이분할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브라켓(5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마찰저감부재(600)가 설치된다.
상기 마찰저감부재(600)는 쿠션매트(400)가 전후로 이동할 때 고정브라켓(5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의 표면마찰력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고정브라켓(500) 및 쿠션매트(400)의 원활한 전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이 경우, 상기 마찰저감부재(600)는 고정브라켓(500)의 저면이나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볼베어링이나 롤러 또는 라운드면을 가진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저면에는 바닥과 메인프레임(100)을 이격시키는 쿠션부재(70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쿠션부재(700)는 쿠션매트(400)에서 메인프레임(100)을 거쳐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해 준다. 상기 쿠션부재(7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는 끼움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공(110)에는 상기 탄성부재(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고리(120)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고리(120)는 상기 끼움공(110)에 끼워지며 탄성부재(200)가 연결되는 고리부(121)와, 상기 고리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나사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측 전단과 외측 전단에는 상기 연결고리(120)의 나사부(122)와 체결되는 조임너트(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임너트(130)의 체결정도를 달리하면 탄성부재(200)의 장력이 변화하면서 유동프레임(300)의 탄성강도가 달라지게 되며, 사용자는 유동프레임(300)의 유동강도를 조절해 가면서 자신에게 맞는 스윙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인조잔디(410)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마치 필드에서 스윙을 하는 느낌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골퍼가 골프클럽으로 스윙하여 골프공의 뒷부분 인조잔디(410)를 강하게 가격하게 되는 경우 상하방향의 충격과 함께 전후방향의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하방향의 충격은 쿠션매트(400)를 통해 대부분 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쿠션매트(400)에서 흡수되지 않은 상하방향의 충격은 메인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저면에 쿠션부재(700)가 더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쿠션부재(700)에서 2차로 상하방향의 충격이 완벽하게 흡수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의 충격은 쿠션매트(400)에서 탄성부재(200)로 전달되며 탄성부재(200)가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동프레임(300)와 함께 쿠션매트(400)가 충격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곧바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메인프레임(100)의 저면에 설치된 쿠션부재(700)에서 잔존하는 충격을 최종적으로 흡수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윙시 발생되는 수직방향의 충격은 물론 전후방향의 충격이 모두 흡수되므로 골퍼의 손목과 팔 그리고 어깨 관절 등의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안전하게 골프연습을 즐길 수 있게 되고 쿠션매트(400)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메인프레임 110...끼움공
120...연결고리 122...나사부
130...조임너트 200...탄성부재
300...유동프레임 400...쿠션매트
500...고정브라켓 600...마찰저감부재
700...쿠션부재

Claims (4)

  1. 바닥에 놓여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 연결된 탄성부재;
    메인프레임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전단과 후단이 연결되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유동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유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쿠션매트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매트의 하부에는 쿠션매트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쿠션매트의 전후이동시 메인프레임과의 표면마찰력을 저감시켜 주는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된 골프 연습용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에는 바닥과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쿠션부재가 더 부착된 골프 연습용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전단과 내측 후단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끼워지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연결고리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 전단과 외측 전단에는 연결고리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조임너트가 구비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20220085927A 2022-05-10 2022-07-12 골프 연습용 매트 KR20230157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00 2022-05-10
KR20220057500 2022-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836A true KR20230157836A (ko) 2023-11-17

Family

ID=8896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927A KR20230157836A (ko) 2022-05-10 2022-07-12 골프 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8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05Y1 (ko) 2000-08-09 2001-09-29 스포츠소프트 주식회사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05Y1 (ko) 2000-08-09 2001-09-29 스포츠소프트 주식회사 골프연습용 골프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205B2 (en) Treadmill with cushion assembly
US4944518A (en) Golf swing practice and exercise apparatus
US8343022B1 (en) Cheerleader training device
US7824282B2 (en) Volleyball approach and hit trainer
US5803826A (en) User-friendly golf swing practice mat
US20080085787A1 (en) Batting Tee Apparatus
US20120184412A1 (en) Incline rebounder
US4531734A (en) Tennis practice device
US4508341A (en) Pass-blocking sled
WO1987006148A1 (en) Free throw shooting practice device
KR10094796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20230157836A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AU2003203593A1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KR20090099434A (ko) 골프 연습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672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US9205317B2 (en) Training device to aid improving proper form and measuring directional accuracy when kicking a football or soccer ball
KR102289227B1 (ko)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US6974390B2 (en) Golf practice system
KR101351233B1 (ko) 1인 연습용 탁구대
KR200489695Y1 (ko)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KR101629817B1 (ko) 골프연습매트
KR10115945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02923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278393Y1 (ko) 매트 슬라이스 겹을 이용한 골프 연습 매트